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백호 7수에 대하여
서쪽에 백호 7수(宿:총 50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음).
백호(白虎)는 상상상의 동물이며 사신(四神)의 하나로 알려진 호랑이의 일종이다.
사신은 오행사상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백호는 만물을 단단하게 하며 결실을 맺게 하고 서쪽(西)을 수호하며 오행 중 쇠(金)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색으로는 하얀색에 해당하며 가을에 나타난다고 여겨졌으며 건조함을 다스린다고도 한다.
또한 백호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털 달린 총 360종류의 우두머리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다른 사신들과 더불어 고구려와 고려의 고분벽화에 그려져 있다.
또한 조선 시대 궁궐의 서쪽 문 천장에도 그려졌다.
규(奎). (狼,랑: 이리에 해당하며 16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규수가 일 년 중 태양과 만나는 날이 춘분(春分)이다.
天之武庫 一曰天豕 主以兵禁暴 又主溝瀆西南大星天豕目 亦曰大將 明則天下安 動則兵亂
客星守入兵起 金火守有水災 若帝淫泆政不平則奎有角 角動則有兵不出年中 惑有溝瀆之事 又曰中星明水大出 日月食五星犯皆有凶.
(천지무고 일왈천시 주이병금폭 우주구독서남대성천시목 역왈대장 명즉천하안 동즉병란 객성수입병기 금화수유수재 약제음일정불평즉규유각 각동즉유병불출연중 혹유구독지사 우왈중성명수대출 일월식오성범개유흉.)
규수는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로, 하늘의 무기고에 해당한다. 일명 천시(天豕:하늘의 돼지)라고도 하는데, 주로 병사들을 사용해서 폭란을 금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도랑 등 관개수로를 맡으니, 서남쪽의 큰 별을 천시의 눈 또는 대장(大將)이라고 한다.
별이 밝으면 천하가 평안하고, 움직이면 병사들에 의한 난리가 일어나며, 객성이 머무르거나 들어오면 병란이 일어난다. 금성 또는 화성이 머무르면 홍수로 인한 재앙이 생기고, 만약에 임금이 음란하거나 실정을 하여 공평히 하지 못하면 규수에 뿔(角:머리 뿔같이 빛나는 (芒)보다 큰 광선)이 생긴다. 뿔이 움직이면 1년 안으로 병란이 생기고, 혹은 도랑 또는 관개수로에 말썽이 생긴다. 또 한편으로는 가운데 별이 밝으면 홍수가 크게 발생하고, 일식 또는 월식이 생기거나 오성이 범하면 흉한 일이 발생한다고 한다.
루(婁). (狗,구: 개에 해당하며 3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下九尺爲日月中道 亦爲天獄 主苑牧犧牲 供給郊祀 亦爲興兵聚衆 動搖則聚衆 直則有執主之命者 就聚國不安 金火守之宮苑之內兵起 日月食宮內亂 一曰日食宰相大人當之郊祀神不亨 金木火土犯凶 孛起兵 彗犯民飢死 客星犯爲大兵守之五穀不成 又曰臣惑主專政 歲多獄訟.
(하구척위일월중도 역위천옥 주원목희생 공급교사 역위흥병취중 동요즉취중 직즉유집주지명자 취취국불안 금화수지궁원지내병기 일월식궁내란 일왈일식재상대인당지교사신불형 금목화토범흉 패기병 혜범민기사 객성범위대병수지오곡불성 우왈신혹주전정 세다옥송.)
루수의 아래로 9척은 해와 달이 다니는 중도(中道)이고, 또한 하늘의 옥(天獄)에 해당한다. 주로 제물(犧牲)이 될 짐승을 목장에서 길러서 교사(郊祀)나 제사 때 공급하는 일을 맡는다. 또한 병사들을 크게 기르고 무리를 모으는 일을 맡기도 한다.
