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퇴계의 임종과 애제자 간재(艮齋)이덕홍

浩 根 書 堂 2014. 2. 3. 20:11

 

 

퇴계의 임종과 애제자 간재(艮齋)이덕홍(1541∼1596)

 

경오년(1570년) 12월7일.

도산서당은 깊은 침묵에 잠겨 있었다. 서당 안은 퇴계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사방에서 몰려든 70여명의 제자들로 빈 곳이 없을 정도로 만원이었지만 누구 하나 정적을 깨트리지 못하고 있었다. 마당을 오갈 때에도 뒤꿈치를 들고 발끝으로만 걸어 예리성조차 내지 않고 있었다. 비록 제자들은 입을 열어 말을 나누지는 못하고 있었지만 스승 퇴계가 이번 병에서 일어나 쾌차하리라는 사실을 믿지 못하고 있었다. 그만큼 퇴계의 병은 위독하였다.

지난 11월9일 가묘에서 시향을 올릴 때 ‘내가 이제 늙어서 살아있는 날이 많지 않으므로 불가불 제사를 올릴 수밖에 없다.’고 하며 손수 독()을 받들고 제물을 올리며 제사를 주관한 이후 감기에 걸렸던 퇴계는 그러나 계속된 무리로 병세가 악화되어 마침내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게 되었던 것이었다.


 

제자 이덕홍(李德弘)이 스승이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온계로 온 것은 12월2일.

이덕홍은 퇴계가 가장 사랑하던 애제자였다. 이덕홍은 퇴계보다 40년이나 연하의 제자였으므로 제자라기보다는 퇴계의 아들과도 같은 존재였다. 실제로 퇴계는 이덕홍을 아들이라고 부르고 있었다. 특히 이덕홍은 10살 때 퇴계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웠으므로 퇴계는 각별히 이덕홍을 사랑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퇴계는 자신이 위중하다는 사실을 깨닫자 친자식과 같은 이덕홍을 자신의 곁으로 불러들인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이덕홍이 남긴 ‘간재문집(艮齋文集)’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

“12월2일.

병세가 더욱 위중해지셨다. 약을 드신 다음 말씀하시기를 ‘내일은 장인(권질)의 제사니, 고기반찬을 쓰지 말라.’고 이르셨다.

이날 이덕홍은 퇴계의 병이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계상서당으로 와서 머물렀다.”

이덕홍(1541∼1596)은 조선중기의 학자로 자는 굉중(宏仲), 호는 간재(艮齋)였다.

10살 때 퇴계의 문하에 들어가 극진하게 퇴계의 사랑을 받았던 이덕홍은 훗날 이름난 선비 9명 중 4위에 뽑혀 벼슬에 올랐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세자를 모시고 성천까지 호종하였을 만큼 빼어난 충신이었는데, 특히 이순신이 만들었다고 알려진 ‘거북선’의 도안에도 참여하였다고 알려진 만큼 재능 역시 뛰어난 선비였다.

이덕홍이 얼마나 퇴계의 사랑을 받았는가를 알 수 있는 사실은 지금도 도산서원의 유물각 안에 안치된 혼천의(渾天儀)를 이덕홍이 스승의 부탁을 받고 직접 제작하였다는 사실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혼천의’는 천체의 운행과 성좌의 위치를 추정하는 과학기구인데, 이덕홍은 스승이 직접 설계한 도안대로 둥근 공모양의 천체를 대나무로 만들어 그 위에 종이를 바르고 수평으로부터 약간 기울어져 있는 나무대 위에 고정시켜 직접 만들었던 것이다.

퇴계는 생전에 이덕홍이 만든 혼천의를 바라보면서 우주만물의 운행과 별들의 위치를 관측하며 태극사상을 연구하였을 것이다.

이덕홍 퇴계가 돌아가자 생전에 스승과 나누었던 대화의 내용을 ‘심경질의(心經質疑)’란 저서를 통해 기록하고 있는데, 조선조 유학사상 성리학을 진일보시킨 명저로 평가되는 이 책 속에서 이덕홍은 퇴계와 다음과 같은 중요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덕홍:움직일 때(動中)는 이 마음을 단단히 잡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퇴계:고요한 가운데 마음의 근본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이덕홍:혹 가다가 마음속에서 수레를 뒤엎는 것 같이 혼란스러울 때가 있는데 그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퇴계:그것은 마음의 기운이 안정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이다. 마음은 본래 그릇된 생각 없이 고요한 것으로 잘 안정만 한다면 어찌 심란한 기운이 생기겠는가.

이덕홍:그러면 선생님은 성현의 공부를 다 이루어 내셨습니까.

퇴계:어찌 감히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나는 고요함 가운데 엄숙하고 공경할 때는 간혹 마음이 함부로 날뛰는 것을 면할 수는 있지만 그렇지 못할 때도 있다. 어쩌다가 술을 마시고 말을 주고받을 때는 가끔 태만한 마음을 가져 함부로 생각하는 일도 있었다. 이런 점이 내가 평소에 두려워하고 경계하는 점이다.”

이덕홍이 지은 ‘심경질의’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퇴계가 죽기 전까지도 자신이 성현의 경지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한탄하고 태만한 마음을 가져 함부로 행동할 때가 있으며 그럴 때마다 이를 두려워하고 경계할 만큼 자기 성찰에 철두철미하였다는 사실인 것이다.

이덕홍은 서당에 이르자마자 퇴계에게 문안인사를 드렸는데, 자리에 누워 있던 스승의 모습을 보자마자 이덕홍은 가슴이 덜컹 내려앉았다.

기침은 그치지 않았으며 담열이 몹시 심하여 이덕홍을 본 퇴계는 간신히 손을 내밀어 이덕홍의 손을 마주 잡았을 뿐 입을 열어

말을 꺼내기도 어려울 정도였다.

그러나 비록 입을 열어 말하지는 않았지만 사랑하는 아들이자 애제자인 이덕홍의 얼굴을 본 퇴계의 얼굴에는 따스한 정감이 흐르고 있었다.

스승에게 문안인사를 드리고 나서 이덕홍은 서당 앞으로 나와 우물가에서 숨죽여 울었다.

―이제 선생님은 영원히 회복하지 못할 것이다. 선생님은 마침내 연세(捐世)하여 돌아가실 것이다.

이덕홍의 불길한 예감은 그대로 적중된다.

이덕홍이 서당에 도착한 다음 날인 12월3일부터 퇴계의 병이 더욱 위독해진 것이었다.

퇴계의 곁에서 민응기(閔應祺), 이연량(李衍樑) 등이 번갈아 가며 진맥을 하고 약을 끊임없이 지어 올렸으나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퇴계 자신도 이러한 사실을 예감한 듯 차례로 주변을 정리하기 시작하였다.

