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高齡者 걷기 指針書 꾸준히 걷기만 잘해도 ‘만병통치’ 1분당 60대 120보·70대 110보 80대100보 적당
꾸준히 걷기만 잘해도 ‘만병통치’
연령대·활동능력 수준 따라 보행 수·속도 달리해야
전문가들은 고령자의 건강증진을 위해 가장 손쉽고 효율적인
이와 함께 지침서는 노인들이 올바른 걷기를 위해서
연령별 걷기운동은
이밖에도 발목과 척추에 무리를 주는 팔자(八)형 걸음대신
<고령자에게 걷기를 권장하는 이유>
◇걷기 운동
◇육체적인 건강에 대한 이득
-산소공급능력 유지 혈압 감소 등
-콜레스테롤 감소 혈관벽의 신축성 증가
-여성의 관상동맥질환 예방
-당뇨병 발생 위험을 낮추고 치료에 도움
-뼈에서 미네랄의 침착을 도와주고 골대사와
-면역 능력 강화
-노화관련 호르몬 조절로 각종 질병 예방
-암, 특히 대장암, 유방암의 발병위험 감소
-다리 근육, 유연성, 자세안정성, 균형 및 걸음걸이를
-관절염 발생 위험 낮춤
-자연 치유 능력 향상
<걷기를 위한 준비 및 주의사항>
걷기에 편안하고 발에 상처를 내지 않을 수 있도록 마감이 잘된,
▶걷는 장소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 집에서 가깝고 대기
▶걷는 시간대
고령자 중에는 온도에 대한 체온조절 반응인 자율신경조절
아래 연령대별 걷기 목표 권고안을 확인한다.
목표 보행수는 가급적 일일단위로 하기보다는 일주일 단위로
▶만보계
만보계를 이용하면 걷기목표 보행수에 도달하는데
만보계의 종류는 다양하고 사양에 따라 가격도 다르다.
▶걸음형태
팔자(八)형 걸음은
연령별. 활동능력 수준별 일일/주당 보행수 및 권장속도
연령 |
활동능력 수준 |
보행수/일 |
보행수/주 |
권장속도/분 |
60대 |
상 |
6.500-7.000 |
45.000-50.000 |
120-130 |
중 |
5.000-6.500 |
35.000-45.000 |
110-120 | |
하 |
4.000-5.000 |
30.000-35.000 |
100-110 | |
70대 |
상 |
5.500-6.500 |
40.000-45.000 |
110-120 |
중 |
4.000-5.500 |
30.000-40.000 |
100-110 | |
하 |
2.500-4.000 |
20.000-30.000 |
90-100 | |
80대 |
상 |
4.000-5.000 |
30.000-35.000 |
100-110 |
중 |
2.500-4.000 |
20.000-30.000 |
90-100 | |
하 |
2.000-2.500 |
15.000-20.000 |
80-90 |
우리나라 노인의 현실에 맞는 권고 보행목표를 연령별대,
걷기능력 및 건강상태를 상중하로 구분해 정했다.
국내 시범조사,
미국 보건후생성 권장안,
일본의 21세기 국민 건강만들기운동 ‘
건강일본21’,
우리나라 4기 국민영양조사 결과 등을 참조했다.
<고령자 걷기 권장사항>
1. 목표치보다 많이 걸어도 좋지만
너무 과도하게 많이 걷게 되면 고관절 골절 등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2. 걷기를 처음 시작하는 경우 의사 상담을 받아
건강수준에 맞게 시작할 것을 권유한다.
걷기를 하는 동안에 능력이 증대되면
목표를 상향조정하도록 한다.
4. 1분당 110보는 평소보다 약간 빠르게 걷는다는
느낌이 드는 정도로, 맥박과 호흡이 약간 빨라지고
땀도 약간 나며 걷는 동안에 노래를 부를 수 있을
정도의 속도다.
만성질환자의 경우에도 걷기는 좋은 운동이며,
걷기목표와 강도에 대해서는 의사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목표를 설정할 것을 권유한다.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