處世忌太潔, 至人貴藏輝
![]() |
![]() |
忌(기)는 꺼리거나 싫어하다 또는 미워하거나 猜忌(시기)하다의 뜻이다. 太(태)는 大(대)에서 분화된 글자로 점을 더해 독음을 구별한 것이다. 극히 크다는 뜻 외에 정도가 지나치다 즉 부사로 ‘너무’의 뜻이 있다. 가장 높은 신분에 붙이는 존칭으로도 쓰인다. 大(대)의 경우도 그런 뜻이면 ‘태’로 읽는다.
潔(결)은 潔白(결백)이나 淸潔(청결)처럼 희거나 깨끗하다는 뜻, 청렴하다는 뜻, 간결하다는 뜻이 있다. 至人(지인)은 지극한 경지의 인물로 聖人(성인)과 통한다. 貴(귀)는 귀하게 여기다의 동사로 쓰였다.
藏(장)은 貯藏(저장)하거나 간수하다 또는 숨거나 숨기다의 뜻이다. 輝(휘)는 빛이나 광채의 뜻으로 暉(휘)와 통한다. 藏輝(장휘)는 빛나고 뛰어난 점을 숨겨 드러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전국시대 楚(초)나라의 비극적 애국시인 屈原(굴원)은 ‘漁父辭(어부사)’를 지어 어부의 입을 빌려 남달리 고결함을 추구하는 자신을 나무랐다. 李白(이백)은 그것을 본떠 앞에서 “향초에 머리 감고 갓 털지 말며, 난초에 몸 씻고 옷 털지 말라”고 하고, 또 뒤에서 어부에 동조하였다. 그렇다면 적당히 자신을 더럽혀 세속에 영합하겠다는 말인가? 아니다, 탁하고 어리석은 세상에 대한 한탄과 고발이리라. ‘沐浴子(목욕자)’에 보인다.
오수형 서울대 교수·중문학
출처 : 法古創新
글쓴이 : 고 방 원글보기
메모 :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75>子曰, 回也는 其庶乎오 屢空이니라 (0) | 2010.12.08 |
---|---|
[스크랩] 端本澄源, 滌瑕蕩穢 (0) | 2010.12.08 |
[스크랩] 王者藏於民,覇者藏於大夫(왕자장어민,패자장어대부) (0) | 2010.12.08 |
[스크랩] <676>자장이 착한 사람의 도(사람을 가르치는 도)를 묻자, 공자가 말하길.... (0) | 2010.12.08 |
[스크랩] 노자 제1장 (0) | 201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