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 = 본받을 효 + 아들자 = 칠복
HYO is Harmoy of young and old
和 = 龠(피리약 대나무로 만든 구멍이 6-7개되는 피리)+禾
효에 대하여 공자는 孝者百行之本,
퇴계는 孝者百行之源,
율곡은 孝者正家之道. 효경에도 ‘효는 덕의 근본이며 교육이 그로 말미암아 생겨난다(孝德之本也 敎之所有生也)이 말은 孝는 모든 행실의 근본이고, 근원이며,가정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교육(敎育)', '교회(敎會)',라고 쓸 때 사용하는 '가르칠 교(敎)'자는 '효도 효(孝) 옆에 '아비 부(父)'를 하고 있다.
이것은 교육의 목표는 곧 부모에게 효도하는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다는 것을 뜻한다. 사람마다 공부를 열심히 하고, 땀 흘려 일하는 등 모든 행위는 부모님을 기쁘게 해드리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 부모님이 기뻐하시면 그것이 곧 나의 기쁨, 나의 행복이 되는 것이다.
自己的 孝
修身을 근본으로 효를 한다.
皆入小學하여 而敎之以 灑掃應對 進退之節과
愛親敬長, 隆師親友之道
皆所以爲修身齊家治國平天下之本
修身하는데는 孝悌를 버리고 이룰 수 없다.
家庭的 孝
인간의 행복을 만드는 최소단위 공동체
가정교육이 전인교육이고 실천교육이며
부모가 살아있는 교과서
어른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는 환경은 가정
한부모의 역할이 열 스승보다 낫다.
孝於親子亦孝之身旣 不孝子何孝焉
내가 부모에게 효도하면 내 자식이 또한 나에게 효도하나니
내가 이미 효도하지 못하였다면 자식이 어찌 효도하겠는가?
社會的 孝
朱子白鹿洞規(대인관계)
의리에 맞도록하고 이해는 따지지 말고
옳은 길만 택해가고 공을 계산에 넣지 말라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 시키지 말고
잘않되는 일을 그 원인을 자기에게서 찾으라
효는 禮義다
欲尊先謙 존경받고자 하면 먼저 겸손하라
기도교의 효
종교(宗敎)는 문자 그대로 으뜸(宗) 가르침(敎)을 뜻한다. 그러므로 종교가 존재하는 궁극의 목적도 바로 그 효(孝)에 있다. 그래서 이 세상에 존재하는 영향력이 큰 종교들은 모두 효를 중시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효'라고 하면 유교를 연상하며, 조상 앞에 제사를 지내는 것을 우상숭배로 여기는 기독교는 '효'와는 아주 거리가 먼 종교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동양문화를 잘 모르는 서양의 젊은 선교사들이 제사의 의미를 곡해하여 잘못 접목시킨 결과일 뿐이다.
알고보면 기독교의 본질도 '효'에 바탕을 두고 있다. 기독교에서 가장 중시하는 십계명을 분석해 보면 1조부터 4조까지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지켜야할 계명이요, 5조부터 10조까지는 인간과 인간 사이에 지켜야 할 계명이다. 그 중 첫째 계명은 창조주이신 무형의 아버지 하나님께 효도하라는 내용이며, 인간과 인간 사이에 지켜야 할 계명 중 으뜸인 다섯 번 째 계명이 바로 낳아 주신 자신의 부모에게 효도하란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敎會)가 담당해야 할 기능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핵심은 창조주 하나님께 효도하고, 낳아주신 육신의 부모님께 효도하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생선회에 대한 상식 (0) | 2013.12.11 |
---|---|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3년 12월 11일 (수요일) 띠별운세 (0) | 2013.12.11 |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3년 12월 09일 (월요일) 띠별운세 (0) | 2013.12.09 |
[스크랩] ♣행복과 불행에 관한 명언 모음 ♣ (0) | 2013.12.07 |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3년 12월 07일 (토요일) 띠별운세 (0) | 201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