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작명례 (作名禮)

浩 根 書 堂 2010. 5. 26. 05:42

작명례 (作名禮)

1. 作名禮의 根據


=考證: 禮記內則.家禮增解有事則告.사계전서(沙溪全書) 卷25 가례집람 24쪽


2. 祠堂告


主人生嫡長子則滿月 주인생적장자즉 만월 출생 하고 만3개월후 사당에 고한다.
而見如上儀 但不用祝 이현여상의 단불용축
적장자손이 아니면 신주만열고 내놓지않고 차와술도 차리지 않는다.
축이 없이 말로써 고하는데 沙溪先生曰 할말이 많으면 축판을쓴다.
主人立於香卓之前 주인입어향탁지전
告曰某之婦某氏 고왈모지부모씨
以某月某日生子名某敢見 이모월모일생자명모감현

주인이 사당의 향안상앞에서 00의 부인 00성씨가 0월0일 아들00을 낳아 감히 사당에 알현 고하나이다.

子生男子設弧於門左 女子設 於門右 자생남자설호어문좌 여자설세어문우

남자가 태어났을때는 (호)활을 문왼쪽에 걸어놓고 여자일때는 수건을 문의 우측에 건다.

世子生告于君接以大牢-- 射人 以桑弧蓬矢 六射天地四方 保受乃負之 세자생고우군접이대뢰 사인 이상호봉시 육사천지사방 보수내부지--

세자가 태어났을때는 즉각 임금에게 알린다. 임금은 대뢰의 예로 접 한다. 활쏘는 이를 시켜서 뽕나무 활에 쑥대 화살6개를 가지고 천지 사방 6방위에 쏜다. 왜냐하면 세자는 장래에 왕으로써 천지사방에의 일에 종사하는 자 이기 때문이다 : 遠大의 뜻



3. 作名 儀式


三月之末擇日剪髮爲 (추)남은머리男角女羈--妻以子見於父. 夫升自 階立西鄕
삼월지말택일전발위추 남각여기 처이자현어부. 부승자조계입서향 妻抱子出房當楣立東面.
처포자출방당미입동면
출생후 3개월이되는 말일 날을 택일하여 머리를 깍은후 남은머리로 남자는 총각머리,
여자는 매듭(X)머리를 하고 처는 자식을 데리고 아버지 앞에 알현하고
지아비는 동쪽계단으로 올라 가서 서쪽에 서 있고
처는 아이를 포대기로 싸서 안고 방에서 나와서 동향에 앉는다

父執子之右手 咳而 名之. 부집 자지우수 해이명지
覇咳小兒笑聲謂父作咳聲 笑容而 名之 패해소아소성위 부작해성 소용이명지

아버지는 아이의 오른손을 잡고 이름을 지어 부르는데,
아이에게 웃는 얼굴과 조용한 목소리로 지은 이름을 웃어가면서 부른다.

告畢立於香卓東南西向 고필입어향탁동남서향
主婦抱子進立於兩階之間 주부포자진입어양계지간 再拜 재배

아뢰는 것이 끝났으면 향탁의 동남쪽에서 서향하여 주부는 애기를 싸서
나가 서계와 동계 사이에 가서 재배한다.

主人乃降復位 주인내강복위
주인과 주부는 바로 내려 와서 자식을 유모에게 준다.


4. 우리나라의 作名 類例


가) 姓은 아버지의 姓을 따르고 이름은 두글자로 이름을 지어 부른다.
나) 항열자를 넣어 짓는다.
다) 음양오행을 고르게 맞추어 부르기 쉽게 짓는다.
= 作名辭典活用 =

四柱와 五行 : 相生 ( 木生 火. 火生 土. 土生 金. 金生 水. 水生 木 )
相克 ( 木克 土. 土克 水. 水克 火. 火克 金. 金克 木 )

天 干: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地 支: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항열자(行列子)를 넣어 짓는데 立階秩序를 확립하는데 큰 뜻이 있다.

할아버지와 같은 세대는 조항(祖行)
아버지와 같은 세대는 숙항(叔行)
자기와 같은 세대는 동항(同行)
아들의 세대는 질항(姪行)
손자의 세대는 손항(孫行)이다.


