名筆 趙孟頫가 쓴 唐詩 絶句 11首
趙孟頫(조맹부)는 몽골의 元王朝가 中國을 支配하던 時節 最高 名筆로 손꼽히던 사람이다. 그 直前의 王朝인 宋나라를 創建했던 조광윤의 11代孫이다. 이른바 松雪體라 불리는 筆體를 만들 程度로 書藝에 뛰어났던 그는 그림과 文章에도 有名하였다.
春曉 (춘효) - 孟浩然
春眠不覺曉 (춘면불각효)
處處聞啼鳥 (처처문제조)
夜來風雨聲 (야래풍우성)
花落知多少 (화락지다소)
봄 잠 노곤하여 날 새는 줄 몰랐더니
곳곳에서 새우는 소리 들리네
밤사이 비바람소리 요란턴데
꽃잎 꽤나 떨어졌겠구나
夜來 : 밤 多少 : 많고 적은 것. 곧 많다는 뜻임
*孟浩然 (689 - 740) 王維와 함께 自然派 詩人
鹿柴 (녹시) - 王維
空山不見人 (공산불견인)
但聞人語響 (단문인어향)
返景入深林 (반경입심림)
復照靑苔上 (복조청태상)
빈 산에 사람은 보이지 않고
그저 사람들의 말소리만 들릴 뿐
저무는 햇살이 깊은 숲으로 들어와
다시 푸른 이끼위에 비치네
鹿柴 : 사슴을 기르는 울타리 空山 : 사람의 내왕이 없는 적적한 산.
返景 : 저녁놀. 해가 서쪽 산에 기울면 그 반사하는 빛이 동쪽을 비침
*王維 : (699 - 761) 시인이자 화가, 詩佛이라 일컬어짐.
竹里館 - 王維
獨坐幽篁裏 (독좌유황리)
彈琴復長嘯(탄금부장소)
深林人不知(심림인부지)
明月來相照(명월래상조)
홀로 그윽한 대나무 숲에 앉아
거문고 뜯다가 다시 휘파람도 불어 보네
깊은 수풀이라 아는 이는 없어도
밝은 달빛만이 찾아와 비춰주네
竹里館(죽리관) : 왕유의 별장이 있는 輞川(망천) 二十景 중의 하나, 죽림 속에 건물이 있었다
幽篁(유황) : 깊숙한 대나무 숲. '篁'은 대나무 숲. 彈琴(탄금) : 거문고를 튕기다.
復(부) : 다시 長嘯(장소) : 길게 휘파람불다, 곧 소리를 길게 끌어 시를 읊조리는 것
秋浦歌 - 李白
白髮三千丈 (백발삼천장)
緣愁似箇長 (연수사개장)
不知明鏡裏 (부지명경리)
何處得秋霜 (하처득추상)
백발 삼천 길이
수심으로 낱낱이 길어진듯
거울 속 저 사람은 알지 못 하리
어디서 가을 서리 얻어 왔는지
三千丈 : 머리틀이 긴 것을 과장하여 쓴 말 秋霜 ; 가을 서리로 백발을 상징한 것임
*李白 : (701 - 762) 字는 太白. 시와 술로 이름을 날렸음. 詩仙이라 일컬음.
