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은 인간유기체가 환경과의 교호작용(交互作用)에 의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해가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환경은 바람직한 긍정적 환경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가 없는 것은 교육 활동이라 할 수 없다.
교육환경은 물리적인 시설자료 환경과 만남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교육환경을 들 수 있다. 교육환경에는 바람직한 긍정적 방향의 변화를 주는 환경과 안 된다는 부정적 변화를 주는 환경이 있다.
고장 난 시설환경은 은연중 부정적 교육환경이 되어 부정적 인성형성이 되게 하며 만남에서 이루어지는 칭찬은 긍정적 심적 환경이고 꾸중과 비판은 부정적 심적 교육환경이다.
맹모 삼천지교(三遷之敎)란 말이 있다.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가르치면서 좋은 교육환경을 찾아 세 번 이사했는데 첫 번째는 묘지가 많은 공동묘지 부근이었는데 놀이하는 것이 상여 놀이를 했으며 두 번째 이사한 곳은 저잣거리 부근인데 장사꾼들의 손님 호객놀이를 했으며 세 번째로 간 곳은 서당 부근인데 날만 세면 글 읽는 흉내를 내면서 글공부에 접근했다는 이야기다.
인간이 어떤 환경에 접하면 그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그 변화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해갈 것을 바라는 활동이 교육활동이다. 이러한 인적 물적 교육환경 시설을 만들어주어야 하는 사람이 가정에서는 부모며 학교에서는 학교장을 비롯한 교사다.
환경의 영향을 받아 바람직하지 못한 나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은 교육의 근본 뜻이 아니다. 교육환경에는 잘할 수 있다는 긍정적 환경과 할 수 없다는 부정적 환경으로 구분되며. 교육환경은 바람직한 변화를 줄 수 있는 긍정적 환경이라야 한다.
교육환경은 인적환경과 물적 환경이 있는데 인적환경은 학생과 접하는 교사를 비롯한 친구와 이웃 사람과의 만남의 환경이고 물적 환경은 학생이 보고 만지고 활용하는 시설환경 자료를 말한다.
시설환경이 고장 나고 작동이 잘 안 되는 것은 부정적 환경이다. 잘 열리지 않는 교실 출입문. 깨어진 유리창, 깨어진 거울, 쓰레기가 널려진 주변 환경, 불결한 화장실, 고장 난 벽시계. 비포장도로 등은 부정적 교육환경이고
집안에서 정선되고 정리된 집안 생활도구, 학교에서 아름답게 잘 꾸며진 꽃밭, 잘 열리는 출입문, 고장 나지 않은 실험기구, 깨끗한 화장실 등은 긍정적 환경이다.
학생이 공부하는 곳에 부정적 환경이 있으면 긍정적 환경으로 바꿔주어야 한다. 깨진 유리창을 방치하고, 잘 열리지 않는 출입문을 방치하면 학생의 생각에 잘 안 될 것이라는 선입견을 주는 동기가 되며 그런 인성으로 변화를 준다.
인적환경에서의 부정적 환경은 부모나 교사의 불친절과 꾸지람, 난폭한 언행, 친구로부터 따돌림, 이웃사람과의 어울리지 못함, 웃음이 없는 분위기 등이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열등감, 저항심. 무기력 우울증이 생겨 나쁜 길로 빠지게 된다.
긍정적 인적환경은 부모나 교사의 칭찬과 격려, 웃는 얼굴과 웃음, 이웃과의 친교, 서로 돕는 친구 등은 희망적이고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다.
그러므로 교육환경은 물적 환경도 중요하지만, 인적환경은 학생이 본을 받고 닮아가는 인성이 길러지므로 교육에 임한 사람은 항상 긍정적 인적환경으로 학생과 만나야 한다.
교육은 학생이 경험해야 할 내용인 교육과정을 가르치고 공부하는데 지식 정보를 습득하여 지식인이 되고 바른 인성을 습득하여 도덕인이 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학교 교육은 학생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학교폭력단속을 위해 국민의 치안을 맡은 경찰이 학생선도 교육을 하고 있는데 교육에 전문 인력을 동원하는 것은 좋을지 모르나 학교에서 도덕인 육성을 위한 인성교육은 교사가 해야 할 몫이다.
과거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보면 교과 과정 반공 도덕과정 특별황동과정으로 되었다가, 교과 과정 도덕과정으로 바뀌었고, 최근에는 교과 과정 창의학습과정으로 바뀌었다.
도덕인 육성을 위한 도덕과정이 보이지 않는 것은 다른 곳에 통합되었을 것으로 보는데 바른 인성 육성을 위한 도덕교육이 경시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학교에서 먼저 할 것은 도덕적인 사람이 된 다음에 지적인 사람이 되어야 함은 초등학교 1학년 입문기 교육이 인사하는 도덕교육부터 시작함에서 보아야 한다.
교육은 도덕적으로 지적으로 유능한 인간 형성 활동이 교육환경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인적 물적인 좋은 교육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2014년 10월 24일
정기연(전광투데이 논설실장)**


★동영상감상★
▼
*클릭▶좋은 글과 그림
*클릭▶파노라마 동영상
* 클릭
↓
화면 왼쪽▶을 클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