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화의 화제 ■
⊙ 瓊花浴月(경화욕월) - 구슬 같은 매화가 달빛에 어른거린다.
⊙ 孤芳皎潔(고방교결) - 고고히 꽃답고 맑고 깨끗함.
⊙ 孤芳獨茂(고방독무) - 고고히 꽃답고 홀로 무성함.
⊙ 高士美人(고사미인) - 지조있는 선비와 아름다운 여인 같은 매화.
⊙ 孤山淸影(고산청영) - 외로운 산 맑은 그림자.
⊙ 空山裁玉(공산재옥) - 고요한 산에 옥을 발라놓은 것 같은 매화.
⊙ 空山裁玉(공산재옥) - 고요한 산에 핀 매화.
⊙ 君子之交(군자지교) - 매화의 지조는 군자의 사귐.
⊙ 冷香寒玉(냉향한옥) - 싸늘한 향기가 찬 구슬같은 매화.
⊙ 萬古淸香(만고청향) - 만고에 변함없는 향기.
⊙ 萬玉玲瓏(만옥영롱) - 매화가 일만 구슬처럼 영롱하다.
⊙ 梅林解渴(매림해갈) - 매화 수풀에서 갈증을 푼다.
⊙ 梅竹雙淸(매죽쌍청) - 매화와 대가 둘다 맑다.
⊙ 墨影含芳(묵영함방) - 수묵으로 그린 매화의 그림자가
꽃다운 향기를 머금었네.
⊙ 芳信先傳(방신선전) - 꽃다운 봄 소식을 먼저 전하는 매화.
⊙ 雪裏開花(설리개화) - 눈 속에 꽃이 핀다.
⊙ 歲寒三友(세한삼우) - 추위 속의 소나무 대나무 매화.
⊙ 歲寒二雅(세한이아) - 추위 속의 대나무 매화.
⊙ 歲寒二友(세한이우) - 추위속의 매화 국화.
⊙ 素艶芳馨(소염방형) - 흰 꽃송이 꽃다운 향기.
⊙ 素艶芳馨(소염방형) - 흰 꽃송이에 꽃다운 향기.
⊙ 疎影橫斜(소영횡사) - 매화의 성긴 그리자 옆으로 비스듬히 누웠네.
⊙ 神僊雪氷(신선설빙) - 신선의 고장함이 눈과 얼음과 같다.
⊙ 暗香籠月(암향농월) - 달빛에 어려 있는 매화.
⊙ 暗香浮動(암향부동) - 매화 향기가 떠서 움직인다.
⊙ 暗香疎影(암향소영) - 매화의 향기와 가지의 그림자.
⊙ 雨香雲淡(우향운담) - 비는 향기롭고 구름은 담담하다.
⊙ 韻勝格高(운승격고) - 운치가 뛰어난 격조높은 매화.
⊙ 幽姿疎影(유자소영) - 은은한 자태와 그윽한 그림자.
⊙ 幽香帶月(유향대월) - 그윽한 향기에 달빛이 서리었다.
⊙ 一庭春色(일정춘색) - 매화가 피니 온 뜰이 봄빛이로다.
⊙ 一枝春信(일지춘신) - 매화 한 가지가 봄 소식을 전한다.
⊙ 一枝春花(일지춘화) - 한가지의 봄꽃.
⊙ 臨風一笑(임풍일소) - 봄바람에 핀 매화의 웃는 모습.
⊙ 節操自持(절조자지) - 절개와 지조를 스스로 지닌 매화.
⊙ 早梅春信(조매춘신) - 일찍 핀 매화가 봄 소식을 전한다.
⊙ 早傳春信(조전춘신) - 일찍 봄 소식을 전하는 매화.
⊙ 蒼龍臥雪(창룡와설) - 눈에 덮인 매화 가지.
⊙ 鐵骨生春(철골생춘) - 매화의 가지에서 봄이 왔네.
⊙ 淸香暗送(청향암송) - 맑은 향기를 보내는 매화.
