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있는 漢字 이야기
偕老同穴 짧은 지식의 옮김을 이해하는 분만 보세요
『百年偕老하여 죽어서도 같은 무덤에 묻히는 것』을 意味하는 이 말은 아마 남남으로 因緣 지어졌으나 그 사랑이 깊어 이승에서 다 하지 못함에 다음 生에도 나누자는 사랑하는 夫婦의 一生을 말하는 것일 것이다. 이의 유래는 [詩經]에 실려 있는 河南省 黃河 流域 住民들의 民謠에서인데.
‘격고(擊鼓)’라는 詩에,
生死契闊 與子成說, 執子之手 與子偕老
(죽으나 사나 만나나 헤어지나, 그대와 함께 하자 언약하였지.
그대의 손을 잡고, 그대와 함께 늙겠노라).
戰線에 出戰한 兵士가 故鄕에 돌아갈 날이 언제일런지 ……
愛馬와도 死別하고 싸움터를 彷徨하면서 故鄕에 두고 온 아내를 생각하며 “아, 멀리 떠나 우리의 言約을 어기게 되다니”로 끝맺는 슬픈 詩다. 대거(大車)에는 다음과 같은 詩가 나온다.
生則異室이나 死則同穴이리라
(살아서는 집이 다르나, 죽어서는 무덤을 같이 하리라)
이 글은 楚에 의해 滅亡한 식국(息國)의 슬픈 이야기를 담고 있다.
君主는 포로(捕虜)가 되고 婦人은 楚王의 아내로 指目되어 宮으로 끌려갔다. 楚王이 잠시 자리를 비운 틈에 婦人은 捕虜가 된 男便을 몰래 만나, “죽어도 이 몸을 他人에게 바칠 수 없다.”고 하고선 이 詩를 짓고는 自決하자 男便도 따라서 自決했다고 전한다.
軍人은 戰爭에 임하여 必勝하여야 하나 勝敗는 兵家之常事라....
그 뒤에 이어지는 비록 예의 이야기나 軍人된 자의 아내가 지은 이 詩는 軍人된 者의 心琴을 울리는 글이다.
歸家하여 百年偕老와 同穴의 이야기를 생각하며 이사람을 한번 보자고 생각하며...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擧 案 齊 眉 거안제미 (0) | 2009.12.31 |
---|---|
[스크랩] 學 問 之 道 는無 他 라.求其 放 心而 已矣니라. (0) | 2009.12.31 |
[스크랩] ~ 바다물고기 백과사전 ~ (0) | 2009.12.30 |
[스크랩] 원효의 화쟁사상(和諍思想)과 통섭(統攝) (0) | 2009.12.30 |
[스크랩] 응관법계성(應觀法界性)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0) | 200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