루수가 움직이고 흔들리면 무리들이 모여들고, 별이 일직선으로 곧아지면 임금의 명령을 집행하는 이가 있으며, 서로 가까이 모여 있으면 나라가 불안해진다. 금성 또는 화성이 머무르면 궁궐의 정원 안에서 병란이 일어나고, 일식 또는 월식이 있으면 궁궐에서 내란이 일어난다. 일설에 의하면 일식이 있으면 재상 또는 대인(天子)이 해를 입게 되고, 교사를 지내더라도 신이 흠향하지 않는다고 한다.
금성∙목성∙화성∙토성 중의 하나라도 범하면 흉하고(수성이 범하면 길함), 패성이 들어오면 병란이 일어나며, 혜성이 범하면 백성이 굶어 죽게 되고, 객성이 범하면 큰 병란이 일어나고 머무르면 오곡이 자라지 않는다. 또 일설에는 신하가 임금을 미혹시켜 정사를 전횡하니, 그 해에 옥사(獄事)와 송사(訟事)가 많아진다고도 한다.
위(胃). (雉,치: 꿩에 해당하며 3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天之廚藏 五穀之倉也 明則四時和平 天下晏然 倉廩實 不明上下失位 動則輸運 暗則蒼空
就聚則穀貴 民流 星衆穀聚 星少穀散 客星守之 强臣凌 穀不熟 彗犯兵動臣叛 有水災穀不登 五星犯日月食孛侵並有災.
(천지주장 오곡지창야 명즉사시화평 천하안연 창름실 불명상하실위 동즉수운 암즉창공
취취즉곡귀 민유 성중곡취 성소곡산 객성수지 강신능 곡불숙 혜범병동신반 유수재곡불등 오성범일월식패침병유재.)
위수는 하늘의 주방창고이니, 오곡의 창고이다. 별이 밝으면 사계절이 화평하고, 천하가 편안하며, 창고가 가득 차게 된다.
별이 밝지 않으면 윗사람이나 아랫사람이나 모두 자신의 올바른 지위를 잃게 되며, 별이 움직이면 이곳에서 저곳으로 곡식을 옮겨 먹여야 할 일이 생기고, 별이 어두우면 창고가 비게 된다. 위(胃)의 세 별이 서로 가까이 모여들면 곡식이 귀하게 되고, 백성이 떠돌아다니게 된다. 위의 근처에 다른 별이 많으면 곡식이 모이게 되고, 위의 근처에 별이 적어지면 곡식을 풀어놓게 된다.
객성이 머무르면 권력이 센 신하가 임금을 능멸하게 되고, 곡식이 잘익지 않게 된다. 혜성이 범하면 병사들이 동요하고 신하가 모반을 꾀하며, 홍수로 인한 재앙이 있고, 곡식이 자라지 않는다. 오성이 범하거나 일식이나 월식 또는 패성이 침범하는 것 등은 모두 재앙이 있을 조짐이다.
묘(昴). (鷄,계: 닭에 해당하며 7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下爲日月中道 天之耳目也 主西方 主獄事 又爲旄頭 胡星也 又主喪 主口舌秦對 明大則君無佞臣 天下安和 暗小則佞者被誅 搖動則信讒 殺忠良 又曰明則獄訟平 暗則刑罰濫 六星興大星等大水 有白衣會 七星黃兵大起 動搖有大臣下獄 大而盡動 若跳躍 胡兵大起 一星不見 皆憂兵之象 日食王者疾 宗姓自立 月食大臣誅 女主憂 彗犯大臣爲亂 星孛其分臣下亂 有邊兵 大臣誅 流星出入犯之夷兵起.
(하위일월중도 천지이목야 주서방 주옥사 우위모두 호성야 우주상 주구설진대 명대즉군무영신 천하안화 암소즉영자피주 요동즉신참 살충량 우왈명즉옥송평 암즉형벌람 육성흥대성등대수 유백의회 칠성황병대기 동요유대신하옥 대이진동 약도약 호병대기 일성불견 개우병지상 일식왕자질 종성자립 월식대신주 여주우 혜범대신위란 성패기분신하란 유변병 대신주 유성출입범지이병기.)
