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훈이 있는 이야기
이야기 목록
1. 15분의 소망
2. 배고픈 설움
3.  중국의 어느 버스안에서 일어난 실화
4. 사고의 전환
5. 다른 사람을 위하여
6. 정승을 구한 아이의 지혜
7. 고난의 벽을 넘어선 화가 마티스
8. 너는 너를 얼마짜리로 생각하느냐?
9. 한 순간도 헛되이 살 수 없는 까닭
10. 정원사 미켈란젤로
11. 고개를 숙이면 : 맹사성의 일화
 
6. 정승을 구한 아이의 지혜
조선의 정치가, 좌의정 김종수가
죄를 입어 남쪽 지방으로 귀양을 갔다.
그는 그곳 고을 이방의 집에서
한 여름을 나게 되었는데, 하루는 김종수가
책을 읽다가 깊은 낮잠에 골아 떨어져 있었다.
한참을 그렇게 자고 있었는데
어디서 난데없이 나타난 독사 한 마리가
자고 있는 김종수의 배 위에 기어 올라간 것이다.
이것을 본 사람들은 기겁을 했다.
본인을 깨우면 필경 몸을 움직이게 되어
독사에게 물릴 것이 뻔했다. 그렇다고
독사만 잡아들일 방법도 없었다.
모두들 어찌할 바를 몰라
쩔쩔매고만 있었다
이 때 이방의 어린 아들이 이 모습을
잠시 지켜보더니 밖으로 뛰어나갔다.
그리고는 개구리를 한 마리 잡아왔다.
아이는 살금살금 독사 곁으로 다가가
개구리를 독사 앞에 던졌다.
개구리는 폴짝폴짝 뛰어 달아났다.
이것을 본 독사는 개구리를 잡아먹으려고
재빨리 김종수의 배 위에서 내려왔다.
김종수는 영특한 아이의 지혜 덕분에
위험을 벗어날 수 있었다.
- 글 : 수필가 이창범
| 7. 고난의 벽을 넘어선 화가 | 
|---|
| 
 
 
 고난의 벽을 넘어선 화가 
 프랑스의 화가 앙리 마티스는 ‘색채의 해방’을 슬로건으로 20세기 초에 일어난 미술운동의 중심에 있었던 야수파의 거장이다.  일흔아홉 살의 마티스는 관절염과 씨름하느라 하루의 대부분을 침대에 누워서 지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그림 그리는 일을 거르지 않았다. 카파는 셔터를 누르는 동안 말할 수 없는 감흥에 빠졌다. 벽의 한 면을 채우는 커다란 캔버스를 앞에 놓고 뚱뚱한 몸매에 흰 수염을 기른 마티스가 힘겹게 작업을 하고 있었다. 관절염 때문에 팔과 손가락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었던 그는 기다란 대나무에 연필을 묶어 그림을 그렸다.  그런데 마티스는 절망하지도 포기하지도 않고 자신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그림을 그리고 있지 않은가. 고난의 벽을 넘어선 마티스야말로 위대한 화가였다. 카파는 왜 마티스가 ‘대가’의 반열에 올랐는지 알 것 같았다.  대나무에 묶인 연필로도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도 그는 절망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생각해 냈다. 바로 색종이 오려붙이기였다. 그의 색종이 그림은 84세로 숨을 거둘 때까지 계속됐다.  
 - ‘행복한 동행’ 중에서 
 
 
  | 
8. 너는 너를 얼마짜리로 생각하느냐?
 
동료들에게 따돌림을 당하던 제자가 있었다.
실의에 빠진 그는 어느날 스승을 찾아갔다
"스승님! 저는 견딜수가 없습니다. 
동료들이 저를 따돌리는데, 아무래도 저는 너무나 보잘것없는 존재인 모양입니다.
죽고 싶습니다." 
가만히 듣고 있던 스승은 벽장속에서 무언가를 꺼냈다.
