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백) - 흰색 : 눈이나 우유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한 색. 黑(흑) - 검은색 : 숯이나 먹의 빛깔과 같이 어둡고 짙은 색. 靑(청) - 푸른색 :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풀의 빛깔과 같이 맑고 선명한 색. 紅(홍) - 붉은색 : 사람의 입술이나 피의 빛깔과 같이 짙고 선명한 색. 赤(적) - 붉은색 : 짙은 붉은색. 朱(주) - 붉은색 : 누런빛이 섞인 붉은색. 丹(단) - 붉은색 黃(황) - 노란색 : 병아리나 개나리꽃과 같이 밝고 선명하게 노른 색.
남색(藍色): '남(藍)'은 한자어이고 보라색의 '보라'는 순 우리말입니다. 녹색(綠色) : 파란색과 노란색의 중간 색. 자주색(紫朱色) : 짙은 남빛을 띤 붉은색. 갈색(褐色) : 검은빛을 띤 주홍색. 남색(藍色) : 푸른색과 자주색의 중간색. 감색(紺色) : 검푸른 남색. 회색(灰色) : 재의 빛깔과 같이 흰빛을 띤 검은색. 미색(米色) : 겉껍질만 벗겨 낸 쌀의 빛깔과 같이 매우 엷은 노란색. 은회색(銀灰色) : 은빛을 띤 회색. 옥색(玉色) : 옥의 빛깔과 같이 엷은 푸른색. 갈백색(褐白色) : 갈색을 약간 띤 흰색. 분홍색(粉紅色) : 진달래꽃의 빛깔과 같이 엷게 붉은 색. 주홍색(朱紅色) : 노란빛을 약간 띤 붉은색. 선홍색(鮮紅色) : 밝고 산뜻한 붉은색. 담홍색(淡紅色) : 엷은 붉은색. 단홍색(丹紅色) : 붉은 색깔. 담황색(淡黃色) : 엷은 누런색. 담청색(淡靑色) : 엷은 푸른색. 연두색(軟豆色) : 완두콩의 빛깔과 같이 연한 초록색. 군청색(群靑色) : 고운 광택이 나는 짙은 남색. 강청색(鋼靑色) : 강철의 빛깔과 같이 검푸른 색. 감람녹색(橄欖綠色) : 감람나무 잎의 빛깔과 같이 누른빛을 띤 녹색. 등색(橙色) : 귤이나 등자 껍질의 빛깔과 같이 붉은빛을 약간 띤 누런색. 고동색(古銅色) : 검붉은 색을 띤 누런색. 다갈색(茶褐色) : 조금 검은빛을 띤 갈색. 적갈색(赤褐色) : 붉은빛을 많이 띤 갈색. 자갈색(紫褐色) : 자줏빛을 띤 갈색. 황갈색(黃褐色) : 누런빛을 띤 갈색. 흑갈색(黑褐色) : 검은빛을 띤 짙은 갈색. 암갈색(暗褐色) : 어두운 갈색.
갈매색(--色) : 짙은 초록 색. 보라색(--色) : 남색과 자주색의 중간 색. 누런색(--色) : 익은 벼의 빛깔과 같이 다소 탁하고 어둡게 누른 색. 밤색(-色) : 여문 밤의 겉껍질 빛깔과 같이 검은색을 띤 갈색. 재색(-色) : 재의 빛깔과 같이 흰빛을 띤 검은색.
