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쇠무릅지기 의 효능
- ■ 백과사전적 정의
한국에서는 중국산 우슬을 천우슬(川牛膝), 한국산 우슬을 상우슬(常牛膝)로 구분한다. 천우슬은
원기둥형의 말꼬리 모양이며 잔줄기는 없다. 뿌리의 두부는 길이가 약 10㎝, 지름이 약 2㎝인데
미세하고 쭈글쭈글한 무늬가 있으며 목질이 단단하다. 뿌리 부위는 지름이 1㎝ 미만이나 길이는
40~90(또는 100)㎝에 이르고, 겉은 황회색 또는 회갈색을 띤다. 상우슬은 가늘고 긴 원기둥상으
로 길이 6~10㎝, 지름 0.3~1㎝이다. 뿌리의 두부에는 잔줄기가 있다. 우슬의 겉은 회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세로로 된 쭈글쭈글한 무늬가 있다. 쪼갠 면은 섬유성으로 유백색 또는 갈색을 띤다.
11~12월에 채취하여 건조시킨다. 주요성분은 사포닌·칼륨·점액질 등이다. 성질은 평(平)하고 독
이 없으며, 맛은 쓰고 시다. 주로 간경·신경(腎經)에 작용하면서 폐경·위경·심포경(心包經)에도
작용한다. 우슬을 생것으로 사용하면 활혈거어(活血祛瘀:혈을 소통시키고 어혈을 제거함)·통리
관절(通利關節:관절을 부드럽게 함)·인혈하행(引血下行:혈을 신체의 아랫부분으로 보냄)하고
주제(酒製)하면 간신(肝腎)을 보하고, 허리와 무릎을 강하게 해준다.
우슬은 주로 요퇴부와 허리 이하 다리의 통증에 사용한다. 신허(腎虛)로 인한 요통에는 우슬의 보
익간신(補益肝腎)하는 효능을 이용하는데, 두충(杜沖)·구척(狗脊)·속단(續斷)·상기생(桑寄生) 등을
가미하여 보익력을 증가시킨다. 풍습으로 인한 요부 통증에는 하행(下行)시켜 ...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뜸사랑쑥님 원글보기
메모 :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2년 07월 28일 (토요일) 띠별운세 (0) | 2012.07.28 |
---|---|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2년 07월 27일 (금요일) 띠별운세 (0) | 2012.07.27 |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2년 07월 26일 (목요일) 띠별운세 (0) | 2012.07.26 |
[스크랩] 傳說과 野談 (0) | 2012.07.25 |
[스크랩] 굳세여라 금순아 (0) | 201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