⊙ 寒骨淸珍(한골청진) - 찬 뼈대에 맑은 구슬같은 매화.
⊙ 江路野梅香(강로야매향) - 강 길에는 들 매화 향기롭다.
⊙ 溪梅作小春(계매작소춘) - 시냇가의 매화가 작은 봄을 이루었다.
⊙ 孤芳壓俗姿(고방압속자) - 고고한 꽃다움이 속된 모습 누르다.
⊙ 弄花香滿衣(농화향만의) - 매화를 희롱하니 그 향기가 옷에 가득하다.
⊙ 梅邊別有香(매변별유향) - 매화나무 주변에 별다른 향기가 있네.
⊙ 梅邊有別春(매변유별춘) - 매화 주변에는 특별한 봄이 있노라.
⊙ 梅將雪共春(매장설공춘) - 매화는 눈과 봄을 함께한다.
⊙ 梅化如高人(매화여고인) - 매화는 기품이 고사와 같다.
⊙ 餘香千載淸(여향천재청) - 매화에서 풍기는 그윽한 향기는
천년 뒤까지 맑으리.
⊙ 雨熟野梅黃(우숙야매황) - 비 한동안 오니 야매는 노래진다.
⊙ 早梅消息動(조매소식동) - 이른 매화는 보이게 안보이게 움틀대다.
⊙ 淸極不知寒(청극부지한) - 지극히 맑은 매화가 추위도 모르네.
⊙ 春近有梅知(춘근유매지) - 봄이 가까움을 매화가 있어 알겠노라.
⊙ 風吹梅徑香(풍취매경향) - 바람이 매화 길에 부니 향기롭다.
⊙ 香中別有韻(향중별유운) - 그윽한 향기 속에 특별한 운치가 있다.
⊙ 江上梅花獨自春(강상매화독자춘) - 강 위의 매화는 홀로 스스로의 봄.
⊙ 梅花獨對寒流潔(매화독대한류결) - 매화는 찬 시내를 대해 홀로 맑다.
⊙ 半夜梅花人夢香(반야매화인몽향) - 밤중에 매화는 꿈에 들어와 향기롭다.
⊙ 半窓明月數株梅(반창명월수주매) - 반쯤 열린 창문밖의 밝은 달 아래 두어
그루의 매화나무.
⊙ 氷肌玉骨不知寒(빙기옥골부지한) - 얼음과 같은 살갗, 옥 같은 뼈에 추위를
알지 못하네.
⊙ 氷姿雪魂自無塵(빙자설혼자무진) - 얼음같은 모습과 눈같은 정신이 스스로
티끌을 없앤다.
⊙ 雪裏香來蝶未知(설리향래접미지) - 눈속에서 향기나니 나비 알지 못한다.
⊙ 雪滿山中高士臥(설만산중고사와) - 눈 가득한 산속에 고사인 매화 누웠다.
⊙ 瘦梅疏竹一窓風(수매소죽일창풍) - 메마른 매화 성긴 대, 한 창의 바람.
⊙ 水邊林下自燃春(수변임하자연춘) - 물가의 수풀 아래는 자연히 봄이다.
⊙ 水殿風來暗香滿(수전풍래암향만) - 물가의 전각에 바람이 불어오니 매화의
그윽한 향기가 전각에 가득하다.
⊙ 心與梅花一樣淸(심여매화일양청) - 마음은 매화와 더불어 한결같이 맑다.
⊙ 愛梅自古屬詩人(애매자고속시인) - 매화 사랑함은 자고로 시인에 속한다.
⊙ 玉雪爲骨氷爲魂(옥설위골빙위혼) - 옥 같은 눈을 뼈로 삼고 맑은
얼음으로 혼을 삼네.
⊙ 一枝梅花和雪香(일지매화화설향) - 한 가지 매화가 눈과 더불어 향기롭네.
⊙ 一枝疏影臥東窓(일지소영와동창) - 한가지 성긴 그림자 동창에 와 누웠다.