묘수의 아래는 해와 달의 중도(中道)이고, 하늘의 눈과 귀가 된다. 서쪽 방위를 주관하고, 옥사(獄事)를 주관하며, 또한 변방부족의 선방을 맡은 기사(旄頭)가 되니 북쪽 오랑캐의 별이다. 또 상사(喪事)를 주관하고, 문서가 아닌 말로써 임금께 상주하는 일을 주관한다.
묘수가 밝고 크면 임금에게 아첨하는 신하가 없으며, 천하가 안정되고 화평하게 되나, 묘수가 어둡고 작으면 아첨하는 자가 생겨 나오고 주살(誅殺)당하게 된다. 흔들리고 움직이면 참소하는 자를 믿고, 충성되고 어진 사람을 죽이게 된다.
일설에는 묘수가 밝으면 옥사(獄事)와 송사(訟事)가 공평하고, 어두우면 형벌이 남용된다고도 한다. 여섯별이 큰 별과 크기가 똑같아지면 큰 홍수가 나고, 상복을 입는 사람들이 많아지며, 일곱별이 누런색을 띠면 병란이 크게 일어난다. 움직이고 흔들리면 대신(大臣)이 하옥되고, 커지면서 모든 별이 움직여 도약하는 것 같으면 북쪽 오랑캐가 병란을 크게 일으킨다. 어느 한 별이 보이지 않더라도 병란을 근심해야 하는 상이 된다.
일식이 있으면 임금에게 질병이 생기고, 왕족 중의 한 사람이 일어서 왕이 된다. 월식이 있으면 대신을 주살할 일이 생기고 황후에게 근심이 생긴다. 혜성이 범하면 대신이 난리를 일으키고, 별이 자기의 분야를 거스르면 신하가 난리를 일으키며, 변방에 병란이 일어나고, 대신을 주살하게 된다. 유성이 출입(出入)하면서 범하면 동쪽 오랑캐가 병란을 일으킨다.
필(畢). (烏,오: 까마귀에 해당하며 8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主邊兵戈獵 其大星曰天高 一曰邊將 主四夷之尉 明大則遠夷來貢 天下安 失色則邊兵亂 一星亡爲兵喪 動搖邊兵起 有讒臣 離徙天下獄亂 就聚法令酷 又主街巷陰雨 天之雨師也 胡明而移動則霖潦 及街壅塞 明而定則天下安 又爲天馬 日月食邊兵凶 將衰 木犯有軍功 又曰多風雨 月入多雨 客犯大人憂 無兵兵起 有兵兵罷 入多獄事 守爲饑 彗犯北地爲亂 人民憂星孛其分土功興 多徭役 流星犯邊兵大戰 色赤貫之戎兵大至 入而復出爲赦.
(주변병과렵 기대성왈천고 일왈변장 주사이지위 명대즉원이래공 천하안 실색즉변병란 일성망위병상 동요변병기 유참신 이사천하옥란 취취법령혹 우주가항음우 천지우사야 호명이이동즉임료 급가옹색 명이정즉천하안 우위천마 일월식변병흉 장쇠 목범유군공 우왈다풍우 월입다우 객범대인우 무병병기 유병병파 입다옥사 수위기 혜범북지위란 인민우성패기분토공흥 다요역 유성범변병대전 색적관지융병대지 입이복출위사.)
필수는 변방 병사의 수렵하고 훈련 하는 것을 주관한다. 필중에 큰 별을 천고(天高)라하고, 별명으로는 변장(邊將:변방의 장수)이라고 하니, 사방의 오랑캐를 막는 벼슬이다. 별이 밝고 크면 먼 지역의 오랑캐도 와서 조공을 하게 되고, 천하가 평안해지며, 별이 본래의 색을 잃으면 변방의 병사들이 난을 일으킨다. 한 개의 별이 없어지면 병사들에 사상자가 생기고, 움직이고 흔들리면 변방에 병란이 일어나며, 참소하는 신하가 생겨난다. 서로 떨어지며 자리를 옮기면 천하에 옥사(獄事)가 문란해지고, 다가와 모이면 법령이 가혹해진다.