이른바 남아있는 제자들과 친족들에게 유언을 남기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퇴계가 남긴 최초의 유언은 다른 사람에게 빌려 온 서적들과 병족(屛簇) 글씨들을 빠짐없이 원주인에게 돌려주라는 내용이었다.

퇴계가 남긴 최초의 유언은 ‘퇴계선생연보’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12월3일.

병세가 몹시 위중해지셨다. 자제들에게 다른 사람의 서적과 병족 글씨를 기록해서 잃어버리지 말고 남김없이 돌려주도록 지시하고, 맏손자 안도(安道)에게는 다른 사람이 빌려간 경주본(慶州本) ‘심경(心經)’을 교정한 책을 찾아와서 경주(慶州) 직경전(集慶殿) 참봉(參奉) 함안영(韓安命)에게 붙여 판본(板本)의 오류를 수정하게 하셨다. 그리고 이때 봉화(奉化)의 현감으로 재직하고 있는 맏아들 준(寯)에게 경상도 관찰사에게 사장을 제출하도록 지시하고, 집안 사람들이 기도 드리는 것을 일체 금지시켰다.”

이 유언을 남길 때 이덕홍은 퇴계의 바로 곁에 앉아 있었다.

이덕홍은 12월2일 서당에 도착한 이래 줄곧 스승의 곁을 지키고 있었는데 최초의 유언을 끝낸 후 이덕홍은 인상적인 장면을 보게 된다. 퇴계가 침상에서 설사를 하게 된 것이었다. 평소에 깔끔하고 단정한 처신을 하던 퇴계가 그만 어쩔 수 없이 실수를 하게 된 것이었다. 당연한 일이었으나 퇴계는 순간 주위를 물리치고 이덕홍만을 불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미 미안하다.”

기침이 심하였고 담열이 끓어올라 말조차 할 수 없었으므로 퇴계는 간신히 한자 한자 떼어서 입을 열어 말하였는데, 이덕홍은 스승이 얼굴에 바짝 다가가서 위로하며 말하였다.

“괜찮습니다, 선생님. 치우면 됩니다.”

“그게…아 아니라.”

퇴계는 머리를 흔들며 손을 들었다. 그리고 퇴계는 손을 들어 어딘가 한 곳을 가리켰다. 이덕홍은 스승이 가리킨 곳을 바라보았다.

그곳에는 매분이 놓여 있었다. 퇴계가 몸져 누워있던 이래로 항상 퇴계의 머리맡을 지키고 있던 매분이었다.

“저 매형에게 미 미안하구나.”

순간 이덕홍은 자신이 잘못 들었는가 귀를 의심하였다. 그러나 퇴계가 헐떡이며 잇는 다음의 말을 듣는 순간 비로소

스승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었다.


 

“불결한…모 모습을·보여서…매형에게…미 미안하구나.”

당황해진 이덕홍이 다시 물어 말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할까요, 선생님.”

“…다 다른 곳으로.”

퇴계는 기침을 하면서 말하였다.

“…다 다른 곳으로…매형을…치우도록 하 하여라.”


 

이덕홍은 이때의 장면을 자신의 문집에 다음과 같이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다.

“12월3일.

이날 침석에서 설사를 하시자 매형에게 불결하여 미안하다고 말하시고 매분을 다른 곳으로 옮기도록 하셨다.(痢泄於寢房 盆梅在其傍 命移于他處曰 ‘於梅兄不潔 心未自安耳)’”

퇴계가 실질적인 유계(遺戒)를 내린 것은 다음 날인 12월4일이었다.

이날은 마침 퇴계의 병세가 조금 가라앉아 있었다. 그러자 퇴계는 주위를 물리치고 조카 영(寗)을 불러 자신의 곁에 앉게 한 다음 지필묵을 준비토록 하였다.

이때의 장면이 ‘퇴계언행록’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12월4일.

병이 조금 덜해진 틈을 타서 좌우를 물리치시고 조카 영에게 유계를 받아 적게 하셨다. 기침 소리가 심하였는데, 좌우를 물리치고 말씀하실 때에는 문득 질병이 몸에서 떠난 듯 아무런 소리도 나지 않았다. 쓰기를 마치자 직접 한번 읽어보시고는 영에게 봉하고 서명하라고 지시하셨다. 그런 뒤에야 기침소리가 다시 들리기 시작하였다.”

물론 퇴계의 유계는 그가 죽은 후에야 밀봉이 뜯기고 공개되었다. 퇴계가 남긴 유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장(國葬)을 쓰지 말라.

해당 관청에서 규례에 따라 국장을 청하면 반드시 유명(遺命)이라 말하고 상소하여 고사토록 하라.

2. 유밀과(油蜜果)를 쓰지 말라.

과일은 넉넉지 못할 것이니 간소하게 한 단씩만 차리고 그 외에는 일절 쓰지 말도록 하라.

3. 비석(神道碑)을 세우지 말라.

다만 작은 돌에다 그 앞면에는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고만 쓰고, 그 뒷면에는 향리(鄕里)·세계(世系)·지행(志行)·출처(出處)의 대략을 ‘가례(家禮)’에 언급된 대로 간략하게 순서대로 기록해라. 이 일을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여 짓게 하면 기대승처럼 서로 잘 아는 사람은 반드시 실속 없는 일들을 장황하게 늘어놓아서 세상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그래서 일찍이 뜻한 바를 스스로 적고자 하여 먼저 자명문(自銘文)을 지었으나 그 나머지는 미루다가 마치지 못했다. 그 초고가 여러 원고들 중에 섞여 있을 것이니 찾아서 쓰도록 하라.

4. 선세(先世)의 묘갈(墓碣)을 세우는 일을 마치지 못하고 이렇게 되니 영원한 한이 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일이 이미 갖추어져 있고, 형편도 어렵지 않으니, 반드시 문중 사람들과 의논하여 새겨서 세워라.

5. 동쪽의 작은 집은 본래 너(퇴계의 맏아들 준을 가리킴)에게 주려했고, 적(寂)을 위하여 따로 작은 집 한 채를 짓고 있었는데, 반도 못 짓고 이렇게 되었다. 적의 모자는 가난해서 반드시 완성하지 못할 것이니, 네가 맡아서 집을 완성해주면 정말 좋겠다. 만약 형편이 어려우면 차라리 네가 그 재목과 기와 등의 물자를 가져다가 재실(齋室) 등에 사용하고 적 모자에게는 이 집을 그대로 주는 것이 좋겠다.”

퇴계의 유계는 지금도 엄격히 지켜지고 있다.

도산의 동쪽 끝자락인 청량산 쪽으로 달려 나와 온계에서 흘러내린 퇴계의 물이 하계마을에 이르러 낙천물과 합쳐지는 지점을 직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건지산 기슭에 묻힌 퇴계의 묘소 앞 비석에는 다만 다음과 같은 10자의 비문이 새겨져 있는 것이다.