⊙ 竹裏梅花淡泊香(죽리매화담박향) - 대나무 속에 매화가 피니. 그 향기 담박하다.
⊙ 枝繞春風降雪香(지요춘풍강설향) - 매화나무 가지에 봄바람이 부니 내리는
눈도 향기롭다.
⊙ 晴雪梅花照玉堂(청설매화조옥당) - 개인 눈과 매화꽃이 집안에 비치네.
⊙ 春近野梅香欲動(춘근야매향욕동) - 봄 닥아오자 야매의 향기 동하려 한다.
⊙ 春到梅邊千里心(춘도매변천리심) - 봄이 매화가지에 이르니 마음은 벌써
술렁이네.
⊙ 獨有梅花白 含香色相奇(독유매화백 함향색상기) -
홀로 핀 매화가 희니 향기를 머금은 빛깔이 더욱 신기롭다.
⊙ 素艶雪凝樹 淸香風漫枝(소염설응수 청향풍만지) -
흰 꽃은 눈이 나무에 엉긴 것 같고, 맑은 향기는 바람결에 가지가 가득하다.
⊙ 香中別有韻 淸極不知寒(향중별유운 청극부지한) -
매화의 향기 속에 특별한 운치가 있고 맑음이 극진하여 추위를 모른다.
⊙ 風引三春香 雪弄南枝色(풍인삼춘향 설롱남지색) -
사람은 삼춘가절의 향기를 끌어오고, 눈송이 같은 매화는 남쪽 가지의 빛을
희롱한다.
⊙ 獨有梅花白 含香色相奇(독유매화백 함향색상기) -
홀로 핀 흰 꽃이 향기를 품으니 빛깔이 더욱 신기하구나.
⊙ 昨夜前村深雪陽春又見梅花(작야전촌심설양춘우견매화) -
간밤에 앞마을에 눈이 많이 내리더니, 따뜻한 봄에 다시 매화꽃을 보네.
⊙ 老枝橫出數花新 誰寄茅齊雪夜春(노지횡출수화신 수기모제설야춘) -
늙은 매화가지 가로 뻗어 두어 꽃 새로우니 뉘라서 초가에 눈 오는 밤 봄을
보냈나.
⊙ 萬花敢向雪中出 一樹獨先天下春(만화감향설중출 일수독선천하춘) -
일만 송이 꽃이 감히 눈을 뚫고 나오니, 한 그루의 매화나무가 온 천지에
봄을 앞질렀네.
⊙ 雪消晴幹寒餘白 月上疏枝淡似金(설소청간한여백 월상소지담사금) -
눈 녹고 개인 가지에 고드름이 희게 달리고 달은 늙은 가지에 올라
금과같이 맑네.
⊙ 疏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소영횡사수청천 암향부동월황혼) -
성긴 그림자 가로 비끼니 물 맑고 얕아 그윽한 향기 떠도니 달은 황혼이라.
⊙ 素節自矜高士操 淡粧元稱美人心(소절자긍고사조 담장원칭미인심) -
깨끗한 절개는 선비의 지조를 자랑하고 소박한 단장은 본래 미인의 마음일세.
⊙ 詩高自與梅花好 食談方知菜味長(시고자어매화호 식담방지채미장) -
시흥 높으니 스스로 매화 좋아해 식성 담박하니 바야흐로 채소 맛좋음 알더라.
⊙ 有梅花處惜無酒 三嗅淸香當一杯(유매화처석무주 삼후청향당일배) -
매화 있는데 술이 없음이 애석하나, 세 번 향기를 맡으매 술 한잔 마신 것 같도다.
⊙ 臨水一枝春早占 照人千樹雪同淸(임수일지춘조점 조인천수설동청) -
물에 임한 한가지가 봄을 일찍차지해 사람에 비친 많은 나무 눈과 같이 맑아라.
