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설날의 어원과 덕담(德談)

浩 根 書 堂 2014. 1. 28. 19:48

 

 

설날의 어원과 덕담(德談)

◆ 설의 어원 ◆.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이고,
설날은 그중에서도 첫날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설날의 어원에 대해서는 대개 세 가지 정도의 설이 있다.

▶ 설날을 " 낯설다. "라는 말의 어근인 " 설 "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이다.
그래서 설날은 " 새해에 대한 낯설음 " 이라는 의미와 "

아직 익숙하지 않다는 뜻이다.
즉 설날은 묵은 해에서 분리되어 가는 전이 과정으로,
아직 완전히 새해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그러한 단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 설날은 " 선날 " 즉 개시라는 뜻의 " 선다 "라는 말에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 "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 선날 "이 시간이 흐르면서 연음화 되어 설날로

와전 되었다는 것이다.

▶ 설날을 " 삼가다 " 또는 "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옛말인" 섧다 "에서 그 어원을 찾기도 한다.
이는 설날을 한자어로 신일(愼日)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신일이란 " 삼가고 조심하는 날 "이란 뜻인데,
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간 질서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의 모든 언행을삼가고 조심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긴 말이다.

한편 설날은
원일(元日), 원단(元旦), 정조(正朝), 세수(歲首),
세초(歲初), 세시(歲時), 연두(年頭), 연시(年始) 등의 한자어로도 불린다.

 


◆ 설날의 풍속 ◆.
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차례, 세배, 설빔, 덕담, 문안비, 설 그림, 복조리 걸기,

 

야광 귀 쫓기, 청 참, 윷놀이, 널뛰기,
머리카락 태우기 등 그 종류가 상당히 다양하다.

▶ 설날 차례
정월 초하룻날 아침 일찍이 각 가정에서는 대청마루나

큰 방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제상 뒤에는 병풍을 둘러치고 제상에는 설음식을 갖추어 놓는다.
조상의 신주, 곧 지방은 병풍에 붙이거나 위패일 경우에는

제상 위에 세워 놓고 차례를 지낸다.



▶ 세배
설날 차례를 마친 뒤 조부모, 부모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올리며,
가족끼리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는데, 이를 세배(歲拜)라 한다.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음식으로 아침 식사를 마친 뒤에

 일가 친척과 이웃 어른들을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
세배하러 온 사람이 어른일 때에는 술과 음식을 내어놓는 것이 관례이나,
아이들에게는 술을 주지 않고 세뱃돈과 떡, 과일 등을 준다.
세배를 할 때는 오른손이 왼손 위에 놓아서 큰절을 한다.
 
▶ 설빔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는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새 옷을 입는데,이것을 설빔(歲粧)이라고 한다.
이 설빔은 대보름까지 입는 것이 보통이다.
< 열양세시기 > 원일조에 따르면 남녀 노소가 새옷을 입는 것을
" 세비음(歲庇陰) (설빔) " 이라 한다 하였다.

▶ 덕담
덕담(德談)이란, 설날에 일가 친척들과 친구 등을 만났을 때
" 과세 안녕 하셨습니까?"
"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 새해에는 아들 낳기를 빕니다." 등과 같이

그 사람의 신분 또는 장유(長幼)의 차이에 따라 소원하는

일로 서로 축하하는 것을 말한다.
< 열양세시기 > 원일조에도 설날부터 사흘 동안

시내의 모든 남자들이 왕래하느라고 떠들썩하고,
울긋불긋한 옷차림이 길거리에 빛나며,
길에서 아는 사람을 만나면 반갑게 웃으면서
" 새해에 안녕하시오.? " 하고 좋은 일을 들추어 하례 한다.

예컨대 아들을 낳으시라든지,
승진하시라든지,
병환이 꼭 나으시라든지.
돈을 많이 벌라는 말을 하는데

이를 덕담이라 한다고 하였다.
또 < 동국세시기 > 원일조에 연소한 친구를 만나면

" 올해는 꼭 과거에 합격하시오. "
" 부디 승진하시오. "
" 생남 하시오."
" 돈을 많이 버시오."
하는 등의 말을 하는데,

서로 축하하는 이 말을 덕담이라 한다고 하였다.

  

 

 ★설 명절 가지가지로 부른다.
구정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구정(舊正)은 음력 설날을 가리키는 일본식 한자어입니다.
설날 (한국 명절)
한국 최대의 명절이자 전일과 다음날을 포함한 3일이 법정공휴일입니다.

음력 정월 초하룻날 (색인 : 대한민국) .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백과사전에서 일부 "발취"

이립(而立)불혹(不惑)30-40대 및 그 아래 사람은 설날이라고 부르고.
지명(知命)지천명(知天命) 50대는 고유 명절 설이라고 부르시고.
이순(耳順)종심(從心) 60-70 이후 어르신 분들은 구정이라고 말씀하신다.
귀하께서는 어디에 속하며 무엇이라고 부르는지요?

연세가 높으시다 하더라도
요즘 세대에 맞혀 부르신다면
젊은 분들과 호흡을 같이 할 수 있습니다.
고유의 설 명절 복(福) 많이 받으십시오
그리고 만수무강(萬壽無疆)을 절축(切祝)
합니다.



대명절 설 날을 맞이하여 38친구들 가정에
 만복이 가득하고 만사형통 하기를 바라며.
 즐겁고 행복한 설 날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

또한 고향에 다녀오는 친구는
귀향 길 차조심 안전운행 또하고 또 하기를...!  
 

송운 사랑방 (Song Woon Art Hall)

 

    

             38 Sarang Bang Cafe 
출처 : 군중.고 38회 사랑방
글쓴이 : 잡초(차광식)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