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품사에 대하여..

浩 根 書 堂 2011. 8. 3. 15:50
   2. 품사에 대한 이해


  우리가 작문을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한문

문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주어 + 서술어
② 주어 + 서술어 + 목적어
③ 주어 + 서술어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④ 주어 + 서술어 + 목적어 + 보어

의 네가지 유형이 있다. 문장구조가 영어와 유사점이 많다.

그래서 중국인들이 영어를 빨리 배운다고들 한다. 이 네가

지 문형을 알아야 작문이 가능하고, 독해를 할 때에도 마찬

가지이다. 그래서 이 문형을 반드시 암기해 두기 바란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에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고,

오늘은 이 문형을 구성하는 요소인 품사에 알아보기로 한

다.

  품사론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른 견해와 용어

를 사용하고 있으나, 한문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품사는 대

략 10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명사: 인명, 지명, 모든 구체적 사물과 추상적 개념을 나

타내는 품사임. 문장 속에서 주로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

어, 관형어(명사를 수식하는 것), 부사어로 쓰임.

② 대명사: 명사를 대신하여 쓰이는 품사. 주어, 서술어, 목

적어, 관형어, 보어가 되며, 때로  서술어로도 사용된다.

       * 인칭대명사

        - 1인칭: 吾, 我, 予, 己, 身, 朕, 台,  , 走.
          (謙稱): 愚, 臣, 兒, 妾, 小子, 僕, 朕, 孤, 寡人, 小人, 不穀.

        - 2인칭: 汝, 女, 爾, 若, 乃, 而.
          (謙稱): 子, 公, 君, 卿,  , 夫子, 先生, 陛下, 大人, 吾子, 足下.

        - 3인칭: 彼, 夫, 渠.

      * 사물대명사

        - 근칭: 此, 玆, 斯, 之, 是, 寔, 時, 爾, 己, 焉(於是), 諸(之於).

        - 중칭: 其, 厥.

        - 원칭: 彼, 若, 匪, 夫, 厥, 乃.

        - 부정칭: 某, 或, 各, 皆, 咸.

      * 의문대명사

        - 사람을 가리키는 것: 誰, 孰, 疇.

        - 사물을 가리키는 것: 何, 奚, 曷, 安, 焉, 胡, 那, 台, 以.       

③ 수사: 수와 양을 계산하거나 사물의 차례를 정하는 품

사. 주로 주어, 관형어, 서술어가 되며, 때로 부사어, 목적

어, 보어로도 사용된다.

④ 동사: 사물의 동작, 행위, 존재, 발전, 변화를 나타내는

품사. 주로 서술어로 사용되며, 때로 관형어, 부사어, 주어,

목적어, 보어로도 사용된다.

⑤ 형용사: 삶이나 사물의 형상, 성질, 상태 등을 나타내는

품사. 주로 관형어, 서술어로 사용되고, 때로 부사어, 주어,

목적어, 보어로도 사용된다.

⑥ 부사: 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를 한정하는 품사이

다. 주로 부사어로 사용되며, 때로 서술어 뒤에서 보어로

사용된다.

⑦ 접속사: 정(節)이나 문장뿐 아니라 단어와 단어 또는 각

성분간을 연결하는 품사이다.

⑧ 개사: 명사, 대명사, 혹은 명사성결구 앞에서 시간, 장

소, 원인, 방법 등을 표시하는 품사이다.

       - 시간개사: 於, 在, 自, 向, 乎, 諸, 從,  , 比, 及, 由, 因, 與, 于, 以.

       - 원인개사: 以, 因, 緣, 由, 於, 此, 于, 爲.

       - 방법개사: 爲, 用, 與, 此, 於, 以, 于, 用.

⑨ 조사: 발어, 제시, 휴지, 평서, 의문, 명령, 감탄 등 어기

를 표시하는 품사이다.

⑩ 감탄사: 감정의 발로나 의지의 발동에 의하여 내는 소리

로, 감동, 놀람, 부름, 응답 등을 나타내는 품사이다.

 

출처 : 서정한문서예교실
글쓴이 : 서정 원글보기
메모 :
댓글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