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보고 左측 은 西쪽이라서 밤에 뜨는 달이 그려저 있음 .
龍의 발톱 설명
龍의 발톱은 三爪龍. 四爪龍. 五爪龍이 있는데
五爪龍은 黃龍袍 즉 皇帝의 龍袍 양어깨와 앞뒤에 부착하여 룡포를 제작하고 .
四爪龍은 紅룡포 諸王의 룡포를 양어깨와 앞뒤에 " "
三爪龍은 王世子가 홍룡포로 착용할때에 발톱 3개 짜리를 부착한다.
> 한국의 민화 홰를 치면서 울어 해가 빨리 뜨도록 재촉하고, 어둠의 존재인 귀신들을 쫓아낸다고 믿어졌다. 동격으로 생각되었다. 위력으로 귀신을 물리칠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날라주었다 했다. 조류숭배사상은 태양사상이기도 했다. 호렵도와 함께 무관들이 용맹을 뽐내기 위해 장식했던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표범은 죽어 가죽을 남긴다’했다. 호랑이가 으르렁거린다. 기(忌)하다가 튀어나갔다. 지키는 호랑이신 하후개 등의 연장선상에서 벽사와 연결된 것으로 믿어진다. ◐ 개 눈에는 귀신이 보인다거나 개가 귀신을 쫓는다는 속신은 개가 태양의 상징이기 때문에 생겨났다. 존재이기 때문에 밝은 곳에서는 귀신이 무력해지며, 개가 귀신을 쫓는다는 믿음으로 발전했다. 달토끼, 달호랑이와 달두꺼비 月兎搗臼圖(日月靈獸圖 부분) 그의 부인인 항아가 먹고 친정인 하늘나라로 날아가다가 잠시 달에 머물어 두꺼비가 된다. 호랑이신 서왕모는 달호랑이에서 달토끼로 와전되어 불사약을 찧는 달토끼가 만들어진다. (쌍토무봉도) 雙兎舞鳳圖 담배가 수입된 17세기가 아니라 정월에 책봉된 호랑이에게 2월 토끼가 존경의 장죽을 올리던 1년 10달의 태양력시절이다. 부탁을 받고 1년 12달인 태음력으로 역법을 개량한다. 동이족인 순임금 때 나타났으니 한국의 새라 할만하다. 태양의 구멍인 단혈에서 잔다 하여 태양새라 부른다. 조정(朝廷)으로 나아간다는 의미가 있다. ◐ 용의 발톱이라는 것이 있다.
황제들의 상징이 되면서 위계가 정해졌다. 발톱을 그리도록 강제규정을 만들어 조선에까지 시행하도록 했다. ◐ 용의 진화를 돕는 것은 초월적인 능력에 대한 사람들의 동경과 기원이다. 비를 부르며, 마음먹은 대로 모두 이루어준다는 여의주로 사람들에게 높은 벼슬도 주고, 부자도 만들어준다는 신령스런 동물로 자리매김한다. 세월이 지나면서 중국인들에 의해 진화를 한다. 사슴뿔, 낙타머리, 귀신의 눈, 뱀의 목, 이무기의 배, 물고기 비늘, 매발톱, 호랑이 발바닥, 소의 귀를 조합한 괴물로 재 탄생한다. 얘기가 아주 흥미롭다. 토끼로 씩씩하게 그렸고, 공격적인 자세에다가 입까지 사납게 벌리고 대들며, 공작깃 무늬로 화려하고 유약하게 그린 호랑이와 대적시키고 있다. ◐가회박물관 입구에 사진 자료로 있는 그림. ⓒ2005 가회박물관 소장의 8폭 병풍 한 폭에선 학이 개구리를 사납게 노려본다. 이 개구리도 학의 기세에 눌리지 않고 떡 버티고 앉아 학을 정면으로 쏘아본다. 학에겐 한 입 식사거리에 불과하다. 토끼나 개구리나 약자의 상징이다. 필치로 그려져 있기는 토끼와 마찬가지다. 기초적인 비례 감각이 없는 사람이 아니다.
