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서 농민들이 모여 정보를 얻고 여가를 즐기는 곳이 마을 사랑방이다. 옛날에는 한 마을에 사랑방이 여러 곳 있었으나, 농촌인구가 줄어들고 노령화되면서 농촌 마을회관이 사랑방과 경로당 구실을 하고 있다. 농촌에 사랑방이 마을회관으로 변천되어 남녀 마을 사람들이 마을회관에서 여가를 즐기며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다.

농한기인 겨울철에는 마을회관에 난방시설이 되어 있고 바둑 장기 화투 등 여가를 선용하는 놀이 기구가 있으며 TV 라디오 전축 복사기 마을문고가 설치되어 있어 이용하고 있다. 컴퓨터는 면사무소에서 지급해준 마을회관도 있으나, 마을회관에서 컴퓨터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이 없고 인터넷 요금을 매달 내야 하는 부담 때문에 마을회관에 설치해준 컴퓨터를 반환한 마을회관도 있었다.
노령화된 농촌주민들에 대한 정보화 교육이 소외된 곳이 농촌 마을회관 사람들임을 알 수 있어 이들에 대한 컴퓨터교육을 행정 당국에서는 어떤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는지 궁금하게 한다. 기자는 마을회관의 컴퓨터교육 실태를 파악고자 몇 개 군청의 마을회관과 광주광역시 구청의 경로당 컴퓨터교육 실태를 알아보았다.
화순군은 마을회관이 322개소가 있는데 컴퓨터가 설치된 마을회관은 45개소였고, 무안군은 마을회관이 376개소가 있는 데, 컴퓨터기 설치된 마을 회관은 81개 소였으며, 함평군은 마을회관이 299개소인데, 컴퓨터가 설치된 마을 회관은 32개소였다. 따라서 마을회관에는 컴퓨터교육의 여건조성이 부진함을 알 수 있었다. 무안군에서 마을회관을 관리하는 이장들을 만났는데, 회관에 컴퓨터를 보급하려면 인터넷요금을 회관에서 부담하지 않도록 해 달라는 것이었다.
마을회관은 대부분 정부지원을 받고 마을 자금으로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었으며 회관 내부에서 취사할 수 있는 시설도 되어 있고, 회관의 방은 남녀가 사용하는 방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 옛날 사랑방은 남자전용이었으나, 오늘날 마을회관 사랑방은 남녀가 같이 사용하는 사랑방이 되었다.
분기별 회관운영비와 겨울철 난방비는 정부에서 지원해주고 있는 데, 컴퓨터인터넷 요금은 목적 배시로 지원해주지 않고 있어 마을 기금에서 내야 한다고 했다. 농촌인구가 감소하고 노령화되면서 컴퓨터를 조작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람이 드물어 농촌 마을회관의 컴맹퇴치 교육은 농촌근대화와 더불어 병행해야 한다고 보며,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인터넷문화는 노소를 불문하고 친숙하게 접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마을 회관인 사랑방에 성능이 좋은 컴퓨터를 설치하고 인터넷 요금은 국가에서 부담해 컴퓨터교육을 농촌사람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할 수 있게 지원해주어야 한다. 아는 만큼 가르쳐주고 배우는 컴퓨터 교육이 농촌 마을회관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화투놀이보다도 인터넷문화에 관심을 두고 즐기는 공부방이 되었으면 한다.
마을 사람들이 마을회관에 모여드는 것은 새로운 정보를 얻으며 즐기려고 하는데 겸하여 컴퓨터를 마을회관에서 쉽게 배울 수 있게, 정보화 교육 선진국으로서 컴퓨터를 쉽게 가르치고 배우는 교재를 농촌 마을회관에 보급하여 컴퓨터를 즐기면서 배우게 했으면 한다.
중․소도시에서는 노인들이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곳은 인근 복지관이나 경로당이다. 경로당은 정부에서 운영비와 난방비를 지급하고 있으며 TV를 비롯한 편의 시설이 되어 있으나 컴퓨터 시설은 대부분 되어 있지 않았다.
기자가 조사한 광주시 동구는 경로당이 97개인데, 컴퓨터 시설이 되어 있는 경로당은 13개소였으며, 컴퓨터를 구청에서 보급했고 인터넷 요금까지 구청에서 지급하고 있었으며 구청 내 컴퓨터 교육장에서 노년층의 컴퓨터 교육을 연중하고 있었다. 광주 남구는 204개의 경로당이 있는데 경로당에 컴퓨터시설이 되어 있는 경로당은 19개소였으며 노인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컴퓨터 교육장은 6곳이 있었다.
광주 북구는 경로당이 361개소가 있는데 컴퓨터가 있는 경로당은 38개소였으며 노인들을 구청 내 컴퓨터 교육장에서 연중 컴퓨터 교육을 하고 있었다. 광주 서구는 경로당이 194개소가 있는 데 컴퓨터가 설치된 경로당은 51개소였으며 구청에서 주관하는 노인 컴퓨터교육장은 1개소였다. 이처럼 광주시의 경로당은 많은 노인이 모여 여가를 보내고 있으나 경로당에서 컴퓨터교육을 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되어 있지 않았다.
지방화 시대가 되면서 단체장이 주민과 노인복지를 위한 마을 회관이나 경로당 운영에 대해 어떤 시책을 펴고 있는가는 마을회관이나 도시의 경로당에 가보면 알 수 있다. 시대가 바뀌어 이제는 글을 못 읽는 문맹 퇴치가 아니라 정보화시대에 컴퓨터를 못하는 컴맹 퇴치를 위해 마을회관이나 경로당이 컴맹퇴치 교육장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마을 회관이나 경로당에 컴퓨터가 보급되고 인터넷 요금의 부담은 정부에서 해결해 주어야 하며 컴퓨터 지도강사는 마을 회관과 경로당 담당자가 컴퓨터를 군과 구청의 컴퓨터교육장에서 먼저 배워서 전달강사로서 배우면서 가르치는 봉사활동의 네트워크가 마을회관과 경로당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2010년 2월 8일 춘곡 정기연 (전광일보 논설실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