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세시(歲時)의 별칭
浩 根 書 堂
2011. 1. 13. 11:46
세시(歲時),나이,계절,절후(節侯),이십사절후(二十四節候)별칭
세시(歲時)의 별칭
1 月 |
정월(正月) 원월(元月) 조춘(肇春) 맹춘(孟春) 추월( 月) 초춘(初春) 신춘(新春) 상춘 (上春) 단월(端月) 건인(建寅) 맹추(孟 ) 왕월(王月) 인월(寅月) |
2 月 |
중춘(仲春) 여월(如月) 협종(夾鐘) 중양(仲陽) 영월(令月) |
3 月 |
계춘(季春) 고세(姑洗) 모춘(暮春) 설월(楔月) |
4 月 |
조하(肇夏) 여월(餘月) 중려(仲呂) 맹하(孟夏) 초하(初夏) |
5 月 |
중하(仲夏) 고월(皐月) 초하(超下) 류월(榴月) 포월(蒲月) |
6 月 |
계하(季夏) 차월(且月) 임종(林鐘) 만하(晩夏) 초월(秒月) 하월(荷月) |
7 月 |
조추(肇秋) 상월(相月) 이칙(夷則) 맹추(孟秋) 상추(上秋) 초추(初秋) 신추(新秋) 과월 (瓜月) 란월(蘭月) 칠석월(七夕月) |
8 月 |
중추(仲秋) 장월(壯月) 남려(南呂) 계월(桂月) 중상(仲商) 엽월(葉月) 유월(酉月) |
9 月 |
계추(季秋) 현월(玄月) 무사(無射) 만추(晩秋) 모추(暮秋) 초추(秒秋) 계상(季商) 국월 (菊月) 궁추(窮秋) |
10月 |
조동(粗銅) 양월(陽月) 응종(應鐘) 맹동(孟冬) 양월(良月) 초동(初冬) 해월(亥月) |
11月 |
중동(仲冬) 고월(辜月) 황종(黃鐘) 자월(子月) 상월(霜月) 상강월(霜降月) |
12月 |
계동(季冬) 도월( 月) 대려(大呂) 만동(晩冬) 계월(季月) 모동(暮冬) 초동(秒冬) 궁동 (窮冬) 극월(極月) 납월(蠟月) 궁음(窮陰) 삼동월(三冬月) |
지학(志學) |
15살 | |
약관(弱冠) |
20살 | |
이입(而立) |
30살 | |
불혹(不惑) |
40살 | |
지명(知命) |
50살 | |
이순(耳順) |
60살 | |
종심(從心) |
70살 | |
육순(六旬) |
六十 | |
칠순(七旬) |
七十 | |
칠질(七秩) |
61세에서 70세까지 | |
팔질(八秩) |
71세에서 80세까지 | |
화갑(華甲) |
환갑(還甲) | |
고희(古稀) |
70세 | |
망륙(望六) |
예순을 바라봄. 51세 | |
망칠(望七) |
일흔을 바라봄. 61세 | |
망팔(望八) |
여든을 바라봄. 71세 | |
망구(望九) |
아흔을 바라봄. 81세 | |
망백(望百) |
백살을 바라봄. 91세 | |
미수(米壽) |
팔십 팔세 | |
백수(白壽) |
구십 구세 |
계절의 별칭
춘(春) |
청양(靑陽) 창천(蒼天) 청제(靑帝) 청황(靑皇) 동제(東帝) 동군(東君) |
하(夏) |
주명(朱明) 호천(昊天) 괴서(槐序) 염서(炎序) 염절(炎節) 번계(蕃季) |
추(秋) |
백장(白藏) 민천(旻天) 수성(收成) 금상(金商) 소상(素商) 고상(高商) 정양(精陽) |
동(冬) |
상천(上天) 현영(玄英) 엄절(嚴節) 원동(元冬) 현명(玄冥) 폐장(閉藏) |
절후(節侯)의 별칭
1월 1일 |
원단(元旦), 정단(正旦), 원조(元朝), 정조(正祖), 원진(元辰) |
1월 15일 |