⊙ 姑射仙人氷雪容 塵心已共彩雲空 年年一笑相逢處 長在愁煙苦霧中
(고사선인빙설용 진심이공채운공 연년일소상봉처 장재수연고무중) -
고사산 선인의 빙설같은 모습 속진의 마음 이미 채운과 함께 비웠다.
해마다 한 번 피어
서로 만나는 곳에 모진 안개속에 수연이 길이 있다.
⊙ 君自故鄕來 應知故鄕事 來日綺窓前 寒梅着花未
(군자고향래 응지고향사 내일기창전 한매착화미) -
그대 고향에서 왔으니 응당 고향 일 알리라 오던 날 비단창 앞에 한매
꽃이 치었더냐.
⊙ 梅花得月太淸生 月到梅花越樣明 梅月蕭疎雨奇絶 有人踏月繞花香
(매화득월태청생 월도매화월양명 매월소소우기절 유인답월요화향) -
매화가 달 얻으면 하늘이 생기고 달 매화에 이르면 모양 날려 밝다. 매월이
쓸쓸하니 비 더욱
기이하고 사람 달빛 밟으니 꽃향기 둘렸다.
⊙ 梅花莫嫌小 花小風味長 私見竹外影 時聞月下香
(매화막혐소 화소품미장 사견죽외영 시문월하향) -
매화 꽃 작다고 싫어하지 마라. 꽃이 작으면 풍미 뛰어난다.
잠깐씩 대 밖의 그림자도 보고 때로는 달빛 아래 향기도 맡는 것을.
⊙ 夢覺瑤臺踏月華 香魂影橫 斜 似嫌玉色天然白 一夜東風染彩霞
(몽각요대답월화 향혼고고영횡사 사혐옥색천연백 일야동풍염채하) -
꿈 깨어 요대에서 달 빛을 밞으니 꽃 향기 고고히 그림자 가로 비꼈다.
옥색 싫은 것 같아 천연으로 흰데 하룻 밤 동풍이 아름다운 노을 물들인다.
⊙ 問春何妻來 春來在何許 月墜花不言 幽禽自相語
(문춘하처래 춘래재하허 월추화불언 유금자상어) -
묻나니 봄은 어디서 오며 봄은 와서 어디메 있는가. 달이 지고 나자 꽃은
말 없는데 깊은 산의 새들 스스로 속삭인다.
⊙ 白雪初晴皓月來 暗香疎影臘前梅 自將冷淡欣然立 不向東風怨未開
(백설초청호월래 암향소영납전매 자장냉담흔연립 불향동풍원미개) -
흰 눈 개이자 밝은 달 떠오니 은은한 향기 성긴 그늘의 섣달의 매화 몸소 냉담하게
혼연히 서서 오지않는 동풍을 원망해 피지 않네.
⊙ 百玉堂中樹 開花近客杯 滿天風雪裏 何妻得夫來
(백옥당중수 개화근객배 만천풍설리 하처득부래) -
백옥당 가운데 있는 나무에 꽃이 피면 가까이 있는 손님 술잔을 든다.
하늘 가득 찬 풍설속에 어디에서 이것을 얻어 왔는가.
⊙ 碧癎千尋逈 寒梅幾樹春 芳枝邊水淨 瘦影波新
(벽간천심형 한매기수춘 방지변수정 수영읍파신) -
푸른 도랑은 천길이나 먼데 한매 몇 그루에 봄이 왔다.
꽃다운 가지 물가에 맑고 수척한 그림자 물결에 짖어 새롭다.
⊙ 北風吹倒人 古木化委鐵 一花天下春 萬里江南雪
(북풍취도인 고목화위철 일화천하춘 만리강남설) -
북풍이 사람에게 휘몰아치니 고목은 거친 쇠로 화한다.
매화 하나 피니 천하가 봄인데 먼 만리 강남엔 눈이 내린다.
⊙ 三十年前植此梅 年年長向壽筵開 至今疾風霜後 每到花時不忍來
(삼십년전식차매 연년장향수연개 지금최질풍상후 매도화시불인래) -
삼십년 전에 이 매화 심었더니 해마다 늘 수연 향해 피었다.
