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동영상]우리 문화속의 음양오행

浩 根 書 堂 2016. 3. 2. 19:57

               

               

 

       우리 문화속의

 

 

 

 
 
 
우리 의 전통문화로 본 오행

 

함에는 우리문화의 수수께끼가 들어있다.

 

 

 

함에는 우리문화의

함 안에는 의 채단. 이 항상 밖에 있다.

 

 

 

 

 함 속에 들어있는 다섯 개의 주머니.

 오방, 다섯 방위를 상징하며  이 안에는 오곡이 들어있다.

 

 

푸른 색
, 붉은 색 종이에 (색을 달리하여) 붉은, 푸른 실로 묶는다.

 극적인 상생의 상징성을 갖는다

 

 

 

우리의 지역의 지명으로 본 

 

                    

 

경북 경주시 건천읍 신평리

 

 

 

이 곳에 음양오행관련 전설이 있다.

 

[여근곡의 전설]
삼국간 전쟁이 치열하던 636년, 선덕여왕은 옥문지에서
개구리떼가 여러날 운다는 보고를 받고 군사를 보내

 여근곡에 숨어있는 백제군을 치게하였다

 

                            

 

                      [옥문지]

 

                          

옥문지의 개구리

 

 

古書에 기록으로 본 오행

 

 

 

[삼국유사]

      선덕여왕은 여근곡에 백제군이 있었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

 

 

                         삼국유사

 

민속놀이로 본 오행

 

 

 

 

[광산 고싸움]

고싸움은 음양오행사상을 보여주는 대표적 놀이이다

 

 

 

광산 고싸움

 

 

마을 사람들은 남성을 상징하는 동구와  여성을 상징하는 서구로 나뉘어 20 여일 동안 놀이를 벌인다.

 

고싸움은 상대편을 눌러 땅에 닿으면 끝난다.

 

 

마을의 지기가 세어서 이를 누르기 위해서 놀이를 행하였다.

 

 

 

또한, 여성을 상징하는 서구가 이겨야 풍년이 온다고 믿었다

 

유적지에 나타난 태극 사상과 오행

 

 

 

음양사상은 태극무늬에 잘 나타나있다
감은사지 3층석탑 (경북 월성군 양성면 용당리)

 

 

 

감은사지 3층석탑에는 오래된 태극무늬가 있다.

 

 

 

무극

 

 

태극으로 분화

 

 
음양에서 오행으로의 분화
 
 
 

에서 오행으로의 분화된

 
 
 

 

음양에서 오행으로의 분화

 

 
 
   

 

[오행]
木 솟구쳐 자라다

 

 

 

 

목 - 봄

 

 

 

목 - 새싹이 돋아나는 모습

 

 

[오행] 火 퍼져 나가다

 

 

 

 
(화가 퍼져나가서 잎이 자란 것을 설명하고 있음)

 

 

 

[오행] 
土 중재하다

 

 

 

[음양오행]        벼꽃

 

 

 

[오행] 金 모아서 굳게 하다

 

 

금(金)기운으로 열매를 맺다

 

 

금(金)기운으로 열매를 맺다

 

 

 

 

[오행] 水 저장하여 키우다

 

 

겨울 - 水

 

 

민화에 나타난 오행

 

 

[복희와 여와]
 음양오행은 지금으로부터 약 5600년전 태호복희씨가 용마의 등에서 계시받아 만든 것을 공자가 철학적으로 해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훈민정음 창제 원리는 오행이다

 

 

 

 

 

[훈민정음]

 

 

 [훈민정음]

 

 

탱화에 나타난 오행 사상

 

 

 

음양오행은 중국의 외래사상이 아니고 우리에 사상이다.

 

 

[일월신장] 
우리 민족은 음과 양의 상징인 해와 달을 숭배해왔다 

 

 

[오방신장] 

 

 

[오방신장] 
무속신앙의 오방신장은 오행의 방위 개념과 같다

 

 

[중방태토]
 오방신장중 중방태토는 씨뿌림을 주관한다.