정월대보름, 상원(上元), 원소(元宵), 원석(元夕) |
2월 1일 |
중화절(中和節) - 조선조 22대 정조때부터 말기까지 행하던 풍속의 하나. 이날이 되면 어전에서 임금이 자(尺)를 재상과 근신들에게 나눠주어 중화절임을 아리었는데, 임금이 자를 나누어 주는 뜻은 농업에 힘쓰게 하려는 것이라 함. 또한 각 농가에서는 새알 볶아라 쥐알 볶아라, 콩 볶아라 하면서 콩을 볶아 먹는데, 이는 새와 쥐가 없어져서 곡식을 축내는 일이 없도록 하는 일종의 주술적인 말이었다. |
2월 12일 |
화조(花朝) - 중국 당대(唐代)에 모든 꽃의 생일날로 2월 15일을 정하여 기념하였는데 후에 2월 12일로 바뀌었다. |
3월 3일 |
삼짓날, 중삼(重三), 상사(上巳), 영절(令節) |
4월 8일 |
연등절(燃燈節) |
5월 5일 |
수릿날, 단오(端午), 단양(端陽), 천중절(天中節), 중오(重五), 주색(朱索), 포절(蒲節), 오절(午節) |
6월 15일 |
유두(流頭) - 맑은 물에 목욕하고 하루를 정결하게 보내며, 유두면, 수단, 건당, 연병 등의 음식을 만들어 먹음 매우(梅雨) - 6월 중순부터 7월 상순까지 계속되는 장마를 이르는 말. 매화나무 열매가 익을 무렵에 지는 장마라는 뜻임. 매림(梅霖) 미우(黴雨) |
7월 7일 |
칠석(七夕), 성절(星節) |
7월 15일 |
중원(中元), 백종(百種), 백중(百衆), 망혼일(亡魂日) |
8월 15일 |
한가위, 중추(仲秋), 추절(秋節), 가배일(嘉俳日) |
9월 9일 |
중양(重陽), 중구(重九), 중력(重力), 국화절(菊花節) |
12월 30일 |
섣달그믐, 제석(除夕) |
하지(夏至) |
장지(長至) |
동지(冬至) |
남지(南至), 지월(至月), 지절(至節) |
중삭(仲朔) |
봄, 여름, 가을, 겨울에서 가운데 달들을 두루 이르는 말. 곧 음력 2월, 5월, 8월, 11월을 뜻하며 중월(仲月)이라고도 한다 |
봄 | 가을 |
입춘(立春 ; 2월 4일이나 5일) 우수(雨水 ; 2월 19일이나 20일) 경칩(驚蟄 ; 3월 5일이나 6일) 춘분(春分 ; 3월 21일이나 22일) 청명(淸明 ; 4월 5일이나 6일) 곡우(穀雨 ; 4월 20일이나 21일) |
입추(立秋 ; 8월 8일이나 9일) 처서(處暑 ; 8월 23일이나 24일) 백로(白露 ; 9월 8일이나 9일) 추분(秋分 ; 9월 23일이나 24일) 한로(寒露 ; 10월 8일이나 9일) 상강(霜降 ; 10월 23일이나 24일) |
여름 | 겨울 |
입하(立夏 ; 5월 6일이나 7일) 소만(小滿 ; 5월 21일이나 22일) 망종(芒種 ; 6월 6일이나 7일) 하지(夏至 ; 6월 21일이나 22일) 소서(小暑 ; 7월 7일이나 8일) 대서(大暑 ; 7월 23일이나 24일) |
입동(立冬 ; 11월 7일이나 8일) 소설(小雪 ; 11월 22일이나 23일) 대설(大雪 ; 12월 7일이나 8일) 동지(冬至 ; 12월 22일이나 23일) 소한(小寒 ; 1월 6일이나 7일) 대한(大寒 ; 1월 20일이나 21일 |
출처 : 사단법인)한국전례원 - 社團法人 韓國典禮院 - ( jeonyewon )
글쓴이 : 根熙 김창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