지금에는 풍상에 꺾여 버린 뒤라 매양 꽃 필 때면 참아올 수 없네.
⊙ 雪滿山中高士臥 月明林下美人來 瀟灑江梅似玉人 倚風無語澹生春
(설만산중고사와 월명임하미인래 소쇄강매사옥인 의풍무어담생춘) -
눈 쌓인 산중에 고사가 누었으니 달 밝은 숲 아래 미인이 찾아온다.
산뜻한 강매는 미인을 닮아서 바람 의지해 말 없으니 맑은 봄이 생긴다.
⊙ 我家洗硯池邊樹 朶朶花開澹墨痕 明月孤山處士家 湖光寒浸玉橫斜
(아가세연지변수 타타화개담묵흔 명월고산처사가 호광한침옥횡사) -
우리 집 세연지가의 나무엔 가지마다 꽃 피니 담묵의 흔적 달 밝은 외로운 산
처사의 집에 호수 빛 차게 스며 매화 가로 비꼈다.
⊙ 愛看仙資白雪容 惟恐他日落枝空 年年一聞香日 長在歡情美園中
(애간선자백설용 유공타일낙지공 연년일소문향일 장재환정미원중) -
신선 바탕 백설같은 모습 보기 사랑하나 다만 어느 날 떨어진 가지 빌가 두렵다.
해마다 한 번 피어 향기를 맞는 날 깊이 아름다운 동산에서 기쁜 정에 잠긴다.
⊙ 月下獨吟時 寒香暗襲衣 直疑春信早 胡作團飛
(월하독음시 한향암습의 직의춘신조 호접작단비) -
달빛아래 홀로 시를 읊을 때 매화향기 그윽히 옷에 스민다.
그렇다 봄 소식 빠른 줄 알고 나비가 떼지어 날지나 않을지.
⊙ 有梅無雪不精神 有雪無詩俗了人 薄暮詩成天又雪 與梅倂作十分春
(유매무설부정신 유설무시속료인 박모시성천우설 여매병작십분춘) -
매화 있어도 눈이 없으면 정신마저 거칠고 눈이 있어도 시가 없다면 세속화
된 사람이라, 박모에 시 이루어지니 하늘에서 또 눈이 내려 매화와 더불어 넉넉히 봄을
아울러 짓는다.
⊙ 一樹寒梅白玉條 迫臨村路傍溪僑 不知近水花先發 疑是經春雪不消
(일수한매백옥조 박림촌로방계교 부지근수화선발 의시경춘설불소) -
한 나무 찬 매화 백옥같은 가지가 시골길에 바싹 붙어 시내다리 옆에 있다.
물이 가까우면 꽃 먼저 피는지 모르지만 봄 지나도 아직 눈 안 녹은 것이나 아닐런지.
⊙ 墻角數枝梅 凌寒獨自發 遙知不是雪 爲有暗香來
(장각수지매 능한독자발 요지불시설 위유암향래) -
담모퉁이의 두어가지 매화 추위 떨치고 스스로 피었네 멀리에서 이것이 눈 아님을 앎은
그윽한 향기가 오기 때문이라.
⊙ 竹色淸梅色 梅香澹竹香 色香相蕩滌 眼鼻細參詳
(죽색청매색 매향담죽향 색향상탕척 안비세참상) -
대나무 빛은 매화빛보다 맑고 매화 향기는 대나무 향보다 맑다.
색과 향기가 서로 깨끗이 씻으니 눈과 코가 자세히 뚜렷하다.
⊙ 盡日尋春不得春 芒鞋踏遍頭雲 還來適過梅花下 春在枝頭已十分
(진일심춘부득춘 망혜답편농두운 환래적과매화하 춘재지두이십분) -
종일 봄 찾았으나 봄은 얻지 못하고 짚신 끌고 언덕위의 구름속 서성이네.
