호근 서당.

[스크랩] 염화미소 [拈花微笑]

浩 根 書 堂 2010. 1. 1. 15:06

염화미소 [拈花微笑]


[字解]
拈(집을 념)
花(꽃 화)
微(작을 미)
笑(웃을 소)


[意義]
불교의 대표적인 화두 가운데 하나.
"꽃을 집어들고 웃음을 띄다" 라는 뜻으로 말을 하지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을 이르는 말이다.


[出典]
대범천왕문불결의경(大梵天王問佛決疑經).


[解義]
선종에서 선(禪)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전하는 이야기로서

《대범천왕문불결의경(大梵天王問佛決疑經)》에 기록되어 있다.

 
영산(靈山)에서 범왕(梵王)이 석가에게 설법을 청하며 연꽃을 바치자,

석가가 연꽃을 들어 대중들에게 보였다.


사람들은 그것이 무슨 뜻인지 깨닫지 못하였으나,

가섭(迦葉)만은 참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고

이에 석가는 가섭에게

정법안장(正法眼藏:사람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묘한 덕)과

열반묘심(涅槃妙心:번뇌와 미망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는 마음),

실상무상(實相無相:생멸계를 떠난 불변의 진리),

미묘법문(微妙法門:진리를 깨닫는 마음) 등의 불교 진리를 전해 주었다.


즉 말을 하지 않고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여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뜻으로,

선 수행의 근거와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화두이다.


[同意語]
拈花示衆(염화시중).
以心傳心(이심전심).

출처 : 사단법인)한국전례원 - 社團法人 韓國典禮院 - ( jeonyewon )
글쓴이 : 根熙 김창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