그것은 다름아닌 주먹만한 돌이었다.
스승은 제자에게 돌을 건네주며 말했다. 
"지금 당장 시장에 가서 여러 사람들에게 이 돌의 가치를 물어보고 오너라
시장에 나가 여러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오너라." 
 스승의 말이 끝남과 동시에 제자는 시장으로 달려갔다. 그리고 제일먼저 채소장수에게 물었다.
채소장수가 화난 투로 말했다. 
"아니 지금 나랑 장난하자는 거요? 돌덩이가 무슨 가치가 있다고!"
그 다음은 정육점에 갔다. 정육점 주인은 찬찬히 돌을 살펴보며 말했다.
"보통 돌은 아닌 것 같고... 돼지고기 두어근 값은 쳐 주겠소!" 
이번에는 방앗간에 갔더니
"내가, 돌을 볼 줄 아는데... 이 돌은 보통 돌이 아니군! 쌀 한말 값은 나가겠어!" 
마지막으로 그는 돌아오는 길에 보석가게에 갔다. 
보석상 주인은 무심결에 한번 흘낏 쳐다보다가 깜짝 놀라 돌을 정밀감정을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는 이마에 땀을 흘리며 덜덜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
"당신이 받고 싶은 액수가 얼마요. 얼마를 부르든 내가 다 주고 사리다. 
이 돌은 사실은 가격을 메길 수 없을 만큼 엄청나고 희귀한 보석이요. 
부르는 게 값이요. 1억? 10억? 100억?..." 
스승이 제자에게 말했다. 
"보아라! 네 동료들이 너를 돼지고기 두어근이나, 
쌀 한말, 아니면 하찮은 돌덩이 취급을 했느냐?  
돌의 가치를 모르는 이가 말하는 너의 가치에 좌절하고 있느냐.
너는 너를 얼마짜리로 생각하느냐?
너의 가치는 네가 값을 메기는 그대로다."
- 김태광, 대한민국 20대, 열정에 미쳐라
9. 한 순간도 헛되이 살 수 없는 까닭
아소카 대왕은 인도를 최초로 통일시킨 사람이다.
그런데 그에게는 방탕한 동생이 하나 있었다.
어느 날 동생이 국법을 어기자 왕은 동생에게 말하였다.
"일주일 뒤에 너를 사형시키겠다.
그러나 특별히 너를 불쌍히 여겨 일주일 동안만이라도 왕처럼 즐길 수 있도록 배려를 하겠노라.
”왕은 곧 후궁들로 하여금 동생을 시중들게 하는 한편 좋은 음식을 원하는대로 주었다. 그런데 동생이
산해진미와 멋진 여자들을 즐기는 동안 험악하게 생긴 장사는 매일 아침 동생 앞에서 이렇게 외쳤다.
"죽을 날이 엿새 남았소이다! 죽을 날이 엿새 남았소이다!”
이튿날 아침 또 외쳤다.
“죽을 날이 닷새 남았소이다! 죽을 날이 닷새 남았소이다!”
이렇게 나흘, 사흘, 이틀을 외치게 하였으므로 동생은 하루가 지날수록 불안감이 더해갔다.
마침내 사형을 집행할 날 아침이 되었다. 그러자 장사는 또 외쳤다.
“죽을 때가 열두 시간 남았소이다!”
이렇게 열한 시간, 열 시간을 차례차례 헤아려 마침내 사형 집행 시간이 되었다.
드디어 아카소 대왕은 동생을 불러 물었다
“그래 일주일 동안 잘 즐겼느냐?”
동생이 말했다.
"저 장사가 험악한 표정으로 눈을 부릅뜨고 죽을 날을 세고 있는데 어떻게 즐길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자 아카소 대왕이 말하였다.
“동생아! 다만 장사가 눈에 보이느냐 보이지 않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누구나 저승사자가 곁에 서서 죽을 
날짜를 헤아리고 있단다.   그러니 어찌 한시인들 헛되이 보낼 수 있겠느냐?”
