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學問之樂, 以自得爲樂-공부란?
浩 根 書 堂
2010. 11. 27. 04:19
衣食之樂, 以忘憂爲樂, 學問之樂, 以自得爲樂.
의식지락, 이망우위락, 학문지락, 이자득위락.
의식(衣食)의 즐거움이란, (춥고 배고픈) 근심을 잊음을 즐거움으로 여기는 것이다. 학문의 즐거움이란 스스로 깨달아 얻음을 즐거움으로 여기는 것이다.
■ 自得 : 스스로 깨달아 얻음 以A爲B : A를 B로 여기다
衣(옷 의) 食(밥 식) 之(갈 지) 樂(즐길 락{풍류 악,좋아할 요}), 以(써 이) 忘(잊을 망) 憂(근심할 우) 爲(할 위) 樂(즐길 락{풍류 악,좋아할 요}), 學(배울 학) 問(물을 문) 之(갈 지) 樂(즐길 락{풍류 악,좋아할 요}), 以(써 이) 自(스스로 자) 得(얻을 득) 爲(할 위) 樂(즐길 락{풍류 악,좋아할 요}).
故身體, 以衣食而成長, 心性以自得而進就.
고신체, 이의식이성장, 심성이자득이진취.
그러므로 신체는 옷과 음식으로써 자라고, 심성은 스스로 깨달아 얻음으로써 나아가 이룬다. <최한기의 명남루 총서>
故(옛 고) 身(몸 신) 體(몸 체), 以(써 이) 衣(옷 의) 食(밥 식) 而(말 이을 이) 成(이룰 성) 長(길 장), 心(마음 심) 性(성품 성) 以(써 이) 自(스스로 자) 得(얻을 득) 而(말 이을 이) 進(나아갈 진) 就(이룰 취
출처 : 도서관과 사회마당
글쓴이 : 한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