“도산으로 물러나 만년을 숨어산 진성이씨의 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

그러나 아이로니컬하게도 비석 뒷면에는 ‘가례에 언급된 대로 간략하게 순서대로 기록하라’는 퇴계의 유계는 그대로 지켜진 셈이 되었으나 ‘이 일을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여 짓게 하면 기대승처럼 서로 잘 아는 사람은 반드시 실속 없는 일들을 장황하게 늘어놓아서 세상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라는 유계는 지켜지지 못하였다.

왜냐하면 비석 뒷면에 새겨진 퇴계의 사적을 기록하고 있는 명문은 퇴계가 생전에 걱정하였던 대로 기대승이 직접 글을 지은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퇴계는 자신의 임종을 앞두고 차근차근 주변을 정리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병세가 위중해지자 퇴계는 다른 사람에게서 빌려온 서적과 병족들을 돌려주라고 지시하는 한편 조카를 불러 호화로운 장례식과 묘지를 만들지 말 것 등의 장례절차를 직접 유언으로 남긴 것이었다.

그러고 나서 남은 절차는 서당주위에 머물고 있던 제자들과의 이별이었다.

이때 계상서당에는 애제자 이덕홍 필두로 칠십여 인의 제자들이 초조하게 퇴계의 임종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친족에게 유계를 마치고 난후 퇴계는 마침내 서당주위에 머물고 있던 제자들을 한자리에 모이도록 당부하였다. 이에 대한 기록이 퇴계 선생 연보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12월4일.

이날 낮에 퇴계의 병이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와서 계상서당 주위에 머물고 있던 제자들을 만났다.”

이때 이덕홍을 비롯한 많은 제자들이 아무래도 무리이니 만나지 말 것을 종용하였으나 퇴계의 태도는 단호하였다. 퇴계는 이덕홍에게 부탁하여 자신의 몸을 일으키도록 하였다. 한 달 가량 몸져누워 있었으므로 퇴계의 몸은 검불처럼 가벼웠다. 간신히 몸을 일으켜 앉긴 하였으나 퇴계는 자신의 몸무게를 지탱하기도 무리인 듯 그 자리에 쓰러지곤 하였다.

“아니되옵니다.”

보다 못한 이덕홍이 쓰러지려는 퇴계의 몸을 부축하면서 말하였다.

“병이 쾌차하시면 그때 제자들과 만나도 늦지 않습니다.”

그러자 퇴계는 이덕홍을 돌아보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아니다. 내 병은 내가 잘 안다. 죽고 사는 것이 갈리는 이때에 만나보지 않을 수가 없다.(死生之際 不可不見)”

그러고 나서 퇴계는 이덕홍에게 자신의 의관을 입혀주도록 부탁하였다.

제자 정유일(鄭惟一)은 스승 퇴계의 태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한 적이 있었다.

“스승께서는 평상시에 날이 밝기 전에 일어나 갓을 쓰고 띠를 띠어서 서재에 나가면 얼굴빛을 가다듬고 단정히 앉아 조금도 어디에 기대는 일이 없으셨다.”

평상시에 그러한 율신의 태도를 취하였던 퇴계였으니 비록 병이 위중하였으나 마지막으로 제자를 만나는 영결(永訣)의 순간 의관을 정제하여 제자들에게 예를 갖추는 스승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간신히 의관을 정제하고 나서 퇴계는 혼신의 힘을 다해 몸을 꼿꼿이 한 자세로 제자들을 맞았다. 제자들의 모습을 한참동안 일일이 돌아본 후 퇴계는 입을 열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평소 그릇된 견해를 가지고 제군들을 종일토록 가르친 것에 대해 미안한 생각을 금할 수가 없소.”

퇴계의 말은 단지 그것뿐이었다. 그러나 그 짧은 말속에 퇴계가 하고자 하는 많은 의미가 함축되어 있음이었다. 생전에 8만의 경전을 설법하였으면서도 임종에 이르러서는 ‘나는 한마디도 설한 바가 없다.’고 말하였던 부처처럼 퇴계 역시 제자들에게 종일토록 가르쳤지만 그것은 모두 그릇된 견해에 불과할지 모른다는 내용이었던 것이다.

부처는 임종을 앞두고 제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유훈을 남긴다.

“너희는 저마다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고 자기만을 의지하여라. 진리를 등불로 삼고 진리에 의지하여라. 이밖에 다른 것에 의지해서는 안 된다. 이 가르침대로 행동한 다음 설사 내게서 멀리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그는 항상 내 곁에 있어 나와 함께 있는 것과 다름이 없다. 모든 것은 덧없다. 게으르지 말고 정진하여라.”

제자들에게 남긴 퇴계의 마지막 유훈은 마치 부처의 말을 떠올리게 한다. 제자들에게 종일토록(평생토록) 가르쳤으나 이 역시 그릇된 견해였을지도 모르니, 오직 자신만의 진리를 등불로 삼고 진리에 의지하여 게으르지 말고 정진하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내용인 것이다.

이에 대해 임종을 지킨 이덕홍은 ‘간재문집’에서 스승의 장엄한 유언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12월4일.

스승께서 윗옷을 걸치게 한 다음 제자들과 영결하면서 말씀하셨다.

‘평소 그릇된 견해를 가지고 제군들과 종일토록 강론한 것 또한 쉬운 일은 아니었다.(平時以謬見 與諸君講論 是亦不易事也)’”

제자들과의 영결을 마침으로써 모든 주위를 정리한 퇴계는 마침내 자신이 묻힐 수기(壽器)에 대하여 언급한다.

수기는 살아있을 때 미리 만들어 놓는 관을 가리키는 말로 퇴계는 자신이 죽은 후에 묻힐 관을 준비하라는 말을 함으로써 자신의 임종이 임박하였음을 예고하고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퇴계는 자신의 수명이 마치 바람에 깜빡이는 촛불과도 같아 길어야 사흘이나 나흘 더 지탱하면 꺼져버릴 것을 잘 알고 있었던 듯 보인다. 이러한 사실 역시 ‘간재문집’에 기록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12월5일.

수기를 마련하라고 지시한 다음 제자들에게 3,4일 더 지탱하면 다행이라고 말씀하셨다. 이날 조카 영에게 대간(臺諫)들이 을사위훈(乙巳僞勳)의 삭탈(削奪)을 청한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물으셨다. 영이 아직 윤허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대답하자 그 일이 끝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고 하면서 재삼 탄식하였다.”

자신이 죽은 후에 들어갈 관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을사위훈의 삭탈 결과에 대해 물었던 퇴계. 이러한 사실은 퇴계의 우국충정이 얼마나 강렬했던가를 알려주는 감동적인 일화일 것이다.