동생은 왕의 질책을 듣고 크게 느낀 바가 있어서 행실을 바로 잡았다고 한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을 향하여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한 순간도 헛되이 살 수 없는 까닭이 아닐까
- 출처 : 다음 블로그 아빠의 일기
<정원사 미켈란젤로>
한 가난한 정원사 청년이 있었습니다. 
틈만 나면 그는 나무 화분에 열심히 조각을 했습니다.  
청년은 퇴근시간 이후에도 정원에 남아 조각에 몰두했습니다. 
그의 손길이 스쳐간 나무 화분들은 멋진 조각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어느 날 주인이 청년에게 물었습니다.
"너는 정원만 가꾸면 된다. 
조각을 한다고 임금을 더 주는 것도 아닌데 왜 이런 수고를 하느냐." 
청년은 웃으며 말했습니다. 
"저에게는 이 정원을 아름답게 꾸밀 의무가 있습니다. 
나무 화분에 조각을 하는 것도 저의 업무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청년의 투철한 책임감에 탄복한 주인은 청년에게 장학금을 주어 
미술학교에 입학하도록 했고 결국 청년은 세계적인 화가로 성장해서 
명성을 얻었습니다. 
이 가난한 정원사의 이름은 미켈란젤로입니다. 
성실하고 근면한 사람에게는 반드시 '도약의 기회'가 옵니다. 
당신의 일을 사랑하고 그리고 몰두하십시오. 
작은 물이 모여 시내를 이루듯 오늘이 모여 미래가 됩니다. 
당신의 오늘에 몰두하십시오.    
- 김장환, '새 비전을 가지고 삽시다' 중에서
열아홉의 어린 나이에 장원 급제를 하여
스무살에 경기도 파주 군수가 된 맹사성은 자만심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어느 날 그가 무명 선사를 찾아가 물었다.
"스님이 생각하기에 이 고을을 다스리는 사람으로서
내가 최고로 삼아야 할 좌우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오?"
그러자 무명 선사가 대답했다.
"그건 어렵지 않지요. 나쁜일을 하지 말고 착한일을 많이 베푸시면 됩니다."
"그런건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이치인데 먼길을 온 내게 해줄 말이 고작 그것뿐이오?"
맹사성은 거만하게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나려 했다.
그러자 무명 선사가 녹차나 한잔 하고 가라며 붙잡았다.
그는 못이기는 척 자리에 앉았다.
그런데 스님은 찻물이 넘치도록 그의 찻잔에 자꾸만 차를 따르는 것이 아닌가.
맹사성이 소리쳤다.
"스님,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망칩니다."
하지만 스님은 태연하게 계속 찻잔이 넘치도록 차를 따르고 있었다.
그리고는 잔뜩 화가 나 있는 맹사성을 물끄러미 쳐다보며 말했다.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는 것은 알고,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것은 어찌 모르십니까?"
스님의 이 한마디에 맹사성은 부끄러움으로 얼굴이 붉어졌고 황급히 일어나
방문을 열고 나가려고 했다.
그러다가 문틀에 세게 부딪히고 말았다.
그러자 스님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고개를 숙이면 부딪히는 법이 없습니다, 곡식도 때가 차면 고개를 숙이지요."
- 맹사성의 일화 - 
※ 孟思誠 : 충남 온양 출신, 1360년~1438년, 고려말~조선초의 재상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크랩] 효(孝)와 공부(工夫)를 편집하자! (0) | 2010.11.09 | 
|---|---|
| [스크랩] 아주 신기한 동영상 (0) | 2010.11.08 | 
| [스크랩] 당신의 마음은 어디에 있습니까? (0) | 2010.11.06 | 
| [스크랩] 좋은 건강자료(필독) (0) | 2010.11.06 | 
| [스크랩] 좋은 건강자료(필독) (0) | 2010.11.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