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來歷(내력) / 內査(내사) / 狼藉(낭자)

浩 根 書 堂 2012. 1. 30. 04:57

 

최강 한자커뮤니티 ★漢字사랑★의 생활한자

 

 

 

[생활한자어 - 60 ] (내력)

▷ (래) 오다, 장래 / ▷ (력) 지나다, 역사

【語義】어떤 사물의 지나온 자취. [origin]

【예시】

▶ 집안 來歷 (--내력) / ▶ 賣國奴의 親日來歷 (매국노의 친일내력)

【동음이의어】▶ 耐力 : 견디어내는 힘.

【字解】
(래)

  - ‘보리이삭’ 모양인데, 후에 ‘오다’ 생성. ‘보리’는 ‘麥

        (맥)’을 만듦.
1. 오다

 : 往來(왕래), 來賓(내빈), 苦盡甘來(고진감래), 說往說來(설왕설래)

(력)

   - 공간과 시간을 거쳐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난 일’의 뜻 생성.
1. 지내다 : 歷史(역사), 履歷(이력).
2. 두루 : 歷任(역임), 遍歷(편력)
3. 분명하다 : 歷歷(역력)

-------------------------------------------------------

[시사한자어 - 60 ] (내사)

▷ (내) 안, 들이다 / ▷ (사) 조사하다

【語義】
1. 비공식으로 몰래 조사함. [secret investigation]
2. 자체에서 하는 조사.

【예시】

▶ 非理 內査着手 (비리 내사착수) / ▶ 內査報告書 (내사보고서)

【동음이의어】▶ 來社 : 회사나 신문사에 옴.

【字解】
(내)

     - 특정 공간으로 들어간다[入]는 의미 표시, 후에 ‘안’ 의미 생성.
1. 안, 속, 아내 : 內外(내외), 內部(내부), 室內(실내). 內房(내방).
2. 몰래 : 內諾(내락), 內通(내통), 內幕(내막)

(사) - 사실을 조사하는 의미. 且(차)가 발음 요소.
1. 조사하다 : 査察(사찰), 審査(심사), 査定(사정).
2. 사돈 : 査頓(사돈)

-------------------------------------------------------

[전환한자어 - 60 ] (낭자)

▷ (랑) 이리, 어수선하다 / ▷ (자) 깔개, 깔다

【본래의미】

☞ 이리의 깔개라는 뜻으로, 이리가 풀을 깔고 잔 뒤의 자리가 몹시 난잡

     하다는 의미에서 유래.

【변화된 뜻】☞ 마구 흩어져 어지러운 모양. 산란(散亂). [disorder]

【예문】☞ “鮮血이 狼藉한 교통사고의 현장은 정말 目不忍見이다.”

【字解】
(랑) - 산짐승인 ‘이리’나 ‘狽(패)’의 상대 짐승의 의미.
1. 이리, 짐승이름 : 狼虎(낭호)
2. 어지러워지다 : 杯盤狼藉(배반낭자)

(자)

   - ‘깔개’ 의미에서 후에 ‘어수선하다’는 ‘낭자하다’ 의미 파생.
1. 난잡하다 : 藉藉(자자).
2. 빙자하다 : 憑藉(빙자).

 

 

 

출처 : 이야기 한자여행

출처 : ★漢字사랑★
글쓴이 : [운영/화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