돌아오다 마침 매화 밑을 지나니 가지머리에 이미 봄이 충분히 있었네.
⊙ 春風園裏君先發 月夜慇懃對美人 千紫萬紅渾失色 小園驚動兩三枝
(춘풍원리군선발 월야은근대미인 천자만홍혼실색 소원경동양삼지) -
봄바람 동산속에 그대 미리 피니 달밤에 은근히 미인을 대한다.
울긋불긋한 꽃들이 혼연히 빛 잃으니 작은 동산은 두세가지에 놀라서 움직인다.
⊙ 寒巖如削鐵 凡木未堪依 獨有梅花冷 疎疎點翠微
(한암여삭철 범목미감의 독유매화랭 소소점취미) -
추위 속 바위는 쇠 깍아 놓은듯 해 범상한 나무들은 의지함 감당 못한다.
홀로 매화는 차가움이 있어서 듬성듬성 점들이 아련히 푸르르다.
■ 목단의 화제 ■
⊙ 合房如握拳 吐如掌口(합방여악권 토악여장구) -
머금은 화방은 주먹만한데 꽃술을 토하며 손바닥 입벌린 듯.
⊙ 芳名競占百花玉 更見長安繡蕭帳(방명경점백화옥 경견장안시수장) -
다투어 꽃중의 왕이라 높은 이름 얻었고 장안의 수놓은 휘장에 의지함을 다시 보네.
⊙ 慣把笑容誇絶艶 更含啼淚作嬌姿(관파소용과절염 경함제누작교자) -
항상 웃는 듯한 모양 탐스러움 자랑하고 다시 눈물을 머금어 가냘픈 자태 지어내네.
⊙ 三月洛陽花如錦 春風得意冠群芳(삼월낙양화여금 춘풍득의관군방) -
삼월 낙양에 비단같이 꽃이 피어 봄바람에 뜻을 얻어 뭇꽃 중에 으뜸일세.
⊙ 小院香凝花正好 平安富貴最宜人(소원향응화정호 평안부귀최의인) -
작은 뜰에 만발한 꽃 향기가 얽혀 평안하고 부귀하고 의좋은 사람.
⊙ 玉環去後千年恨 留與東風作夢看옥환거후천년한 유여동풍작몽간) -
양귀비 돌아간 후 천년 묵은 한동풍 불 때마다 꿈에서 보네.
⊙ 雨後名花睡正濃 芳姿艶質勝芙容(우후명화수정농 방자염질승부용) -
비 온 뒤 모란꽃 짙게 머리 숙여서 향기로운 자태 탐스런 맵시 부용보다 곱구나.
⊙ 倚欄 重愁無力 繞幕香濃欲醉人(의란장중수무력 요막향농욕취인) -
단장하고 난간에 의지하였으나 수심 깊어 힘 빠졌고 짙은 향기 휘장으로 스며 사람들을 취하게 한다.
⊙ 淺淺花開料 風 苦無妖色畵難工(전전화개요초풍 고무요색화난공) -
잔잔하게 핀 꽃에 가파른 바람불어 요염한 빛 사라진 괴로움 그려내기 어려워.
⊙ 本無塵士氣 自在水雲鄕 楚楚淨如拭 亭亭生妙香
(본무진사기 자재수운향 초초정여식 정정생묘향) -
본래 진토에 머물 기질이 아니어서 속기를 떠난 맑은 물에서만 핀다.
말끔히 닦은 듯 선명하고 우뚝 솟아올라 묘한 향기까지.
⊙ 世愛牧丹紅 裁培滿院中 誰知荒草野 亦有好花叢
(세애목단홍 재배만원중 수지황초야 역유호화총) -
세상이 모란 붉음을 사랑해 집 가운데 가득히 재배한다.
거치른 초야에 역시 좋은 꽃이 떨기로 있음을 뉘라서 알것인가.