또 시내의 거리를 주관하고 구름 끼고 비오는 것을 주관하니, 하늘의 비를 맡은 관리(雨師)이다. 그러므로 밝으면서 이동하면 큰 비가 내리고, 거리의 통행이 꽉 막히며, 밝으면서 안정되어 있으면 천하가 안정된다.
또 필수를 천마(天馬)라고도 한다. 일식 또는 월식이 있으면 변방의 병사에 흉사가 생기고, 그 장수도 쇠약해진다. 목성이 범하면 전쟁으로 인한 공이 있게 되고, 일설에는 바람과 비가 많게 된다고도 한다. 달이 들면 비가 많이 오게 되고, 객성이 범하면 대인(天子)에게 근심이 생기며, 병란이 없을 경우는 병란이 생기고, 병란이 있을 경우에는 병란이 그치게 된다. 객성이 들어오면 옥사(獄事)가 많게 되고, 머무르면 기근이 든다. 혜성이 범하면 북쪽 땅에서 난리가 나고, 백성이 근심에 떨게 된다. 혜성이 필수를 거스르면 그 해당하는 지역에 토목공사가 크게 일어나서 백성이 부역에 동원되고, 유성이 범하면 변방의 병사에게 큰 전쟁이 발생한다. 유성의 색이 붉어지며 가운데를 관통하면 오랑캐의 병사가 크게 쳐들어오고, 유성이 들어왔다가 다시 나가면 다시 쳐들어온 병사가 각자의 나라로 돌아간다.
자(觜). (猴,후: 원숭이에 해당하며 3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主天之關 明大則天下安 五穀熟 移動則君臣失位天下旱 爲三軍之候 行軍之藏府 主葆旅(野生之可食者) 受斂 萬物 明則軍儲盈 將得勢 動而明盜賊群行 葆旅起 動移將有逐者 金火來守國易政 兵起 灾生 日食臣不忠 月食君害臣 五星犯災生 彗孛客流犯兵起.
(주천지관 명대즉천하안 오곡숙 이동즉군신실위천하한 위삼군지후 행군지장부 주보려(야생지가식자) 수렴 만물 명즉군저영 장득세 동이명도적군행 보려기 동이장유축자 금화래수국역정 병기 재생 일식신불충 월식군해신 오성범재생 혜패객유범병기.)
자수는 하늘의 관문을 주관한다. 별이 밝고 크면 천하가 평안하고, 오곡이 잘 익는다. 움직여 다른 곳으로 가면 임금과 신하가 지위를 잃게 되고, 천하에 가뭄이 든다. 자수는 또한 삼군의 척후가 되고, 행군할 때는 군량을 두는 창고가 된다. 보려(葆旅 또는 葆瓞(보질):야생으로 식용 할 수 있는 채소)를 관장하고, 만물을 다 거두어들이는 일을 한다.
별이 밝으면 군사를 가득 모아서 장군이 세력을 얻게 되고, 움직이면서 밝으면 도적이 떼를 지어 횡행하며, 보려가 잘 자라게 된다. 움직이면서 이동하면 장군이 쫓겨나게 된다. 금성 또는 화성이 와서 머무르면 나라의 정권이 바뀌고, 병란이 일어나는 등 재앙이 생긴다. 일식이 있으면 신하가 불충하게 되고, 월식이 있으면 임금이 신하를 해치게 된다. 오성이 범하면 재앙이 생겨나고, 혜성이나 패성 또는 객성이 범하면 병란이 일어난다.
삼(參). (猿,원: 원숭이에 해당하며 10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上爲五星日月中道 又曰爲忠良孝謹之子 明大則臣忠 子孝 安吉 移動殺忠臣 一曰鈇鉞 主斬刈萬物以助陰氣 又爲天獄 主殺伐 又主權衡 所以平理也 又主邊城爲九譯 故不欲其動也 中三星 三將也 左肩主左將 右肩主右將 左足主後將軍 右足主褊將軍 七將皆明天下兵精也 王道缺則芒角張失色 軍散敗芒角動搖邊後有急 天下兵起 有斬伐之事 左足八玉井中兵大起 秦地大水 若有喪足 若突出玉井 則虎狼暴害人 差戾王臣貳 金火來守 則國易政 兵起灾生 日月食田荒米貴 客星入犯國內有斬刈事 彗犯邊兵散 君亡遠期三年 貫之色白爲兵喪 星孛于參 君臣俱憂 國兵敗 流星入犯先起兵者亡 出而光潤邊安 有赦獄空.