 

 

[동방태목] 
만들고 이루는 것을 관장한다

 

 

[서방태금]
 
축정하여 자르는 것을 관장한다  

 

 

[남방태화]
녹이고 익히는 것을 주관한다  

 

 

[북방태수]
크고 윤택하게 세상을 다스린다.  

 

고분벽화에 나타난 오행

 

 

 

 

[오회분 5호묘]
우리나라 상고사가 사라진 지금, 음양오행에 대해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구려 벽화에서 볼 수 있다.

 

 

태양과 달을 상징한 것으로 

 

 

각기 음양을 상징하고 있다 

 

 

우리민족이 예로부터 음양사상을 믿어왔다는 것을 반증한 것이다

 

 

[좌청룡]
  강서대묘의 사신도에는 네 개의 동물들이 그려져 있다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

 

 

사신은 동서남북 네 방향뿐만 아니라

봄여름가을겨울 네 계절과

하늘의 별자리와 관련이 있는 존재이다

 

서울의 지형태와 궁궐에 나타낸 오행

 

 

 

[서울의 풍수]
 500년의 정도, 서울.
풍수지리에 따라 세워진 계획도시였다고 한다.

 

 

[경복궁]

 

 

[근정전]
 조선시대에 가장 중요한 경복궁,
세 개의 문을 차례로 지나면 정가운데

 왕이 정사를 돌보던 근정전이 있다.

정중앙은 오행중 토(土)로,
황제의 자리이다
 

 

 

[교태전]
 근정전 뒤쪽 깊숙한 곳에 왕비의 침전이자,

 잉태의 장소인 교태전이 있다.

 천지자연기운인 음양의 기운이 한데 어울려

 만물의 근원이 된다는 뜻을 담고 있다

 

 

[동궁]
 동쪽에는 세자의 거처인 동궁이 있다.

 동쪽은 해가 떠오르는 곳이며, 에 해당하며,

세자는 자라서 왕이 된다는 뜻이다

 

 

이곳(서궁)은 대비의 거처로 대비는 지는 해로써, 오행의 가을을 나타내고 있다. 서궁은 경복궁 바깥쪽인 서쪽에 위치한다

 

 

대한문

 

 

대문은 우주의 기가 흐르는

입구로 건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곳이다

 

 

 

동쪽에는 건춘문이 있다.
동쪽은 오행에서 봄을 맞이하는 문이다

 

 

서쪽에는 영추문이 있다.

오행에 금에 해당하는 서쪽과 가을.

영추문은 가을을 보낸다는 뜻이다

 

 

 [광화문]

 

 

[광화문]광화문을 지키고 있는 한쌍의 해태.

 

 

 

해태의 눈은 관악산을 응시하고 있는데, 해태는 왜 광화문 앞에 세워진 걸까?

물을 관장하는 물의 신(神)인 해태,

물은 오행상으로 水에 해당한다.

경복궁의 화재를 예방하는 해태상 한쌍을 문앞에 설치 

 관악산은 불의 산으로써 火에 해당한다.

 

 

 

[관악산]
 즉 수와 화가 있어서 물로써 불을 제압하기때문에

 이 해태상을 양쪽에 세워서 관악산의 화기를 막고자 했던 것입니다

 

산은 그 지세에 따라 음산과 양산으로 나뉜다.
마이산은 특이하게도 음산과 양산이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이산 탑사엔 80여개의 다양한 돌탑이 산재해 있다.
이 탑들은 1800년대에 조선왕족인 이갑룡처사가
마이산에 들어와 솔잎으로 생식을 하며, 수도를 하던중
국운을 염려하여 쌓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음양오행에 따라 세워진 탑들은

우주순행원리를 담고 있다.

탑사 맨 위쪽엔 음양과 오행을 상징한
탑들이 세워져 있다 
[동영상] 우리 문화속 음양오행 코드



 

우리 문화속 음양오행 코드

출처 : 한국전례원 - 韓國典禮院 - ( jeonyewon )
글쓴이 : 根熙 김창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