⊙ 東風未放曉泥幹 紅蘂花開不奈寒 待得天晴花已老 不如携手雨中看
(동풍미방효니간 홍예화개불내한 대득천청화이로 불여휴수우중간) -
봄 바람 불지 않아도 새벽 진흙은 말랐으나 붉은 꽃수염의 꽃 피었으니
어찌 춥지 않으랴,
하늘 맑기 기다리니 꽃은 이미 늙었네, 손 잡고 빗속에서 보는 것만 못하다.
⊙ 階前紅牧丹 晩來唯有兩枝殘 明朝風起應吹盡 夜惜衰紅把火看
(추창계전홍목단 만래유유양지잔 명조풍기응취진 야석쇠홍파화간) -
근심하고 슬퍼하는 섬돌 앞에 붉은 모란 늦게 오니 오직 두 가지만 남았다.
내일 아침 바람이 일면 응당 날라가버릴 것 밤에 붉음 쇠하는 것 아까워 불 켜들고 본다.
⊙ 長安豪貴惜春殘 爭賞新開紫牧丹 別有玉盤承露冷 無人起就月中看
(장안호귀석춘잔 쟁상신개자목단 별유옥반승로랭 무인기취월중간) -
장안 호걸들은 봄 쇠잔함을 아쉬워 해 새로 피는 붉은 목단을 다투어 감상하노라.
따로 달이 있어서 이슬 받아 차가우니 일어나서 달 아래 보는 사람 없구나.
⊙ 閨中如妬新將婦 陌上須傳粉朗 昨夜月明渾似水 入門唯覺一庭香
(규중여투신장부 맥상수참전분랑 작야월명혼사수 입문유각일정향) -
규중에서 투기할 것 같은 단장한 신부지만 언덕 위에선 단장한 낭군에게
전하기 부끄럽다.
지난 밤 달 밝으니 혼연히 물처럼 맑아 문에 들어서도 뜰에 가득한 향기만
깨달았을 뿐.
⊙ 陽和不擇地 海角赤逢春 憶得上林色 相看如故人
(양화불택지 해각적봉춘 억득상림색 상간여고인) -
따뜻한 햇빛은 어디에나 비쳐 바다모퉁이에서도 봄을 만났네.
궁궐 안 꽃빛이 생각이 나서 바라 보니 옛 친구를 만난 듯.
⊙ 一朶妖紅翠欲流 春光回照雪霜差 化工只欲呈新巧 不放閑花得少休
(일타요홍취욕류 춘광회조설상차 화공지욕정신교 불방한화득소휴) -
한가닥 휘늘어진 생긋 웃는 꽃에 선명한 빛 흘러 넘쳐 번져 가는 봄빛에 눈서리
녹아날 제
천공은 훌륭한 솜씨 내보이려고 가지 피지 아니한 봉오리를 잠시 쉬고 있구나.
⊙ 小檻徘徊日自斜 只愁春盡委泥沙 丹靑欲寫傾城色 世上今無楊子華
(소함배회일자사 지수춘진위니사 단청욕사경성색 세상금무양자화) -
해가 저물도록 난간 곁을 배회하며 봄 가면 진흙 위에 떨어져 버릴 것을 근심하다가
빨강 파랑 물감으로 뛰어난 빛깔을 그려두려하나 이 세상에 지금 양자화가 없구나.
⊙ 白雲堆裏紫霞心 不與姚黃色鬪深 閒伴春風有時歇 豈能長在玉階陰
(백운퇴이자하심 불여요황색투심 한반춘등유시헐 기능장재옥계음) -
흰구름같은 꽃무더기 속 노란 꽃술이 도황과 더불어서 볼 만함을 다투지만
때로는 봄바람 다하기 전 떨어져 버리니 대궐 섬돌 밑에 오래 있지 못하겠네.
⊙ 百寶于護曉寒 沈香亭畔若爲看 春來誰作韶華主 總領群芳是牡丹
(백보난우호효한 침향정반약위간 춘래수작소화주 총영군방시목단) -
꾸민 손잡이도 싸늘한 아침 침향정 가에 피어 있는 듯.