獨坐敬亭山 (독좌경정산) - 李白
衆鳥高飛盡 (중조고비진)
孤雲獨去恨 (고운독거한)
相看兩不厭 (상간양불염)
只有敬亭山 (지유경정산)
뭇새는 모두 높이 날아 사라지고
외로운 구름 한가로이 홀로 떠나네
아무리 바라보아도 싫지 않은 것은
단지 경정산이 있을뿐
只有 다만 ∼이 있음
靜 夜 思 - 李 白
牀前明月光 (상전명월광)
疑是地上霜 (의시지상상)
擧頭望明月 (거두망명월)
低頭思故鄕 (저두사고향)
침상 앞의 밝은 달빛
땅위에 내린 서리인가 여겼다
머리들어 밝은 달을 바라보고는
고개 숙여 고향을 생각한다
牀: 중국식 침대 明月光 : 看月光이라 쓴 것도 있다
疑是 : 이것이 ∼인가 의심스럽다低頭: 수심에 젖어 고개를 떨어뜨림
尋隱者不遇 (은자를 찾았으나 만나지 못하고) - 賈島
松下問童子 (송하문동자)
言師採藥去 (언사채약거)
只在此山中 (지재차산중)
雲深不知處 (운심부지처)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물으니
스승은 약을 캐러 갔다고 대답하네
다만 이 산 속에 있으련만
구름이 깊어서 간 곳을 알길 없구나
言 : 말하기를 只 : 다만 ∼에 있다
*賈島 (가도 779-843) : 처음에 중이 되어 無本이라 했는데 韓愈에게 詩才를 인정
받아 벼슬자리에 오름
八陣圖 - 杜甫
功蓋三分國 (공개삼분국)
名成八陣圖 (명성팔진도)
江流石不轉 (강류석부전)
遺恨失呑吳 (유한실탄오)
공은 나누어진 삼국을 뒤덮고
명성은 팔진도로 이루었다
강물은 흘러도 돌은 굴러가지 않아
남은 한은 오나라를 삼키지 못한 것이네
八陣圖 : 諸曷亮이 사용한 陣法이다 三分國 : 魏·蜀·吳 등 세 나라를 말한다
石不轉 : 팔진도를 쌓을 떼 샤용했던 돌이 굴러가지 않고 남아 있다는 뜻
遺恨失呑吳 : 오나라를 병탄하지 못해서 한을 남기다
*杜甫 (712-770) : 字는 子美, 李白과 함께 中國의 二大詩人이며 詩聖이라 일컬음
絶句 - 杜甫
兩個黃鸝鳴翠柳 (양개황리명취류)
一行白鷺上靑天 (일행백로상청천)
窓含西嶺千秋雪 (창함서령천추설)
門泊東吳萬里船 (문박동오만리선)
한쌍 꾀꼬리가 푸른 버들에서 지저귀며
한 줄 나는 백로는 푸른 하늘로 오른다
창은 서쪽 고개의 천년의 눈을 머금고
문앞에는 동오의 만리길 달려온 배가 있다
一行 : 한 줄로 나란히 나는
楓橋夜泊 - 張繼
月落烏啼霜滿天 (월락오제상만천)
江楓漁火對愁眠 (강풍어화대수면)
姑蘇城外寒山寺 (고소성외한산사)
夜半鐘聲到客船 (야반종성도객선)
한밤을 알리는 달 지고 까마귀 울고, 천지에 서리만 가득
강 기슭 단풍과 모닥불은 잠 못 이루는 내 눈에 비친다
멀리 고소성 밖 한산사에서
종소리가 나그네 배에까지 울려 온다
楓橋 : 중국 강소성 소주 교외에 있는 다리 夜泊 : 나그넷길에 배에서 자는 것
漁火 : 어선의 모닥불 姑蘇城 : 소주 거리 寒山寺 : 소주 교외에 있는 절
*張繼 : (778 死亡) 詩 1권이 있음
山行 - 杜牧
遠上寒山石徑斜 (원상한산석경사)
白雲生處有人家 (백운생처유인가)
停車坐愛楓林晩 (정거좌애풍림만)
霜葉紅於二月花 (상엽홍어이월화)
멀리 늦가을 산을 오르니 돌길 비껴있고
흰 구름 피는 곳에 인가가 보인다
수레를 세우고 앉아 늦은 단풍숲을 즐기니
서리맞은 단풍잎이 이월 봄꽃보다 붉어라
石俓 : 돌이 많은 좁은 길 寒山 : 산이름
坐愛 : 앉아서 ∼을 사랑(감상)함 於 : ∼보다
* 杜牧 (두목 803-852) : 杜甫에 대하여 小杜라고도 함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속담 1000가지 (0) | 2012.03.22 |
---|---|
[스크랩] 귀거래사 - 도연명 (0) | 2012.03.21 |
[스크랩] 도산서원, 병산서원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관련기관 업무협약(MOU) 체결 (0) | 2012.03.21 |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2년 03월 21일 (수요일) 띠별운세 (0) | 2012.03.21 |
[스크랩] *3/18*♣환상의 스라이드 쇼 ♣ (0) | 2012.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