자신이 죽기 사흘 전 제자들에게 3,4일이나 더 지탱하면 다행일 것이라고 예고하면서도 나라 걱정을 하면서 탄식하였던 퇴계. 그러나 그 이튿날을 고비로 퇴계의 병은 더욱 위독해진다. 퇴계의 연보는 이 사실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12월7일.

선생의 병세가 너무 위중해지셨다.(先生病勢已革)”

그동안 간간이 사람들을 쳐다보고 작은 목소리로나마 띄엄띄엄 얘기할 수 있었던 퇴계는 이날 이후로 눈동자가 풀려 사람들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고 식음을 전폐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날 아침 퇴계는 이덕홍을 자신의 침상으로 불러들였다. 이덕홍이 방안으로 들어서자 퇴계는 자신의 곁으로 다가오도록 손짓하였다. 이덕홍은 스승이 위독하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서당으로 온 지 벌써 닷새가 지났고, 그동안 줄곧 곁을 지키고 있었으나 이날 아침 스승의 모습을 본 순간 뭔가 심상치 않다는 불길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스승의 생명은 거의 다 스러져 꺼지기 직전의 등불이었다. 가물가물한 의식으로 퇴계는 뭔가 말을 하려는 듯 입을 모았으나 헛바람만 새어나올 뿐 소리가 되어 나오지는 못하였다.

“천천히 말씀하십시오, 선생님.”

이덕홍은 바짝 얼굴을 기울여 스승의 입가에 귀를 갖다 대었다. 그러나 퇴계의 입에서 바람과 같은 소리가 흘러나왔다.

“내가…갖고 있던…서적들을…좀, 맡아주시게나.”

이른바 최후의 유언이었다.

차례차례 주변을 정리한 후 마지막으로 자신이 갖고 있던 서적에 대해 애제자 이덕홍에게 맡아주기를 부탁하는 퇴계의 간절한 유언이었던 것이다.

생전에 퇴계처럼 책을 사랑하던 사람이 있었던가. 퇴계는 노년에 들어서도 독서에 열중하였다. 오죽하면 퇴계는 자신을 책을 파먹는 좀벌레()에 비유하고 있었음일까.

노년에 지은 ‘동재감사(東齋感事)’란 시를 보면 늙어갈수록 독서에 침잠하였던 퇴계의 심정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병 깊고 하염없는 백발된 이 늙은이 이 몸이 길이길이 좀벌레와 벗하여라. 좀이 글자 먹는단들 그 맛이야 어이 알리. 하늘이 글을 내시니 그 중에 기쁨 있어라.(多病無能白髮翁 一身長伴書蟲 魚食字那知味 天賦群書樂在中)”

좀벌레가 글자를 먹는다 한들 하늘이 내신 글을 먹는 그 기쁨보다 더 맛이 있겠는가 하고 노래하였던 퇴계.

퇴계의 고전의 진수를 자신의 마음속 깊이 체득하여 얻는 독서열은 곧 논어 첫머리에 나오는 ‘배우며, 또한 익히니, 기쁘지 아니한가.’라는 공자의 말씀을 가장 맛있게 실천하고 있었던 구도행위였던 것이다.

퇴계가 얼마나 서적을 사랑하고 독서하는 즐거움을 맛보았던가는 61세 때 도산정사에서 읊은 ‘산당야기(山堂夜起)’란 시를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산은 텅 비고 온 집이 고요하고 밤이 차갑더니 서리 기운 높으니라.(山空一室靜 夜寒霜氣高)

외로운 베개 위에 잠 못 이루니 일어나 정좌하고 옷깃을 바루노라.(孤枕不能寐 起坐整襟袍)

늙은 눈 부벼 뜨고 가는 글자 보려 하니 짧은 등경 촛불 켜고 여러 차례 돋우네.(老眼看細字 短煩屢挑)

글이라 그 가운데에 참된 맛 심어 있어 살찌고 배부름이 고기보다 낫더구나.(書中有眞味 沃勝珍)”

살찌고 배부르니 고기보다 더 나았던 글. 그 가운데 참된 맛이 심어 있던 서적. 마침내 퇴계는 자신의 분신과도 같았던 서적들을 애 제자 이덕홍이 맡아 주도록 당부하였던 것이다.

“걱정하지 마십시오, 선생님. 제가 잘 보관하겠습니다.”

침통한 얼굴로 이덕홍이 말을 하자 퇴계는 손을 들어 벽 한 구석을 가리켰다. 뭔가 말을 하려 하였으나 기진하여 목소리가 흘러나오지 않았다. 이덕홍은 스승이 가리킨 방향을 쳐다보았다. 그곳에는 지팡이가 놓여 있었다.

청려장(靑藜杖).

퇴계가 평소에 사용하던 명아주로 만든 지팡이. 평소 산책을 즐겨하였던 퇴계는 책을 읽다 지치면 청려장을 끌고 서당의 이곳저곳을 소요하였던 것이다. 지금도 유물각에 남아 전시되고 있던 지팡이는 명아주 풀의 줄기들을 잘라낸 옹이가 울퉁불퉁하게 매듭지어져 있어 품격을 더하고 손에 들어도 거의 무게가 느껴지지 않을 만큼 가볍고 단단한 지팡이였다.

순간 이덕홍은 스승의 심중을 헤아릴 수 있었다.

이제 다시는 일어서서 지팡이를 짚고 산책할 수 없는 퇴계로서는 이승에서 마지막으로 그 지팡이를 만져보고 싶었던 것이다.

스승의 심사를 알아챈 이덕홍은 청려장을 끌어다가 퇴계의 손에 쥐어 주었다. 어디에서 그런 힘이 나올까 싶게도 퇴계의 손이 지팡이를 힘껏 감아쥐었다.

“빨리 쾌차하십시오, 선생님.”

그 모습을 바라보면서 이덕홍이 말하였다.

“청려장을 드시고 절우사 뜰에서 백설처럼 피어난 봄 매화꽃을 보시옵소서.”

순간 퇴계의 얼굴에 희미한 미소가 떠올랐다.

이미 살아 있는 사람의 모습이라고는 형언할 수 없는 깡마르고 수척한 얼굴이었지만 그 얼굴에 황홀한 미소가 떠오르고 있었다. 실제로 찬란한 봄이 찾아와서 절우사(節友社) 뜨락 앞에 백설처럼 피어난 매화꽃을 바라보는 듯한 환희의 얼굴이었다.

꿈이라도 꾸고 계시는 것일까, 하고 이덕홍은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때 퇴계의 손에서 지팡이가 스르르 굴러 떨어졌다.

