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父母之年은...』

浩 根 書 堂 2010. 5. 31. 06:49

[한자 이야기] <592>

니, 니라

 



부모님이 건강하게 오래 사시기를 바라는 마음이야말로 (효성)의 순수한 발로이다. ‘논어’ (이인)편의 이 장은 의 마음을 아주 쉽고도 명확하게 말하였다.


(불가불)은 ‘아닌 게 아니라’라는
이중부정을 통해 강한 긍정과 주장의 뜻을 드러낸다. 이 글의 (지)는 (확인)하고 (기억)한다는 뜻이다. 글 끝의 (야)는 단정의 어조를 표시한다. ‘(일즉)∼’의 구를 겹치면 한편으로는 이러면서 한편으로는 저런다는 뜻을 드러낸다. (이)는 이유나 근거의 말을 끌어온다. 여기서는 ‘부모님 연세를 앎으로써’나 ‘부모님이 (고령)이기에’라는 뜻을 함축한다.


(희)는 본래 을 즐겁게 하려고 큰북 치는 일을 뜻했는데 사람이 마음으로 기뻐함을 뜻하게 되었다. (구)의 오른쪽은 발음을 표기하면서, 새가 두 눈 굴리는 모습을 나타냈다. 두려워한다는 뜻이다. 부모님 연세를 생각하고 기뻐하게 되는 것은 부모님의 (장수)를 새삼 확인했기 때문이다. 부모님 연세를 생각하고 두려워하게 되는 것은 이시라서 혹 (여생)이 얼마 되지 않으실까 걱정되기 때문이다.


부모님 연세를 생각하며 기뻐하기도 하고 두려워하기도 하는 것을 (애일)의 정성이라고 한다. 이란 날을 사랑한다는 말이 아니다. 날이 감을 (애석)해한다는 말이다. 한나라 (양웅)의 ‘(법언)’에 “어버이 섬기는 일은 언제까지고 마음대로 할 수가 없는 일이다. 그래서 효자는 날이 감을 애석해한다”고 하였다. 선인들은 거처에 (애일당)이라는 당호를 붙이고는 했다. 하려고 생각하지만 부모님이 돌아가신 뒤라서 (풍수지탄)을 하게 되지나 않을까 우려해서 미리 정성을 다하려 한 것이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출처 : ★漢字사랑★
글쓴이 : [운영/화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