봄 들면 누가 아름다운 경치를 주관할꼬. 꽃 중에 왕이 되는 모란꽃.
⊙ 長安豪貴惜春殘 爭賞新開紫牧丹 別有玉盤承露冷 無人起就月中看
(장안호귀석춘잔 쟁상신개자목단 별유옥반승로냉 무인기취월중간) -
장안의 부호들이 얼마 남지 않은 봄을 아까워하여 새로 핀 자모란을 다투어
구경하는데 따로 있는 흰쟁반에 싸늘한 이슬 바쳐든 듯한 꽃을 달밤에 가서
보는 이 아무도 없구려.
⊙ 風流富貴百花尊 國色天香到十分 如何箇樣花開大 不及區區茶子孫
(풍유부귀백화존 국색천향도십분 여하개양화개대 불급구구다자손) -
부귀스런 멋은 꽃중의 으뜸이라 빛깔과 향기는 더 보탤게 없으나 어째서 꽃 모양은
그렇게 크면서 작은 열매라도 맺지 않는가.
⊙ 落盡殘紅始吐芳 佳名喚作百花王 競誇天下無雙艶 獨占人間第一香
(낙진잔홍시토방 가명환작백화왕 경과천하무쌍염 독점인간제일향) -
붉은 빛 다 시들 때 비로소 활짝 피어 꽃 중의 왕이라는 아름다운 이름 얻고
탐스러움은 천하에 다시 없음을 자랑하니 이 세상에 제일가는 꽃이로구나.
⊙ 葉底風吹紫錦囊 宮爐應近更添香 詩看沈色濃如潑 不愧達君翰墨場
(엽저풍취자금낭 궁로응근경첨향 시간침색농여발 불혼달군한묵장) -
잎 사이 노란 주머니에 바람이 일면 향을 더한 궁로에 가까이 간 듯.
가라앉힌 물감을 뿌린 듯 짙은 빛은 그림을 그려도 부끄럽지 않겠네.
⊙ 翠幄籠霞護曉寒 無人凝笑倚于 玉環去後千年恨 留與東風作夢看
(취악롱하호효한 무인응소의란우 옥환거후천년한 유여동풍작몽간) -
푸른 장막에 안개 얽혀 아침 추위 팔리는데 난간에 의지하여 웃음짓는 사람 없어
양귀비 떠나간 뒤 긴긴 세월 한을 품고 동풍과 더불어서 옛 생각에 잠겼는 듯.
⊙ 嬌無力任支撑 笑瞼初開尙宿 雨濕紅粧終不管 憐渠元自大感生
(교요무력임지탱 소검초개상숙정 우습홍장종불관 련거원자대감생) -
힘 빠진 예쁜 꽃이 받침목에 의지하여 갓피어 웃는 맵시 오래 취한 듯.
붉은 단장 비에 젖는 것 관심이 통 없으니 애처롭다 원래 어리석게 태어났음이여.
⊙ 醉中眼自班 天雨曼陀照玉盤 一朶淡黃微拂凉 紅魏紫不須看
(취중안힐자란반 천우만타조옥반 일타담황미불량 정흥위자불수간) -
취한 눈에 여러 가지 무늬가 반들반들 아롱져서 하늘에서 온갖 빛이 구슬쟁반에 비치는 듯.
한가지 담황색 꽃이 유별나게 돋보여서 정흥이나 위자는 뒤에 쳐져 보이지 않는 듯.
⊙ 蟾精雪魄孕雲亥 春入香一夜開 宿露枝頭藏玉魂 暖風庭面倒銀杯
(섬정설백잉운해 춘입향유일야개 숙로지두장옥혼 난풍정면도은배) -
달의 정령과 눈의 넋이 구름 뿌리로 잉태되어 살찌고 향기로운 꽃 봄들자 피어나네.
이슬내린 가지 위엔 구슬덩이가 감춰 있고 앞뜰에 바람일 적 은술잔이 기울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