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尾生之信
尾生之信
尾 꼬리 미 生 날 생 之 어조사 지 信 믿을 신
“尾生之信 미생지신”이란
미생이란 사람의 믿음이란 뜻으로,
미련하도록 약속을 굳게 지키는 것이나,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로써
사기史記 소진열전蘇秦列傳과 장자莊子 도척편盜跖篇에
나오는 한 구절입니다.
"尾生之信미생지신"
춘추시대 노魯나라에 미생尾生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사랑하는 여자와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약속하고 기다렸으나
여자가 오지 않자 소나기가 내려 물이 밀려와도 끝내 자리를 떠나지 않고
기다리다가 마침내 교각을 끌어안고 죽었다.
(信如尾生 與女子期於梁下 女子不來 水至不去 抱柱而死)
(신여미생 여여자기어양하 여자불래 수지불거 포주이사)
전국시대의 종횡가로 이름이 난 소진蘇秦은
연燕나라의 소왕昭王을 설파할 때에 이 이야기를 예로 들어
자신의 신의를 강조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장자는 도척편에서 공자와 대화를 나누는 도척의 입을 빌어
미생의 융통성 없고 어리석음을 다음과 같이 통박하고 있습니다.
“이런 인간은 제사에 쓰려고 찢어발긴 개나 물에 떠내려가는 돼지,
아니면 쪽박을 들고 빌어먹는 거지와 다를 바 없다.
쓸데없는 명분에 빠져 소중한 목숨을 가벼이 여기는 인간은
진정한 삶의 길을 모르는 놈이다.”
전국책에서는 미생과 같은 신의는
단지 사람을 속이지 않는 데 불과할 따름이라고 하고,
회남자에서도 미생의 신의는 차라리 상대방을 속여
순간의 위험을 피하고 후일을 기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고 하였습니다.
미생尾生의 신의信義와 융통성은
저 마다의 주관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춘추시대, 노(魯)나라에 미생(尾生 : 尾生高)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어떤 일이 있더라도 약속을 어기는 법이 없는 사나이였다.
어느날 미생은 애인과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그는 정시(定時)에 약속 장소에 나갔으나 웬일인지 그녀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이 계속 그녀를 기다리고 있는데 갑자기 장대비가 쏟아져 개울물이 불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생은 약속 장소를 떠나지 않고 기다리다가 결국 교각(橋脚)을 끌어안은 채 익사(溺死)하고 말았다.
“尾生은 믿음으로써 여자와 더불어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기약하고, 여자가 오지 않자, 물이 밀려와도 떠나지 않아, 기둥을 끌어안고서 죽었다.”
① 전국시대, 종횡가로 유명한 소진(蘇秦)은 연(燕)나라 소왕(昭王)을 설파(說破)할 때, <신의있는 사람의 본보기>로 앞에 소개한 미생의 이야기를 예로 들고 있다.
② 그러나 같은 전국시대를 살다간 莊子의 견해는 그와 반대로 부정적이었다.
莊子는 그의 우언(寓言)이 실려 있는《莊子》‘盜?篇’에서 근엄 그 자체인 孔子와 대화를 나누는 유명한 도둑 도척(盜?)의 입을 통해서 미생을 이렇게 비판하고 있다.
“이런 인간은 책형(?刑) 죄인을 기둥에 묶고 창으로 찔러 죽이던 형벌.당한 개나 물에 떠내려간 돼지 아니면 쪽박을 들고 빌어먹는 거지와 마찬가지다.
쓸데없는 명목(名目)에 구애되어 소중한 목숨을 소홀히 하는 인간은
진정한 삶의 길을 모르는 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