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금상첨화(錦上添花)
浩 根 書 堂
2014. 11. 8. 03:32
금상첨화(錦上添花)
옛날 중국 송(宋)나라의 개혁(改革) 정치가(政治家)이면서 당송(唐宋) 8대 문장가(文章家)의 한 사람인 왕안석(王安石)의 칠언율시(七言律詩)인데 이 시(詩)의 내용(內容) 중 첨금상화(添錦上花)에서 ‘비단 위에 꽃을 더 그려 넣는다.‘라는 말로 ’좋은 것 위에 더욱 좋은 것을 더 한다.‘는 뜻의 금상첨화(錦上添花)라는 사자성어(四字成語)가 유래(由來)하였습니다.
칠언율시(七言律詩) <즉사(卽事)> 왕안석(王安石)
河流南苑岸西斜 風有晶光露有華(하류남원안서사 풍유정광로유화)
門柳故人陶令宅 井桐前日總持宅(문류고인도령댁 정동전일총지댁)
嘉招欲覆盃中帩 麗唱乃添錦上花(가초욕복배중초 려창내첨금상화)
便作武陵樽葅客 川源應未少紅霞(편작무릉준저객 천원응미소홍하)
강(江)은 남원(南苑)을 흘러 언덕 서쪽으로 기우는데
바람엔 맑은 빛이 있고 이슬에는 꽃의 화려함이 있네
문(門) 앞의 버들은 옛 도령의 집이요
우물가의 오동은 전날 총지의 집이라
좋은 모임에서 잔속의 술을 비우게 하는데
아름다운 노래는 비단 위에 꽃을 더한 듯
문득 무릉의 술과 안주를 즐기는 손님이 되어
내(川) 근원에 응당 붉은 노을이 적지 않으리라.
출처 : 방하착[放下着]
글쓴이 : 放下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