5. 항열자(行列字)를 짓는 方法


가. 十干法 :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萬. 旭. 炳. 行. 茂. 起. 康. 新. 任. 揆

나. 十二支法: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學. 乘. 演. 卿. 振. 龍. 南. 朱. 暢. 配. 成. 鉉

다. 五行法 : 木. 火. 土. 金. 水
根. 煥. 基. 鍾. 洙

라. 數字法 : 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大. 宗. 泰. 憲. 梧 .奇. 純. 俊. 旭. 南


6. 이름의 종류


가. 兒名: 어린 아이때 부른 이름.
나. 官名: 호적. 족보에 기록된 이름.
다. 字: 관계례때 받은 별명.
라. 號: 아랫사람이 부담없이 부를수 잇는 별명.
거처를 기본으로 하거나 희망과의지를 표하기도 한다. 여자는 堂號도 있다.
마. 諡號: 2품이상의 벼슬을 한사람이 죽은후에 공적이나 학덕을 참작하여 봉상시(奉常寺)에 올려서 왕이 내려준 호인데 120자중 2글자씩 붙여서 지었다.

文字諡號:道德博文=奉常寺(시):고려목종때 太常寺-府-충열왕때 봉상시


7. 명첩 서식(名帖書式)

         名帖
 父: (社) 韓國典禮院長  光山後人   金     錠
 母:  主婦   靜愼堂     平山後人   申   禮均
       序 四   長男
 系孫: 光山金氏 42世孫
       議政公 20代孫   文元公 沙溪  15代孫
 四柱: 癸卯年.  乙丑月.  己巳日.  甲子時.
       1964年  陰 12月  7日     밤12時30分 
       서울 特別市 永登浦 出生.
 名曰: 龍淳.  現夢之然== 吉祥如意
      西紀  1964年 3月 29日
  父  社團法人  韓國典禮院長. 成均館 典禮委員
      善光  名之

---------------------------------------

작명례 (作名禮)

1. 作名禮의 根據


=考證: 禮記內則.家禮增解有事則告.사계전서(沙溪全書) 卷25 가례집람 24쪽


    2. 祠堂告


主人生嫡長子則滿月 주인생적장자즉 만월 출생 하고 만3개월후 사당에 고한다.
而見如上儀 但不用祝 이현여상의 단불용축
적장자손이 아니면 신주만열고 내놓지않고 차와술도 차리지 않는다.
축이 없이 말로써 고하는데 沙溪先生曰 할말이 많으면 축판을쓴다.
主人立於香卓之前 주인입어향탁지전
告曰某之婦某氏 고왈모지부모씨
以某月某日生子名某敢見 이모월모일생자명모감현

주인이 사당의 향안상앞에서 00의 부인 00성씨가 0월0일 아들00을 낳아 감히 사당에 알현 고하나이다.

子生男子設弧於門左 女子設 於門右 자생남자설호어문좌 여자설세어문우

남자가 태어났을때는 (호)활을 문왼쪽에 걸어놓고 여자일때는 수건을 문의 우측에 건다.

世子生告于君接以大牢-- 射人 以桑弧蓬矢 六射天地四方 保受乃負之 세자생고우군접이대뢰 사인 이상호봉시 육사천지사방 보수내부지--

세자가 태어났을때는 즉각 임금에게 알린다. 임금은 대뢰의 예로 접 한다. 활쏘는 이를 시켜서 뽕나무 활에 쑥대 화살6개를 가지고 천지 사방 6방위에 쏜다. 왜냐하면 세자는 장래에 왕으로써 천지사방에의 일에 종사하는 자 이기 때문이다 : 遠大의 뜻



