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駑馬十駕,功在不舍

浩 根 書 堂 2010. 12. 7. 15:04

'준마라도 한꺼번에 열 발짝을 뛸 수 없고, 둔마라도 천리를 가는 것은 쉬지 않은 덕이다'

 

 騏驥一躍,不能十步,駑馬十駕,功在不舍

(기기일약,  불능십보,  노마십가,    공재불사)

 '駑馬'(둔할 노/말 마)가 나온다.'느리고 둔한 말'이라는 뜻인데, 자기를 비유적으로 낮추어 '둔하고 재능이 모자란 사람'이라는 謙讓(겸양)의 표현이기도 하다.

駑자는 빨리 달리지 못하는 '둔한 말'을 뜻하기 위한 것으로 반대의 뜻을 가진 漢字(한자)에는 騏(준마 기),驥(천리마 기) 등이 있다.用例(용례)로는 '駑怯(노겁:미련하고 겁이 많음),駑鈍(노둔:둔하고 어리석어 미련함),罷駑(파노:쓸모없는 둔재를 이름)' 등이 있다.

'馬'는 갈기를 휘날리며 달리는 말의 모습을 본뜬 象形字(상형자).'犬馬之勞(견마지로: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馬脚(마각:가식하여 숨긴 본성이나 진상),塞翁之馬(새옹지마: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등에 쓰인다.

'戰國策(전국책)'에는 合縱策(합종책)을 주도하는 등의 話術(화술)로 戰國時代(전국시대)를 풍미한 遊說客(유세객) 소진(蘇秦)의 이야기가 전한다. 그가 齊(제)나라 민왕(閔王)을 설득한 말 가운데 '駑馬'라는 단어가 보인다."천리마도 기력이 쇠하면 노둔한 말이 천리마를 앞서고, 맹분(孟賁:중국 제나라 때의 역사)이 피곤에 지치면 아녀자들도 그를 이길 것이다.(麒之衰也,駑馬先之.孟賁之倦也,女子勝之)"라고 하였다.

또 '荀子(순자)' 勸學(권학)편에도 '駑馬'라는 단어가 보인다.荀子는 재주 없는 사람이라도 열심히 노력하면 훌륭한 사람에게 미칠 수 있음을 비유하여 이렇게 표현하였다."반보 걸음이 쌓이지 않고서는 천리에 이를 수 없고, 작은 支流(지류)가 모이지 않는다면 강과 바다를 이루지 못한다. 천리마라도 한꺼번에 열 걸음을 뛸 수는 없고, 노둔한 말이라도 열흘 길을 가게 되는 것은 그치지 않고 계속하는 덕이다." (不積 步 無以至千里 不積小流 無以成江海.騏驥一躍 不能十步 駑馬十駕 功在不舍)

같은 책 修身(수신)편에는 "무릇 천리마는 하루에 천리를 달리지만, 노둔한 말도 열흘 동안 달린다면 또한 여기에 이를 것이다.(夫驥一日而千里,駑馬十駕則亦及之矣)"라는 말도 보인다.

조선 전기의 학자 姜希孟의 登山說(등산설)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魯(노)나라에 세 아들을 둔 사람이 있었는데, 첫째는 성품이 침착하였으나 발을 절었고, 둘째는 奇異(기이)한 것을 좋아하고 몸이 온전하였으며, 막내는 행동이 輕薄(경박)스러웠으나 몸이 날래고 勇猛(용맹)하였다.

어느날 이들 삼형제는 泰山(태산)을 오르기로 하였다. 둘째와 막내는 자신들의 재주만 믿고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산 중턱에 겨우 當到(당도)했을 무렵 어둠이 내렸다. 그때 첫째는 쉬지 않고 걸어 頂上(정상)에 올랐고 다음날 새벽에는 일출 光景(광경)까지 目擊(목격)하였다.

이들이 집에 돌아오자 아버지는 자식들로부터 自初至終(자초지종)을 듣고는 이렇게 말하였다."자로(子路)의 용맹과 염구(求)의 재주로도 끝내 孔子(공자)의 경지에 이르지 못하였으나 노둔한 증자(曾子)는 마침내 이르렀으니, 너희들은 이 점을 記憶(기억)할 필요가 있다."

김석제 경기도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 荀子 勸學 - 

출처 : 도서관과 사회마당
글쓴이 : 한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