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학문(學問)과 관련된 고사성어

浩 根 書 堂 2009. 12. 25. 14:01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 것을 익혀서 그것으로 미루어 새 것을
깨달음.

★稽古(계고) : 옛일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닦는 것을 일컬음.

★螢雪之功(형설지공) : 고생을 하면서도 꾸준히 학문을 닦은 보람.

★日就月將(일취월장) : 학문이 날로 달로 나아감. ☞刮目相對괄목상대

★盈科後進(영과후진) : 구덩이에 물이 찬 후에 밖으로 흐르듯 학문도
단계에 맞게 진행해야 한다는 뜻.

★敎學相長(교학상장) :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이 서로의 학업을 증진시킨다는 뜻.

★讀書三到(독서삼도) : 독서하는 데는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깨우쳐야 함. 手不釋卷, 讀書三昧, 讀書尙友,
三餘(수불석권, 독서삼매, 독서상우, 삼여)

★亡羊之歎(망양지탄) : 갈림길이 많아 양을 잃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도 여러 갈래여서 진리를 찾기 어렵다는 말

★不恥下問(불치하문) : 자기보다 아래 사람에게 배우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靑出於藍(청출어람) :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낫다는 말.

★後生可畏(후생가외) : 후배들이 선배들보다 훌륭하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두려운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말.

★孟母三遷(맹모삼천)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의 준말.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 이사했다는 고사에서 유래.
처음에 공동묘지 가까이 살다가, 맹자가 장사지내는 흉내를 내서,
시전 가까이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시켰다 함.

★曲學阿世(곡학아세) : 올바른 학문을 굽혀, 속된 세상에 아부함

★換骨奪胎(환골탈태) : 뼈를 바꾸고 태를 빼앗았다는 뜻으로, 옛사람
이나 타인의 글에서 그 뜻을 취하거나 모방하여 자기의 작품인 것처럼
꾸미는 일
출처 : ★漢字사랑★
글쓴이 : ㈜콩두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