赤 : 붉을 적 ㉠붉다 ㉡비다, 없다 ㉢벌거벗다 ㉣베다 ㉤멸하다, 몰살시키다 ㉥염탐하다 ㉦실하다, 충성스럽다 ㉧어린애 ㉨진심, 충심 ㉩남쪽 ㉪경기(京畿) ㉫붉은빛 ㉬자(=尺) ㉭분명히 ㉭척후(斥候: 적의 형편이나 지형 따위를 정찰하고 탐색함) ㉭한(漢) 왕조 ㉭확실하게 [등급]중학용 [한자검정]5급 [부수]붉을적변部 [자원]회의문자 큰 불(火)이 나서 땅(土)이 붉게 보인다는 뜻이 합(合)하여 '붉다'를 뜻함
紅: 붉을 홍, 상복 공 ㉠붉다 ㉡빨개지다, 붉히다 ㉢번창하다 ㉣(운이)좋다 ㉤순조롭다 ㉥성공적이다 ㉦잘 익다, 여물다 ㉧붉은빛 ㉨주홍, 다홍 ㉩연지 ㉪이윤 ㉫털여뀌 ⓐ상복 (공) ⓑ이름 (공) ⓒ일 (공) [등급]중학용 [한자검정]4급 [부수]실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工(공)으로 이루어짐. 옷감, 천의 赤白色(적백색)인 것, 연한 적색, 전(轉)하여, 그 색을 물들이는 풀의 이름 또는 單純(단순)히 적색의 뜻
朱 : 붉을 주 ㉠붉다 ㉡붉은빛 ㉢연지 ㉣난장이(侏) [등급]중학용 [한자검정]4급 [부수]나무목部 [자원]지사문자 硃의 간체자(簡體字). 나무 가운데에 표(ㆍ)를 붙여 어떤 樹木(수목)의 中心部(중심부)를 나타내고 중심부가 붉은 것을 나타내었음
丹 : 붉을 단, 정성스러울 란(난) ㉠붉다 ㉡붉게 칠하다 ㉢성심 ㉣신약 ㉤단사(丹沙) ㉥붉은빛 ⓐ정성스럽다 (란) [등급]중학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점주部 [자원]지사문자 굴 입구에서 붉은 광물질을 캐내니 '붉다'를 뜻함. 혹은 井(정)의 생략형(省略形)을 바탕으로 땅속의 돌을 파내는 우물. 점주(丶☞불똥)部는 그돌을 나타냄. 돌에 五色(오색)이 있었는데 赤色(적색)이 가장 귀하다 하여 붉다의 뜻이 됨. 전(轉)하여 변치 않는 마음의 뜻
丹 : 정성스러울 란(난), 붉을 단 ㉠정성스럽다 ⓐ붉다 (단) ⓑ붉게 칠하다 (단) ⓒ성심 (단) ⓓ신약 (단) ⓔ단사(丹沙) (단) ⓕ붉은빛 (단)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점주部 [자원]지사문자 井(정)의 생략형(省略形)을 바탕으로 丹砂(단사)를 나타냄
彤 : 붉을 동 ㉠붉다 ㉡붉게 칠하다 ㉢붉은 칠 ㉣빨강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터럭삼部 [자원]회의문자 터럭삼(彡☞무늬, 빛깔, 머리, 꾸미다)部와 丹(단)의 합자(合字)
奭 : 클 석/쌍백 석, 붉을 혁 ㉠크다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풀리다 ㉣붉은 모양 ㉤성(姓)의 하나 ⓐ붉다 (혁) ⓑ성내다 (혁) ⓒ화를 내다 (혁) ⓓ붉은 모양 (혁) ⓔ성 내는 모양 (혁)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큰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큰대(大☞크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二百(이백), 곧 '많다'의 뜻을 나타내는 百百(벽☞'석'은 변음(變音))으로 이루어짐. '크다', '왕성하다'의 뜻
緹 : 붉을 제 ㉠붉다 ㉡붉은빛 ㉢명주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실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 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是(시)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靑 : 푸를 청 ㉠푸르다 ㉡젊다 ㉢대껍질 ㉣땅 이름 ㉤동쪽 ㉤푸른빛 ㉥봄 [등급]중학용 [한자검정]8급 [부수]푸를청部 [자원]형성문자 青의 본자(本字). 음(音)을 나타내는 生(생→청은 변음(變音))은 새싹, 붉은(丹☞물감을 들이는 原料(원료)인 광물, 붉은 색을 丹(단)이라고 하지만 옛날 책에 百丹(백단) 또는 靑丹(청단)이 나타나 있음) 돌을 뜻함. 붉은 돌 틈에서 피어나는 새싹(生)은 더욱 푸르러 보인다는 뜻이 합(合)하여 '푸르다'를 뜻함
綠 : 푸를 록(녹) ㉠푸르다 ㉡검고 아름답다 ㉢초록빛 ㉣조개풀 [등급]중학용 [한자검정]6급 [부수]실사部 [자원]형성문자 緑의 본자(本字).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록(☞나무 껍질이 벗겨짐)으로 이루어짐. 연두빛 실
蒼 : 푸를 창 ㉠푸르다 ㉡우거지다 ㉢허둥지둥하다 ㉣어슴푸레하다 ㉤늙다 ㉥푸른빛 ㉦허둥지둥 ㉧당황한 모양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초두머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倉(창)으로 이루어짐. 풀의 빛을 말함
碧 : 푸를 벽 ㉠푸르다 ㉡푸른옥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돌석部 [자원]형성문자 玉(옥)과 石(석☞돌)과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明白(명백)하다의 뜻을 가진 白(백→벽은 변음(變音))으로 이루어짐. 옥돌의 맑고 푸른 기가 있는 흰색, 전(轉)하여 푸르다ㆍ녹색의 뜻