(상위오성일월중도 우왈위충량효근지자 명대즉신충 자효 안길 이동살충신 일왈부월 주참예만물이조음기 우위천옥 주살벌 우주권형 소이평리야 우주변성위구역 고불욕기동야 중삼성 삼장야 좌견주좌장 우견주우장 좌족주후장군 우족주편장군 칠장개명천하병정야 왕도결즉망각장실색 군산패망각동요변후유급 천하병기 유참벌지사 좌족팔옥정중병대기 진지대수 약유상족 약돌출옥정 즉호랑폭해인 차려왕신이 금화래수 즉국역정 병기재생 일월식전황미귀 객성입범국내유참예사 혜범변병산 군망원기삼년 관지색백위병상 성패우참 군신구우 국병패 유성입범선기병자망 출이광윤변안 유사옥공.)
삼수의 위쪽은 오성과 해와 달의 중도이다. 일설에는 삼이 충성스럽고 어질며 효도하는 자식이라고 하니, 별이 밝고 크면 신하가 충성하고 자식이 효도하여 안정되어 길하며, 이동하면 충신을 죽이게 된다고 한다. 또 부월(鈇鉞)이라고도 부르니, 만물을 베어 죽임으로써 음기(陰氣)를 돕는다고 한다. 또 하늘의 옥(天獄)이 되니 주로 죽이고 정벌하는 것을 주관하고, 또 권형(權衡)이 되니 공평하게 다스리는 것이다. 또 변방의 성(城)을 주관하고, 구역(九譯:아홉 번이나 통역해야 되는 아주 먼 땅)이 되므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
가운데의 세 별은 세 장수를 뜻하고, 왼쪽 어깨는 좌장군(左將軍)이 되며, 오른쪽 어깨는 우장군(右將軍)이 되고, 왼쪽 다리는 후장군(後將軍)이 되며, 오른쪽 다리는 편장군(編將軍)이 되니, 일곱 장수(별)가 다 밝으면 천하의 병사들이 정예병이 된다고 한다.
왕도(王道)가 결여되면, 별 끝이 뿔같이 까끄라기가 일고 별자리가 펼쳐지며 별이 색을 잃게 되면 군대가 흩어져 패하게 된다. 별 끝이 뿔같이 까끄라기가 일고 움직이며 흔들리면 변방에 급박한 징후가 나타나고, 천하에 병란이 일어나서 목을 베고 치는 일이 생긴다. 왼쪽 다리가 옥정 안으로 들어가면 병란이 크게 일어나고 진(秦)나라 땅에 큰 홍수가 발생한다. 만약에 다리가 없어지거나, 옥정 밖으로 돌출되면 호랑이와 이리가 포악해져서 사람에게 해를 끼치며, 임금의 차사가 명령을 어기고 신하가 두 마음을 품게 된다.
금성 또는 화성이 와서 머무르면 나라의 정권이 바뀌고, 병란이 일어나는 등 재앙이 발생한다. 일식 또는 월식이 있으면 밭이 황폐해지고 쌀이 귀하게 된다. 객성이 들어와 범하면 나라 안에 목을 베어 죽일 일이 발생하고, 혜성이 범하면 변방의 병사들이 흩어져서 임금이 멀리 몽진(蒙塵)하여 삼 년 후에나 돌아온다. 혜성이 관통해서 별이 흰색으로 변하면 병사들을 잃게 되고, 혜성이 삼수를 거스르면 임금과 신하에게 모두 우환이 생기며, 나라의 병사들이 패하게 된다. 유성이 들어와 범하면 먼저 군사를 일으킨 자가 망하고, 유성이 나가면서 빛이 윤택하면 변방이 안정되며, 사면령이 있게 되어 옥이 텅텅 비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