이덕홍은 지팡이를 다시 벽 구석에 세워 놓으며 뒷걸음으로 완락재를 물러나왔다. 방 앞에는 많은 제자들이 이덕홍을 기다리고 있었다.

“무슨 말씀을 하시던가. 병세는 좀 어떠하신가.”

그 순간 이덕홍은 이를 악물고 숨죽여 울기 시작하였다.

 

이덕홍의 울음에 분위기는 숙연해졌다. 누구보다 스승의 몸과 마음을 잘 헤아리고 있었던 이덕홍이었으므로 이덕홍의 갑작스러운 울음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제자들은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덕홍의 슬픔이 가라앉기를 기다려 제자들은 모두 농운정사에 모였다.

 농운정사는 제자들이 평소에 머물고 잠을 자던 집인 지숙료(止宿寮).

그들이 약속이나 한 듯 함께 모인 것은 스승 퇴계의 운명에 대해 주역을 통해 점을 치기 위함이었다.

제자들은 이따금 서당에서 주역을 통해 점괘를 얻곤 하였다.

주역은 두 가지의 의미가 있는 책이었다.

 

일찍이 공자는 ‘책을 엮은 죽간의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질(韋編三絶)’ 정도로 주역을 탐독하였으며,‘내게 몇 년의 수명이 더해져 주역을 공부해 나가면 흉허물이 없을 것이다.’라고 소중히 여겼는데, 이는 공자가 주역을 점치는 책으로 보기보다는 우주원리를 꿰뚫는 철학과 수양의 책으로 보았기 때문이었다.

퇴계도 젊은 시절 공자처럼 몸이 상할 만큼 주역에 심취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주역은 이처럼 심오한 철학서이기도 하지만 엄연한 점서(占筮). 따라서 도산서당에서는 이따금 퇴계를 필두로 주역을 통해 점괘를 얻곤 하였던 것이다.

특히 이덕홍은 주역에 밝아서 생전에 ‘주역질의(周易質疑)’란 역학 책을 저술하였던 문인.

그러므로 이덕홍을 비롯한 많은 제자들이 한데 모여 스승의 운명을 주역을 통해 점을 쳐보았던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던 것이다.


 

당연히 이 의식은 역학에 밝은 이덕홍이 집전하였다.

이덕홍은 산통(算筒)을 꺼내왔다. 산통은 점칠 때 쓰는 기구로서 그 안에 대나무로 만든 산가지(算本)를 넣어두는 통이었는데,

서당에 항상 비치하고 있었던 물건이었다.

이덕홍은 산통 속에서 서죽(筮竹)이라고 불리는 점치는 산가지를 꺼내었다.

산가지의 숫자는 50개가 정량. 그 중 한 개는 태극을 상징하는 것이라 하여 제쳐놓고 49가지만 사용하는 것이 상례였다. 왜냐하면 유학에 있어 태극은 천지만물의 가장 근원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존재였으므로 제외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이덕홍은 서죽을 꺼낸 후 잠시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며 마음을 달래었다. 이는 이덕홍의 행동을 지켜보는

모든 제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원래 주역을 통해 점을 칠 때에는 경건하고 엄숙한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몸가짐이었다. 조금이라도 의심하는 마음을 갖거나 부정한 일을 위해서 점을 치는 것은 신성을 모독하는 것으로 바른 계시를 얻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주역은 천지신명의 바른 법칙을 본받아 그 이치에 순응함으로써 계시를 얻는 것이므로 부정한 일을 위한 점은 주역의 원리를 반역하는 일이며 또한 같은 일로 두 번, 세 번 점을 치거나 주역의 결과를 의심하는 것은 상천(上天), 즉 하느님의 뜻을 거스르는 일로 금기시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덕홍은 서죽을 양손으로 나눈 후 왼손에 든 서죽에서 한 개를 뽑아 무명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끼웠다. 이는 천수(天數)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른바 점을 칠 때 제일 먼저 시작하는 중요한 행위였던 것이다.

그러고 나서 왼손에 들어있는 서죽을 네 개씩 네 개씩 차례로 덜어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네개 미만의 서죽이 남자 다시 무명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끼웠다. 이것은 늑이라 불리는 두 번째 과정이었다.

이덕홍은 몇 차례씩 이런 작업을 되풀이하면서 괘를 얻고 있었는데, 이러한 작업은 초효(初爻)라 불리는 제일변(變)을 얻기 위함이었다. 이와 같이 한 효(爻)를 정하는데, 세 번의 절차를 밟고 무릇 18변에 해당되는 육효(六爻)를 얻어야만 비로소 점괘가 완성되는 것이었다.

이덕홍은 그러한 작업을 순서에 따라서 차례차례 진행해 나갔다. 나오는 점괘마다 이를 종이 위에 적어 팔괘로 나누고, 다시 팔괘를 세분하여 대성괘(大成卦)로 나누어 점괘를 완성하고 있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이덕홍은 마침내 스승의 점괘를 얻을 수 있었다. 그 점괘는 다음과 같았다.

“-- -- -----”

-- -- -- --

-- -- -- --

이는 주역에 나와 있는 64괘의 괘상(卦象) 중 ‘간하곤상(艮下坤上)’에 해당하는 이른바 겸괘(謙卦)였다.

‘간하곤상’이라 하면 땅인 간(艮) 밑에 산(坤)이 있는 괘상인데, 이에 대해 주역은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었다. 이덕홍은 초조하게 지켜보고 있는 제자들 앞에서 주역을 펼쳐 ‘간하곤상’의 괘사를 천천히 낭독하기 시작하였다.

“겸손하면 형통한다. 하늘의 도리는 높은 데서 그 작용이 아래로 내려와 땅 위의 만물을 건져 줌으로 해서 빛이 나고, 땅의 도리는 스스로 낮은 위치를 지킴으로 해서 그 작용이 위로 올라가 하늘의 하는 일을 도울 수 있는 것이다. 하늘의 법칙은 보름달은 기울듯이, 찬(盈) 것은 덜고 차지 않은 것(謙)은 보탠다. 땅의 법칙은, 웅덩이에 물이 가득 차면 둑을 끊고 나와 낮은 데로 흐르듯이 찬 것은 변경하여 차지 않은 데로 흐른다. 귀신은 가득 차 있는 자에게는 화(禍)를 주고 겸손한 자에게는 복(福)을 준다. 사람의 도리는 교만한 것을 미워하고 겸손한 것을 좋아한다. 겸손하면 높은 지위에 있는 이는 빛이 나고, 낮은 자리에 있는 자는 남이 업신여기지 못한다.”

주역에 나와 있는 64괘의 괘 중 퇴계에 해당하는 괘는 이른바 15번째의 지산겸(地山謙)괘였다.‘간하곤상’, 즉 ‘땅 밑에 산이 솟아 있다.’라는 괘상이 의미하듯 이 괘의 특성은 마땅히 산이라면 땅 위에 솟아 있어야 하는데, 땅 밑에 산이 우뚝 솟아있다는 뜻처럼 겸괘(謙卦)를 의미하는 것이다.