翠 : 푸를 취/물총새 취 ㉠푸르다 ㉡물총새 ㉢새 꼬리 고기(꽁지살) ㉣물총새의 깃 ㉤비취색 ㉥비취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1급 [부수]깃우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깃우(羽☞깃, 날개)部와 음(音)을 나타내며 卒(졸☞취로 바뀜)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綠 : 푸를 녹(록) ㉠푸르다 ㉡검고 아름답다 ㉢초록빛 ㉣조개풀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실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녹(나무 껍질이 벗겨짐)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黑 : 검을 흑 ㉠검다 ㉡거매지다 ㉢어둡다 ㉣나쁘다, 악독하다 ㉤고약하다, 사악하다 ㉥모함하다(謀陷--) ㉦횡령하다, 착복하다 ㉧검은빛 ㉨흑색 ㉩저녁, 밤 ㉪은밀한 ㉫보이지 않는 ㉬비밀의, 비공개적인 ㉭돼지 ㉭양 [등급]중학용 [한자검정]5급 [부수]검을흑部 [자원]회의문자 불을(火) 피워 창이 검게 그을린다는 뜻이 합(合)하여 '검다'를 뜻함
玄 : 검을 현 ㉠검다 ㉡오묘하다 ㉢깊다 ㉣하늘 ㉤현손 [등급]고등용 [한자검정]준3급 [부수]검을현部 [자원]회의문자 작을요(幺☞작다)部와 돼지해머리(亠☞머리 부분, 위)部의 합자(合字). 幽遠(유원)의 뜻을 나타냄. 전(轉)하여, 검은 빛ㆍ하늘 등의 뜻으로 쓰임
玆 : 이 자/검을 자 ㉠이 ㉡여기 ㉢이때 ㉣지금 ㉤검다 ㉥흐리다 [등급]고등용 [한자검정]3급 [부수]검을현部 [자원]회의문자 玄(현)을 둘을 써서 검다는 뜻을 나타냄. 초두머리(艹(=艸)☞풀, 풀의 싹)部 六획의 玆(자)와는 다른 글자인데 지금은 혼동하여 씀
黎 : 검을 려(여) ㉠검다 ㉡많다 ㉢늙다 ㉣미치다, 이르다 ㉤무리 ㉥민중 ㉦명아주(=藜) ㉧나라 이름 ㉨뭇 ㉩무렵 [등급]상용 [한자검정]1급 [부수]기장서部 [자원]형성문자 菞가 고자(古字). 藜와 통자(通字). 뜻을 나타내는 기장서(黍☞기장)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리(黎에서 윗 부분)의 생략형(省略形)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玈 : 검을 로(노) ㉠검다 ㉡검은빛 ㉢검은 칠을 한 황 ㉣나그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검을현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검을현(玄☞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旅(려)의 생략형(省略形)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黖 : 검을 기 ㉠검다 ㉡어둡다 ㉢만물이 생성하는 모양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검을흑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검을흑(黑☞검다)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牙(아)가 음(音)을 나타냄
黎 : 검을 여(려) ㉠검다 ㉡많다 ㉢늙다 ㉣미치다, 이르다 ㉤무리 ㉥민중 ㉦명아주(=藜) ㉧나라 이름 ㉨뭇 ㉩무렵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기장서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기장서(黍☞기장)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리(黎에서 윗 부분)의 생략형(省略形)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黔 : 검을 검, 귀신 이름 금 ㉠검다 ㉡검게 되다 ⓐ귀신 이름 (금)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검을흑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검을흑(黑☞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今(금)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黮 : 검을 담, 오디 심, 어두울 탐 ㉠검다 ㉡새까맣다 ㉢검누른 빛 ⓐ오디 (심) ⓑ어둡다 (탐)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검을흑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검을흑(黑☞흑)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甚(심)이 음(音)을 나타냄
緇 : 검을 치 ㉠검다 ㉡검게 물들(이)다 ㉢검은 비단 ㉣검은빛 ㉤검은 옷 ㉥승려 ㉦승복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실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甾(치)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黯 : 검을 암 ㉠검다 ㉡어둡다 ㉢슬퍼하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검을흑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검을흑(黑☞흑)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音(음)의 전음(轉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鬒 : 숱 많고 검을 진 ㉠숱 많고 검다 ㉡머리숱이 많다 ㉢털이 검고 윤기가 있다 ㉣머리털이 검고 윤기 있는 모양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터럭발머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터럭발머리(髟☞머리털, 수염, 늘어짐)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眞(진)이 음(音)을 나타냄
