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네(蜈蚣)는 발이 많이 달렸으나 달리는 속도가 발이 없는 뱀(蛇)을 따르지 못하고, 닭(鷄)은 날개가 크지만 공중을 날아다님에 새(鳥)를 따르지 못한다.
말(馬)은 하루에 천리를 달릴 수 있으나 사람이 타지 않으면 스스로는 가지를 못하며, 사람은 하늘을 능가하는 높은 뜻(志)과 기개(氣槪)가 있어도 운(運)이 따르지 않으면 그 뜻을 이룰 수가 없음이다.
문장(文章)이 세상을 덮었던 공자(孔子)도 일찍이 진(陳)나라 땅에서 치욕과 곤욕을 당하였고, 무략(武略)이 뛰어났던 강태공(姜太公)도 위수(渭水)에서 낚시를 드리우며 자신을 알아줄 때까지 기다리며 세월을 보냈음이다.
도척(盜跖)이 장수(長壽)하였으나 선량한 사람이 아니었으며, 안회(顔回)는 단명(短命)하였으나 흉악한 사람이 아니었다.
요순(堯舜)은 지극한 성인(聖人)이었으나 불초(不肖)한 자식을 낳았으며, 고수(瞽叟)는 우매(愚昧)한 인물이었으나 오히려 아들은 성인(聖人)인 순(舜)을 낳았다.
장량(張良)도 본래는 보통의 선비였고, 소하(蕭何)는 일찍이 작은 고을의 말단관리인 현리(縣吏)에 불과했다.
안자(晏子)는 신장(身長)이 5척(尺)도 안 되는 아주 작은 단신이었으나 제(齊)나라의 수상(首相)이 되었고, 제갈공명(諸葛孔明)은 초려(草廬)에서 은거(隱居)하며 지냈으나 능히 촉한(蜀漢)의 군사(軍師)가 되었으며, 한신(韓信)은 닭(鷄)을 잡을 힘도 없었으나 한(漢)나라의 대장군(大將軍)이 되었다.
풍당(馮唐)은 나라를 편안하게 할 기개와 경륜이 있었으나 나이 들어 늙음에 이르도록 미관말직에도 등용되지 못하였고, 이광(李廣)은 호랑이를 활로 쏘아 잡을 수 있는 위력(威力)이 있었으나 종신토록 급제(及第)하지 못해 봉후(封侯)의 반열에도 오르지 못하였다.
초왕(楚王) 항우는 영웅이었으나 오강(烏江)에서 자결(自刎)함을 면치 못했고, 한왕(漢王) 유방은 유약하였으나 하산만리(河山萬里)를 얻어 나라를 세우고 황제가 되었음이다.
경륜(經綸)과 학식이 가득하고 제아무리 좋아도 백발이 되도록 급제(及第)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고, 재능(才能)과 학문의 깊이가 얕고 어두워도 소년(少年)에 등과(登科)하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먼저 처음에는 부유하였으나 나중에 가난해지는 사람도 있고, 먼저 처음에는 가난하였으나 나중에 부유해지는 사람도 있다.
교룡(蛟龍)이 때를 얻지 못하면 물고기와 새우들이 노는 물속에 몸을 잠기어 놀며, 군자(君子)도 시운(時運)을 잃어 때를 얻지 못하면 소인(小人)의 아래에서 몸을 굽히고 굽신 거릴 수밖에 없음이다.
하늘도 때를 얻지 못하면 해와 달이 광채(光彩)를 잃어 뿌옇게 흐리며, 땅도 때를 얻지 못하면 초목이 야위고 잘 자라지 못한다.
물도 때를 얻지 못하면 풍랑이 일어 잔잔할 수가 없음이고, 사람도 때가 아니면 제아무리 유리한 운세(運勢)라고 할지라도 뜻이 통하지 않는다.
옛날 내가 낙양(洛陽)에 있을 때에 낮에는 승원(僧院)에서 절(寺)밥을 얻어먹고, 밤에는 도자기 가마의 옆에서 잠을 청하곤 하였는데, 홑겹의 작은 베옷으로는 몸을 다 가릴 수가 없었고, 멀건 물죽으로는 그 배고픔을 다 이길 수가 없어서 아주 허덕였었다.
이때에 윗사람들은 나의 무능함을 미워하고 증오했고 아랫사람들도 나를 위압하며 사람들은 다 나를 천(賤)하게 대했었다.
이러함에 나는 말하기를 “이는 내가 천(賤)한 것이 아니라, 나에게 주어진 시운(時運)이며 또한 천명(天命)일 뿐이다”라고 말하였다.
그런 후에 나는 과거(科擧)에 장원급제하고 벼슬이 극품(極品)에 이르러 지위가 삼공(三公)의 반열에 올랐다.
직분은 세상의 만조백관(滿朝百官)을 통솔하고 탐관오리(貪官汚吏)를 징벌(懲罰)하는 권한을 잡았으며, 밖으로 나가면 채찍을 든 장사(壯士)들이 호위하고 집으로 들어가면 미인들이 시중을 들어주었다.
입는 옷을 생각하면 능라금단(綾羅錦緞)이 쌓여 있고, 먹는 음식을 생각하면 산해진미(山海珍味)가 가득하였다.
이때에 윗사람은 나를 총애하고 아랫사람은 나를 옹호하며 받들어 모시니, 사람들이 다 우러러 사모하며 나를 귀(貴)하다고 말했다.
이러함에 나는 말하기를 “이는 내가 귀(貴)한 것이 아니라, 나에게 주어진 시운(時運)이며 또한 천명(天命)일 뿐이다”라고 말하였다.
대저 사람이 이 세상에 살아생전 사는 동안에 “부귀(富貴)함만을 받드는 것도 옳지 못함이며, 빈천(貧賤)함을 업신여기는 것도 또한 옳지 못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