 

겸괘.

이는 문자 그대로 주역의 ‘겸손하면 형통한다.’라는 괘사처럼 겸손을 상징하는 것으로 퇴계에게 가장 적합한 점괘였던 것이다.

퇴계의 운명을 점쳐보는 괘상으로 ‘겸괘(謙卦)’가 나왔다는 사실에 많은 제자들은 경악을 금치 못하였다. 너무나 정확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덕홍은 잠시 멈췄다가 다시 읽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시종일관 겸손의 도를 지키는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다.”

유종의 미.

시종일관 겸손의 도를 지켜나간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다. 결국 이 말은 결국 스승 퇴계가 ‘군자유종(君子有終)’의 최후를 맞게 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점괘가 아닐 것인가. 그러므로 주역은 퇴계가 겸손으로써 유종의 미를 거두고 운명할 것임을 분명하게 점지하고 있는 것이다. 순간 제자들은 모골이 송연하였다. 이덕홍은 다시 떨리는 목소리로 효사(爻辭) 중 대상(大象)을 풀이하여 읽어 내려갔다.

 

“높은 산이 낮은 땅 아래에 있다. 이것이 겸(謙)의 괘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보고 많은 것을 덜어서 적은 것에 보탬으로써 사물의 균형을 살피고 시책을 공평하게 한다.”

‘지산겸’괘의 두 번째 초음(初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스스로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겸손하며 공경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수양을 쌓으니, 참으로 군자로구나. 대하를 건너는 것과 같은 위험하고 어려운 일을 수행하여도 길하리라.”

 

‘지산겸’괘의 이음(二陰)의 풀이는 다음과 같다.

“명성이 이미 세상에 울리고 있건만 스스로 몸을 낮추고 겸손하다. 자신의 마음에 자신을 가졌기 때문에 남에게 잘난 체해 보이려 하지 않는다. 이러한 태도를 한결같이 가지면 길하리라.”


 

‘지산겸’괘의 효사 중 삼양(三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천하를 위하여 헌신한 공로가 있건만 자랑하지 않고 겸손하니 진정 군자로구나. 만민이 심복한다. 유종의 미를 이루어 길하리라.”

 

‘지산겸’괘의 사음(四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을 높이고 자신을 낮추어 겸손하니 모든 일이 도리에 어긋남이 없다. 만사 순조롭지 않은 것이 있을 수 없다.”


 

‘지산겸’괘의 효사 중 오음(五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귀한 분이면서도 교만하지 않고 유화한 태도로 남에게 겸손하니 많은 사람들이 심복하여 주변에 모인다. 불복하는 자가 있으면 정벌(征伐)함이 좋다. 순조롭지 않은 것이 없으리라.”


 

‘지산겸’괘의 효사 중 마지막 부분인 상음(上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미 군주의 지위는 물려주고 난 위치에 있으나 아직 명성은 세상에 울리고 있다. 그러나 겸손하다. 군사를 동원하면 작은 읍국(邑國)을 정복하는 일쯤은 능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은 ‘지산겸’ 괘의 총 해설이었다.


 

일찍이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부자가 되어서 교만 없기가 가난하여서 원망 없기보다도 어렵다.”

공자의 이 말은 예수가 말하였던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는 낙타가 바늘귀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쉬울 것이다.’라는 가르침을 연상시키는데, 이렇듯 퇴계의 운명을 암시하는 ‘겸’괘는 퇴계야말로 ‘어진 이를 존경하고 선비에게 몸을 낮춰야 한다.’는 ‘존현하사(尊賢下士)’의 도를 완성한 ‘겸손의 군자’임을 드러내는 괘상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에 실려 있는 64괘의 대성괘 중 퇴계의 운명을 암시하는 ‘지산겸’ 괘야말로 군자가 지향해야 할 최고의 덕목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주자를 비롯한 정이천과 같은 송 대의 초기 유학자들이 이 ‘겸괘’에 대해서 나름대로 해설을 가하고 있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던 것이다.


 

먼저 이 괘에 대해 주자는 이렇게 풀이하였다.

“겸(謙)이란 가지고 있으면서 가진 체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안으로 그치고 밖으로 순한 것이 겸의 뜻이다. 산은 지극히 높고 땅은 지극히 낮은 것인데 이제 높은 것이 굴하여 그 낮은 것 아래에 그쳤으니, 겸의 상(象)이다. 점치는 자가 이러하면 형통하여 끝이 있으리라. 끝이 있다는 말은 먼저 굴했다 다시 펴진다는 뜻이다.”

그뿐인가.

정이천 역시 이 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겸은 형(亨)이 있는 도이다. 덕이 있으면서도 있는 체 아니 하니, 겸이라 이르는 것이다. 사람이 겸손으로 자처하면 어디에 간들 형통하지 않겠는가.‘군자는 유종하리라.(君子有終)’라는 것은 바로 이런 뜻이다. 즉 군자는 겸손에 뜻을 두고 이치에 통달하므로 천(天)을 즐기어 경쟁을 아니 하고, 안으로 충실하므로 퇴양(退讓)하여 자랑을 하지 아니하며, 겸손함을 편하게 지키어 종신토록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스로 낮추면 남이 더욱 존경하고 스스로 낮추면 덕이 더욱 빛나게 드러나니, 이것이 이른바 군자가 ‘끝(終)’을 가진다는 뜻인 것이다.”

정이천의 표현대로 퇴양하고 퇴양하여 스스로의 호를 퇴계로 지었던 이황.

주역의 팔괘는 고대중국의 복희(伏羲)라는 어진 임금이 황하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있는 도형을 보고 계시를 얻고, 다시 하늘의 천문과 지리를 살펴서 만물에 각자 마땅한 바를 관찰하여 만든 것으로 그렇다면 퇴계가 ‘군자유종’의 최후를 맞게 될 것이라는 겸괘는 하늘이 점지한 천기가 아닐 것인가.


 

―돌아가신다. 스승께서는 군자유종의 미를 거두신다.

마침내 주역을 통해 하늘의 천기를 알아낸 제자들은 숙연한 마음으로 옷깃을 여미며 모두 숨죽여 울기 시작하였다.

행여 병석에 누운 퇴계가 들을까 곡성은 터져 흐르지 아니하였으나 일순 도산서당은 침통한 슬픔으로 가라앉기 시작하였다.

이에 대한 기록이 ‘간재문집’ 속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12월7일.

스승께서 이덕홍을 불러 서적을 맡으라고 지시하셨다.