泑 : 물빛 검을 유, 물 이름 요 ㉠물빛 검다 ㉡호수 이름 ㉢잿물 ⓐ물 이름 (요)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삼수변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幼(요)가 음(音)을 나타냄
素 : 본디 소/흴 소 ㉠본디 ㉡바탕 ㉢성질 ㉣정성 ㉤평소 ㉥처음 ㉦흰깁 ㉧희다 ㉨질박하다(質樸/質朴--: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넓다 ㉪부질없다 ㉫옳다 [등급]중학용 [한자검정]준4급 [부수]실사部 [자원]회의문자 빨아 널어 드리운(垂) 명주실이(실사(糸☞실타래)部) 깨끗하다는 데서 '희다'를 뜻함. 아직 물들이지 않은 흰 명주→희다, 또 물건(物件)의 시초→바탕
皓 : 흴 호 ㉠희다 ㉡깨끗하다 ㉢밝다 ㉣환하다 ㉤비추다 ㉥넓다 ㉦하늘 ㉧늙은이 ㉨백발 노인 [등급]인·지명용 [한자검정]2급 [부수]흰백部 [자원]형성문자 皜(호)와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흰백(白☞희다, 밝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告(고)로 이루어짐. 태양(太陽)의 빛나는 모양, 전(轉)하여 '희다'의 뜻, 나중에 날일(日☞해)部를 白(흰백변)으로 고쳐 씀
縳 : 명주 견, 흴 전 ㉠명주 ⓐ희다 (전) ⓑ말다 (전) ⓒ열 묶음 (전)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실사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 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專(전)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暠 : 흴 고, 흴 호 ㉠희다 ㉡흰 모양 ⓐ희다 (호) [등급]상용 [한자검정] [부수]가로왈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가로왈(曰☞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高(고)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皤 : 흴 파 ㉠희다 ㉡불룩하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흰백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흰백(白☞희다, 밝다)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番(번ㆍ파)가 음(音)을 나타냄
皬 : 흴 학 ㉠희다 ㉡희고 깨끗하다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흰백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흰백(白☞희다, 밝다)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霍(곽)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皜 : 흴 호 ㉠희다 ㉡깨끗하다 ㉢밝다 ㉣환하다 ㉤비추다 ㉥넓다 ㉦하늘 ㉧늙은이 ㉨백발 노인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흰백部 [자원]형성문자 皓(호)와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흰백(白☞희다, 밝다)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高(고)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皞 : 흴 호 ㉠희다 ㉡밝다 ㉢자적하다(편안하여 만족한 모양) ㉣성(姓)의 하나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흰백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흰백(白☞희다, 밝다)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皋(고)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皚 : 흴 애, 서리 눈빛이 흴 의 ㉠희다 ㉡서리 눈빛이 희다 ⓐ서리 눈빛이 희다 (의) [등급]확장 [한자검정] [부수]흰백部 [자원]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흰백(白☞희다, 밝다)部와 부수(部首)를 제외(除外)한 글자 豈(개)의 전음(轉音)이 음(音)을 나타냄 |
|
출처 : 說文解字(재미나는 한문)
글쓴이 : 樂而忘憂 원글보기
메모 :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3년 02월 01일 (금요일) 띠별운세 (0) | 2013.02.01 |
---|---|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3년 01월 31일 (목요일) 띠별운세 (0) | 2013.01.31 |
[스크랩] 몸의 느낌과 마음과의 관계 / 인경 스님 (0) | 2013.01.29 |
[스크랩] 안건의 몽유도원도 (0) | 2013.01.27 |
[스크랩] 中東기름 필요없는 시대가 온다네요 ! (0) | 201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