◐ 해태는 사자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머리에
중국 문헌에 동북 변방에 살고 있다고 했으니
금계가 울어 귀신을 쫓는구나 邪金鷄圖
◐ 조류숭배사상의 표상이라 할 수 있는 닭은 새벽에
해는 양의 존재로서 귀신을 쫓아내므로 닭 혹은 새와
귀신을 찢어발기는 매
◐ 매는 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으로 먹이를 찢어발기는
산해경에는 호랑이 신인 서왕모에게 삼청조가 먹이를
소나무아래 호랑이와 표범 松下虎豹圖
◐ 여러 마리 줄백이 호랑이와 점박이 표범 그림은
중국인은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한국인은 표범을 민족정기인 호랑이로 바꾼다.
소나무아래 호랑이 松下猛虎圖
◐ 삿된 것을 물리치는 소나무 아래 으스스한
호랑이는 단군신화에서 곰과 함께 굴속에서
어디로 갔을까.
산해경의 호랑이신인 곤륜산 서왕모, 상제의 궁궐을
귀신 잡는 개
옛 한국어에 개는 해와 같은 발음이었다.
해는 대표적인 양의 표상이요, 귀신은 음의
◐ 장군 예가 서왕모로부터 받은 2인분의 불사약을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이네요
◐ ‘옛날 옛적 호랑이 담배 필적에... ’의 옛날은
이후 한국인의 조상인 동이의 장군 예가 요임금의
봉황은 요임금의 태평성대에 나타났다는 신조이다
오동나무에 앉은 봉황 梧桐鳳凰圖
오동나무에 앉으며 대나무 열매만을 먹고, 예천의
꿩의 머리, 원앙의 몸, 학의 다리에 앵무의 부리를
봉황을 보렸더니 朝陽鳳凰圖
◐ 봉황은 옛 한국의 별명인 동방군자지국에서 탄생,
이슬을 떨치며 뭇새를 이끌고 하늘산인 곤륜을 지나
아침의 태양(朝陽)과 함께 그려질 때는 임금이 계신
사조황룡도
상상 속의 동물이 무슨 발톱이 있을까마는 중국의
그래서 황제는 다섯, 왕이나 왕후는 넷, 왕자는 셋의
비바람 구름 거느리고 如意雲龍圖
신화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용은 먹구름 속에서
세발톱의 용 三爪雲龍圖
◐ 황제가 처음 地德을 받아 만들었다는 용은
처음에는 지렁이처럼 단순하던 용은 세월이 지나면
◐호암미술관 1998년 "매혹의 우리 민화"전 도록에서.
◐호랑이를 집권자로, 토끼를 힘없는 백성으로 보면
이게 바로 민화를 읽는 '꼬소한' 맛이다.
위에 있는 호암미술관 소장품의 토끼는 아예 얼룩 털
◐ 이 그림에서 호랑이는 토끼에게 최대한 위협을
우화로 만들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토끼와 호랑이를
◐학과 개구리의 기싸움ⓒ2005 가회박물관
◐또 1937년에 그려진 것으로 짐작되는 가회박물관
토끼와 호랑이만큼 게임이 기울진 않지만 개구리도
이 개구리 역시 학의 머리에 비해 크기도 크고 씩씩한
그러나 전체 그림을 보면 이 그림을 그린 사람은
왜 이렇게 그렸을까?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궁합과사주 (0) | 2010.06.11 |
---|---|
[스크랩] 치매을 예방하는50가지 방법 (0) | 2010.06.11 |
[스크랩] ♣호국 보훈의 달에 애국심을 기르자 ♣ (0) | 2010.06.10 |
[스크랩] 동양 옛 賢人의 名言 (0) | 2010.06.08 |
[스크랩] 喪明之痛(상명지통) (0) | 2010.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