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마음 심

浩 根 書 堂 2013. 2. 1. 19:49

재미 있는 한자 풀이
 ??,心 ; 마음 심  , 釣;낚시 조, 餌; 먹이 이一釣三餌左右中 ;
 낚시(し) 하나에 미끼가 셋(∴)좌우와 가운데 있으니 
한글자로 줄이면 마음 心 자가 된다.
??,憂(근심할 우), 友(벗 우), 有(있을 유), 酉(닭 유)
   →이상의 네글자는 중국어 발음상 비숫함
☞明思宗(명나라 최후의 황제)이 內憂外患(내우외환)에 시달릴때 
한 유명한 破字(파자)선생을 찾아가서 
명나라의 國運(국운)을 물은 이야기다.
측자선생이 사종황제에게 한가지 글자를 말씀 하시거나 써 보시라고 하자 
사종(황제)는 입에서 나오는 대로 
‘憂라고 말하자’ 측자선생은 憂國의 憂는 좋지 않습니다. “라고 말하면서 
작은 신음을 토했다. 
사종은 급히 고쳐 말하길 ’憂가 아니고 내가 말한 것은 
友情의 友야! 그러나 측자선생은 종이 위에 
友字를 쓴 후 머리를 흔들며 말하길 ‘이 友字 역시 반(反)자가 머리를 내민 
자로서 반란의 기세가 이미 일어났습니다.’고 하자 
사종은 황망히 또 변명하여 말하길 ‘아니야! 나의 본뜻은 유리할 有야’ 
그러나 측자선생은 ‘역시 좋지 않습니다.
’有字의 모양은 마치 大明이반쪽씩 없어진 모양과 같습니다.
(? 月)아니야! 나의 본마음은 닭 酉자 내년이 癸酉年이 아닌가? 라고 묻자 
측자선생은 여전히 머리를 흔들며 말하길 ’닭 酉字 즉 尊(높을존)자가
 왕관도 없고 설땅도 
龍床(용상)도 없는 글자니 황제와 나라가 망할 징조입니다.
‘ 라고 말고 말하였다. 
그 후에 과연 사종은 내시 왕승은과 함께 매산으로 도강가서 
나뭇가지에 목을 메어 죽었다.
1.글자 자체의 의도성 (字意性)  2.바름과 훝어짐의 자체성(姿勢性)  3.글자의 보편적 장단성 (長短性)
4.떨어짐과 들어붙음 (離着性)  5.순리성과 억지성  (順逆性)  6/경쾌함과 무거움   (輕重性)
7.열려짐과 닫혀짐 (開閉性)   8.교류성과 접촉성   (交接性)  9.맑고 흐림의 정도성  (淸濁性)
10.글자의 농도와 화합성  (濃炎性)  11.공허함과 견실함  (虛實性)  12.선함과 악함의 구별 (善惡성)
13.올라감과 내려감  (凹凸性)   14.부드러움과 굳건함   (軟剛性)  15.안정됨과 혼란함   (安亂性)
16.퍼지는가 오므라드는가 (挾廣性)  17.원만한가 유별난가  (圓尖性)  18.융통성과 변화성  (融和 性)
19.연결성과 절단성  (連斷性)   20.전반적이 기력 구조성  (力量性)
일(하나) : 하루에 한 가지 이상 좋은 일을 하고
십(둘) : 하루에 열 번 이상 웃고
백(셋) : 하루에 백 자 이상 글을 쓰고
천(넷) : 하루에 천 자 이상 글을 읽고.   셋넷은 꼭 실천 해 보시길 바랍니다.
만(다섯) : 하루에 만보 이상 걷는 것입니다.
출처 : 정음성명학
글쓴이 : 청풍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