     3. 作名 儀式


三月之末擇日剪髮爲 (추)남은머리男角女羈--妻以子見於父. 夫升自 階立西鄕
삼월지말택일전발위추 남각여기 처이자현어부. 부승자조계입서향 妻抱子出房當楣立東面.
처포자출방당미입동면
출생후 3개월이되는 말일 날을 택일하여 머리를 깍은후 남은머리로 남자는 총각머리,
여자는 매듭(X)머리를 하고 처는 자식을 데리고 아버지 앞에 알현하고
지아비는 동쪽계단으로 올라 가서 서쪽에 서 있고
처는 아이를 포대기로 싸서 안고 방에서 나와서 동향에 앉는다

父執子之右手 咳而 名之. 부집 자지우수 해이명지
覇咳小兒笑聲謂父作咳聲 笑容而 名之 패해소아소성위 부작해성 소용이명지

아버지는 아이의 오른손을 잡고 이름을 지어 부르는데,
아이에게 웃는 얼굴과 조용한 목소리로 지은 이름을 웃어가면서 부른다.

告畢立於香卓東南西向 고필입어향탁동남서향
主婦抱子進立於兩階之間 주부포자진입어양계지간 再拜 재배

아뢰는 것이 끝났으면 향탁의 동남쪽에서 서향하여 주부는 애기를 싸서
나가 서계와 동계 사이에 가서 재배한다.

主人乃降復位 주인내강복위
주인과 주부는 바로 내려 와서 자식을 유모에게 준다.


     4. 우리나라의 作名 類例


가) 姓은 아버지의 姓을 따르고 이름은 두글자로 이름을 지어 부른다.
나) 항열자를 넣어 짓는다.
다) 음양오행을 고르게 맞추어 부르기 쉽게 짓는다.
= 作名辭典活用 =

四柱와 五行 : 相生 ( 木生 火. 火生 土. 土生 金. 金生 水. 水生 木 )
相克 ( 木克 土. 土克 水. 水克 火. 火克 金. 金克 木 )

天 干: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地 支: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항열자(行列子)를 넣어 짓는데 立階秩序를 확립하는데 큰 뜻이 있다.

할아버지와 같은 세대는 조항(祖行)
아버지와 같은 세대는 숙항(叔行)
자기와 같은 세대는 동항(同行)
아들의 세대는 질항(姪行)
손자의 세대는 손항(孫行)이다.


     5. 항열자(行列字)를 짓는 方法


가. 十干法 :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萬. 旭. 炳. 行. 茂. 起. 康. 新. 任. 揆

나. 十二支法: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學. 乘. 演. 卿. 振. 龍. 南. 朱. 暢. 配. 成. 鉉

다. 五行法 : 木. 火. 土. 金. 水
     根. 煥. 基. 鍾. 洙

라. 數字法 : 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大. 宗. 泰. 憲. 梧 .奇. 純. 俊. 旭. 南


      6. 이름의 종류


가. 兒名: 어린 아이때 부른 이름.
나. 官名: 호적. 족보에 기록된 이름.
다. 字: 관계례때 받은 별명.
라. 號: 아랫사람이 부담없이 부를수 잇는 별명.
거처를 기본으로 하거나 희망과의지를 표하기도 한다. 여자는 堂號도 있다.
마. 諡號: 2품이상의 벼슬을 한사람이 죽은후에 공적이나 학덕을 참작하여 봉상시(奉常寺)에 올려서 왕이 내려준 호인데 120자중 2글자씩 붙여서 지었다.

文字諡號:道德博文=奉常寺(시):고려목종때 太常寺-府-충열왕때 봉상시


       7. 명첩 서식(名帖書式)

         名帖
 父: (社) 韓國典禮院長  駕洛后人   金   根 熙
 母:  主婦   靜愼堂     駕洛后人   申   禮均
       序 四   長男
 系孫: 金海金氏 74世孫
       文愍公 20代孫   文元公   15代孫
 四柱: 癸卯年.  乙丑月.  己巳日.  甲子時.
       1964年  陰 12月  7日     밤12時30分 
       서울 特別市 永登浦 出生.
 名曰: 龍淳.  現夢之然== 吉祥如意
      西紀  1964年 3月 29日
  父  社團法人  韓國典禮 . 
출처 : 사단법인)한국전례원 - 社團法人 韓國典禮院 - ( jeonyewon )
글쓴이 : 根熙 김창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