퇴계선생의 병세가 너무 위독해서 제자들이 점을 쳤는데, 겸괘의 ‘군자유종(君子有終)’이란 점사(占辭)를 얻고 모두 아연실색하였다. 스승 퇴계의 종언(終焉)이 다가왔음을 암시하는 내용이었기 때문이었다.”

마침내 주역을 통해 ‘군자유종(君子有終)’의 천기를 점지 받았으므로 제자들은 누구나 스승 퇴계가 곧 종언하리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고 있었다.


 

실제로 이튿날인 12월8일.

퇴계의 병은 한층 더 위독해졌다. 이날 아침 퇴계는 이덕홍과 조카 영을 불러들였다.

두 사람이 퇴계의 침상 곁에 앉자 퇴계는 간신히 손을 들어 무엇인가를 가리키려 하였다. 그러나 온몸에서 힘이 모두 빠져나간 듯 손가락 하나 까딱할 수 없었다. 보다 못한 조카 영이 퇴계의 얼굴에 바짝 귀를 들이대자 퇴계는 띄엄띄엄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저…매형에게…물을…주어라.”

퇴계의 임종을 기록하고 있는 수십 권의 책들은 퇴계의 이 말이 그가 생전에 남긴 최후의 유언으로 명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매분에게 물을 주라.’는 말은 공식적인 퇴계의 마지막 유언인 것이다.

죽기 직전 자신의 머리맡을 지키던 매분에게 물을 주라는 퇴계의 유언은 참으로 의미심장하다.

생전에 그토록 상사하던 매분이었으므로 살아있는 모든 생명에게 물을 주라는 퇴계의 유언은 이 세상에 모든 삼라만상이 너와 나의 대립관계가 아니라 둘이 아닌 하나라는 상생(相生)의 철학을 의미하고 있는 심오한 최후설인 것이다.


 

이러한 참군자 최후설은 세기의 철인이었던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유언을 떠올리게 한다.

비록 시대와 공간은 달라도 소크라테스와 퇴계는 궤변론이 팽배하던 어지러운 난세에 올바른 진리로 청년들을 일깨우던

 세기적인 사상가.

‘아테네 청년을 부패시키고 새로운 신을 섬긴다.’는 죄명으로 독배를 마시고 죽게 된 소크라테스는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의 편안한 여행을 기원하는 기도’를 드린 다음 태연히 독약을 마신다.

이를 지켜보던 제자들이 모두 얼굴을 감싸고 통곡하기 시작하자 소크라테스는 묻는다.

“웬 통곡 소리들인가. 이런 창피한 꼴을 보게 될까봐 아낙네들을 먼저 보냈거늘,‘사람은 마땅히 평화롭게 죽어야 한다.’고 나는 들었네. 그러니 부디 조용히 하고 꿋꿋하게 행동하게.”

감각이 사라지고 온몸이 뻣뻣해지며 죽어가던 소크라테스는 온몸을 덮었던 천을 벗기고 혼신의 힘을 다하여 역사상 유래가 없는 그 유명한 유언을 남긴다.

“이보게 크리톤. 아스클레오피스에게 닭 한 마리를 빚졌다네. 자네가 잊지 말고 기억했다가 내 대신 갚아주시게나.”

진리의 철인이었던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유언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아스클레오피스는 그리스인들의 의신(醫神).

뱀이 기어오르는 지팡이를 짚고 다녀서 오늘날에도 병원이나 약국에서 뱀의 지팡이로 상징되고 있는 문장은 바로 아스클레오피스를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죽어가는 소크라테스는 이승에서의 삶은 고통스러운 병이었으나 죽음으로써 병으로부터 치유되어 영원의 자유와 해방을 얻었으니, 자신이 직접 가서 아스클레오피스의 신전에 감사의 제물을 바치지 못하는 대신 친구인 크리톤에게 닭 한 마리의 제물을 바쳐달라는 내용이었던 것이다.


 이는 죽기 직전 ‘매분에게 물을 주라.’는 이퇴계의 유언과 상통하고 있다.

이퇴계는 사람이 낳고, 병들고, 늙고, 죽어가는 일생이 매화에게 물을 주는 일상사와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 후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듯 죽음을 편안하고 조용하게 맞아들일 준비를 끝냈던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것뿐이었을까.

임종의 순간에까지 물을 주라며 명관(命灌)하였던 퇴계의 유언은 다만 생명이 있는 모든 삼라만상을 사랑하는 퇴계의 철학적인 사유 때문이었을 뿐일까.

아마도 그것만은 아닐 것이다.

퇴계의 임종을 지켜보고 있었던 그 매분. 퇴계가 말년에 극진히 사랑하여 ‘매형(梅兄)’이라고까지 의인화하여 부르면서 직접 열정에서 길어 올린 정화수를 주었던 매분. 잠시 한성에 두고 이별하였을 때 ‘잊혀지지 않는구나. 지난해 봄 서울에서 분매 두고 돌아오는 소매 신선바람에 스쳤더니’하고 노래하며, 오매불망 그리워하였던 그 매분.

심지어 죽기 닷새 전 침석에서 설사를 하자 매형에게 불결한 모습을 보여서 미안하니, 다른 곳으로 옮기도록 하였던 그 매분. 그 매분이야말로 2년 전 두향이가 보내주었던 바로 그 매분이 아닐 것인가.

그러므로 퇴계는 비록 만나지는 못하였지만 어딘가에서 자신을 기다리며 기원을 올리고 있을 두향에게 이승에서의 마지막 작별인사를 고하기 위해서 그러한 유언을 남긴 것이 아니었을까.

그 정확한 사연은 알 수 없지만 퇴계의 고종기(考終記)를 남기고 있는 책들은 이 장면을 한결같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12월8일.

아침에 분매에게 물을 주라고 지시하셨다.(初八日 命灌盆梅)”

그러나 퇴계의 임종을 다루고 있는 수많은 책들 중에서 오직 이덕홍만은 퇴계에게 마지막 유언이 따로 더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아마도 이덕홍은 조카 영을 비롯한 친족들과 마지막까지 스승의 곁을 지키고 있었으므로 이덕홍의 증언은 신빙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덕홍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는 ‘간재문집’에는 다른 책에서는 전혀 볼 수 없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와 있다.

“오시(午時:상오11시부터 하오1시까지의 시간)

스승께서는 조카 영을 불러 말씀하셨다.

‘내 머리 맡에서 바람이 불고 비 소리가 들린다. 너도 역시 그런 소리가 들리지 않느냐.(吾頭上有風雨聲 汝亦聞否)’

이에 조카 영은 대답하였다.

‘들리지 않습니다.’”

오직 이덕홍의 ‘간재문집’에만 기록되어 있는 퇴계의 마지막 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실제로 퇴계가 숨을 거둔 그날은 하루종일 청명한 날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퇴계가 물었던 ‘내 머리맡에서 바람이 불고 비 소리가 들린다. 너도 그런 소리가 들리지 않느냐.’라는 말은 생사가 갈라지는 순간에 남긴 이승에서의 마지막 시대적 예언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퇴계가 숨을 거둔 지 10여년 뒤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조선의 전 국토는 바람이 불고, 폭우가 쏟아지는 격변이 일어나는 것이다.


 

혈풍혈우(血風血雨).

피의 바람과 피의 비가 쏟아지는 대란이 일어나게 되었으니, 퇴계의 이 말은 퇴계가 그토록 사랑하였던 조국에 불길한 미래를 예감하였던 선지자의 묵시(默示)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덕홍은 이 말을 듣는 순간 스승의 임종이 임박하였음을 직감하였다.

이덕홍의 예감은 정확하였다.


 유시(酉時)가 가까워오자 퇴계는 어디에서 그런 힘이 나올까 싶게도 자신이 누웠던 자리를 정돈하도록 하였다. 유시는 12시 중에 10번째 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오 5시에서 7시의 시간. 이때 청명하던 날씨가 돌변하여 흰 구름이 집주위에 몰려들더니 갑자기 흰눈이 쏟아지기 시작하였다. 상서로운 백설이었다. 어지러이 쏟아지는 눈발은 속세를 정화시키듯 순백의 세례로 온 산야를 흰빛으로 표백시켰다.

그때 퇴계는 좌우에 부탁하여 자신을 부축하여 일으키도록 몸짓하였다. 이덕홍과 조카 영이 계속 누워계시도록 만류하였으나 퇴계는 막무가내였다. 할 수 없이 부축하여 일어나 앉히자 퇴계는 방문을 열어주도록 손짓하였다. 몹시 추운 겨울날씨였으므로 조카 영은 멈칫거렸으나 스승의 임종을 직감한 이덕홍이 방문을 열도록 눈짓하였다. 방문을 열자 펄펄 내리는 눈발이 뒤덮인 도산서당의 뜰이 한눈에 드러났다. 부축을 받고 일어나 앉은 퇴계는 물끄러미 그 뜰을 내려다보았다.

기록에 의하면 이때가 유시 초.

그러므로 퇴계가 숨을 거둔 것은 오후 5시에서 5시30분 사이의 일이었을 것이다.

어느 순간 앉아있던 퇴계의 몸이 스르르 무너져 내렸다.

놀란 이덕홍이 다시 부축하려고 손을 내민 순간 이덕홍은 스승이 숨을 거둔 것을 깨달았다. 스승의 몸에서 아직 온기는 남아 있었으나 숨은 어느새 끊겨져 있었던 것이다.


 

“돌아가셨습니다.”

이덕홍은 떨리는 소리로 중얼거렸다.

스승의 곁을 지키고 있던 제자들은 눈이 내리는 뜰에서 무릎을 꿇고 앉아 마지막 순간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마침내 이덕홍의 입에서 부음을 알리는 기별이 전해지자 제자들은 누가 먼저라고 할 것 없이 일제히 눈을 맞으며 통곡을 하기 시작하였다.

참으로 편안한 죽음이었다.

평생 동안 갖은 질병과 병고에 시달리던 퇴계에게 있어서 마지막의 임종 순간은 믿어지지 않을 만큼 평온하고 평화스러운 죽음이었던 것이다. 주역에 나와 있는 ‘겸사’의 점괘 그대로 ‘군자유종(君子有終)’의 최후였다.

퇴계의 죽음과 더불어 어느덧 한 치 정도 쌓이던 눈이 그치고 곧바로 구름이 걷혔다.

이에 대한 기록이 임종을 지킨 이덕홍의 ‘간재문집’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12월8일.

아침에 분매에게 물을 주라고 지시하셨다.

유시 초에 누운 자리를 정돈하게 하고는 부축을 받고 일어나 앉아 편안하게 서거하셨다. 이날 날씨가 맑았는데, 유시 초에 갑자기 흰 구름이 집주위로 몰려들더니 눈이 한 치가량 내렸다. 퇴계 선생이 서거하자 곧바로 구름이 걷히고 눈이 그쳤다.

(酉時 靑天忽白雲集 宅上雪下寸許 須臾先生命整臥席 扶起而坐逝 卽雲散雪霽)”

퇴계의 서거 소식은 뒤늦게 선조에게 전해진다. 퇴계가 죽은 지 3일후 선조는 뒤늦게 퇴계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내의(內醫)에게 약을 가지고 역마를 타고 급히 가서 구하도록 지시하였으나 전의가 채 도착하기 전에 퇴계가 숨을 거뒀다는 비보를 전해 듣자 12월18일 선조는 퇴계에게 영의정을 추증(追贈)하고는 그에 맞추어 치제(致祭) 장례 등의 제반사를 조치토록 하였다.


 

이때 선조가 내린 시호는 다음과 같다.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 弘文館 藝文館 春秋館 觀象監事”

물론 퇴계는 죽기 사흘 전 조카 영에게 절대로 ‘국장을 쓰지 마라. 해당 관청에서 규례에 따라 국장을 정하면 반듯이 유명이라고 말하여 상소하여 고사토록 하라.’라는 유계를 내렸으나 선조가 친히 내린 어명이었으므로 이를 물리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선조는 2일간 조회를 폐하게 한 뒤에 의정에 합당한 일 등 국장으로 장례를 치르게 하고 이에 필요한 각종 제물을 부의(賻儀)로 보내도록 친히 지시하였다.

선조는 직접 퇴계의 빈소를 찾아가 거애(擧哀)하고 싶어 하였으나 거리가 멀었으므로 대신 승지를 보내어 조제(弔祭)토록 하였다.

이때 율곡은 스승 퇴계의 슬픔을 애도하여 ‘퇴계 선생을 곡하다(哭退溪先生)’란 만시를 짓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좋은 옥 정한 금처럼 순수한 정기타고 나시어

참된 근원은 관민(關:장재와 주희를 가리킴)에서 갈려나왔다.

백성들은 위아래로 혜택입기를 바랐건만

자신의 행적은 산림에서 홀로 몸을 닦으셨네.

호랑이 떠나고 용도 사라져 사람의 일 변했건만

물결 돌리고 길 여신 저서가 새롭구나.

남쪽 하늘 아득히 저승과 이승이 갈리니

서해 물가에서 눈물 마르고 창자 끊어집니다.

(良玉精金稟氣純 眞源分派自關 民希上下同流澤 迹作山林獨善身

虎逝龍亡人事變 瀾回路闢簡編新 南天渺渺幽明隔 淚盡腸西海濱)”

 글쓴이: [溪巖]환암공파[영양군25세]

출처 : 백연서예사랑방
글쓴이 : 백연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