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유머
한자의 이모티콘(Imoticon)화
曾증 '팥빙수'
圖도 '디스켓'
會회 '아이스크림'
邕옹 '대변'
菖창 '대변'
渦와 '에프킬라'
窩와 '똥파리'
亞아 '모래시계'
喆철 '무 2개'
矗촉 '헬리콥터'
凸철 '중지(가운데 손가락)'
乃내 '따봉'
禽금 '찡그릴'
回회 '씨디'
臼구 '싸랑해요'
3. 화장실 漢字(1)
화장실에서 큰 볼일을 보다가
실수로 변기 속에 돈이 빠졌을 때의 반응.
10원이 빠지면 => 창해일속(滄海一粟)
50원이 빠지면 => 수수방관(袖手傍觀)
100원이 빠지면 => 견리사의(見利思義)
500원이 빠지면 => 교각살우(矯角殺牛)
1.000원이 빠지면 => 속수무책(束手無策)
5.000원이 빠지면 => 읍참마속(泣斬馬謖)
10.000원이 빠지면 => 설상가상(雪上加霜)
50,000원이 빠지면 => 애이불비(哀而不悲)
100.000원 수표가 빠지면 => 이전투구(泥田鬪狗)
1,000.000원 수표가 빠지면 => 도탄지고(塗炭之苦)
5.000.000원 수표가 빠지면 => 명재경각(命在頃刻)
10.000.000원 수표가 빠지면 => 사생결단(死生決斷)
50.000.000원 수표가 빠지면 => 만사휴의(萬事休矣)
100.000.000원 수표가 빠지면 => 이판사판(理判事判)
滄海一粟(창해일속) 넓은 바다에 떠있는 한 알의 좁쌀이라는 뜻으로 아주 큰 물건 속의 아주 작은 물건
袖手傍觀(수수방관)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당하여 옆에서 보고만 있는 것을 말함
見利思義(견리사의) 눈앞에 이익이 보일 때 의리를 생각함
矯角殺牛(교각살우) 뿔을 고치려다 소를 죽인다는 말로 작을 일에 힘쓰다 큰 일을 망친다는 말
束手無策(속수무책) 어찌 할 도리 없이 꼼짝 못 함
泣斬馬謖(읍참마속) 중국 촉나라 제갈양이 사랑하는 부하 장수 마속이 군령을 어겨 가정 싸움에서 패했을 때, 울면서 그의 목을 벤 일.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것을 버리는 것의 비유.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옴, 불행이 연이어 거듭되어 어찌할 수 없음
哀而不悲(애이불비) 속으로는 슬퍼하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泥田鬪狗(이전투구) 진흙 속에서 개 두 마리가 싸움, 지저분하고 추잡한 싸움을 이름
塗炭之苦(도탄지고) 진구렁이나 숯불에 빠졌다는 뜻으로 몹시 고생스러움을 말함
命在頃刻(명재경각) 거의 죽게 되어서 목숨이 곧 넘어갈 지경에 이름
萬事休矣(만사휴의) 모든 방법이 헛되게 됨
理判事判(이판사판) 뾰족한 방법이 없어 막다른 상황에 이름, 모든 것을 포기하고 마음 먹은대로 행동함
4. 화장실 漢字(2)
변기 위의 고사성어 1
1. 똥인지 된장인지 안 먹어봐도 안다. 明若觀火(명약관화)
2. 똥인지 된장인지 먹어봐야 안다. 體驗學習(체험학습)
3. 똥인지 된장인지 먹어봐도 모른다. 人事不省(인사불성)
4. 먹은 만큼 싼다. 萬古眞理(만고진리)
5. 먹은 것보다 적게 싼다. 食少事煩(식소사번), 財産隱匿(재산은닉)
6. 기분 좋게 일어나는데 똥물이 튀어 올랐다. 不意一擊(불의일격)
7. 건데기가 튀어 올라 붙었다. 疊疊山中(첩첩산중), 雪上加霜(설상가상)
8. 고장난 문을 억지로 잠그고 들어갔는데 문이 열리지 않았다.
自繩自縛(자승자박), 진퇴양난
9. 변비고생 3일째, 그러나 또 실패. 作心三日(작심삼일)
10. 변비고생 4일째, 내일은 꼭 싸야지. 四顚五起(사전오기)
5. 화장실 漢字(3)
변기 위의 고사성어 2
1. 까내리고 앉아 힘쓰기도 전에 와장창 쏟아낸다면? 戰意喪失(전의상실)
2. 담배 세대 피울 동안 용만 쓰다가 손톱만한 거 달랑 나오는 거. 支離滅裂(지리멸렬)
3. 분명히 떨궜는데 나중에 사라졌을 때 五里霧中(오리무중)
4. 화장지는 없고 믿을 거라곤 손꾸락 뿐일 때 立場難處(입장난처)
5. 그래서 오른쪽 왼쪽 칸에 있는 사람에게 빌려달라고 두드려 대는 것
左衝右突(좌충우돌),右往左往(우왕좌왕)
6. 그 중의 한 놈이 비록 우표딱지 만큼이라도 빌려주면 感之德之(감지덕지)
7. 신문지를 쓸 때도 국산신문 놔두고 꼭 영자신문으로 처리하는 사람 國威宣揚(국위선양)
8. 꼭 티슈를 쓰거나 신문지를 쓰더라도 칼라면만 이용하는 거 虛禮虛飾(허례허식)
9. 들고 있던 화장지 통에 빠졌을 때 외치는 한마디. 嗚乎痛哉(오호통재)
10. 거창하게 시작했지만 끝이 영 찜찜할 때 龍頭蛇尾(용두사미)
11. 옆 칸에 앉은 사람도 변비로 고생하는 소리 들릴 때 同病相憐(동병상련)
12. 수세식에서 물 내렸는데 便물이 밖으로 넘칠 때 桑田碧海(상전벽해)
13. 아무생각 없이 앉았는데 문에 이따만한 구멍 나있을 때 武裝解除(무장해제)
14. 문고리는 고장났고, 잡고 있자니 앉은 자리는 너무 멀고... 進退兩難(진퇴양난)
15. 손꾸락으로 처치해야 하는데 손꾸락 한개만 버리려고 디밀었다가 다섯손꾸락 모두 묻어나올 때 小貪大失(소탐대실)
16. 방구소리만 요란하고 뒤따라 나온 건더기는 꼬질꼬질 할때 過大包裝(과대포장)
17. 화장실 갈 때 습관적으로 여자 칸을 기웃거리는 건 파렴치(破廉恥) 英雄本色(영웅본색)
18. 기나긴 기다림 끝에 드디어 便이 통했을 때 鶴首苦待(학수고대), 苦盡甘來(고진감래)
19. 옆 칸 사람이 혼잔 줄 알고 중얼거리다가, 노래하다가,
별짓 다한다. 漸入佳境(점입가경)
20. 신사용이 없어 숙녀용 빈칸에 몰래 숨어 일 본 후 빠져 나올 때 無事歸還(무사귀환)
21. 나들이 갔다가 뻥 뚤린 들판 한가운데서 응가하다 보면 느낀다. 四通八達(사통팔달)
22. 어진 사람의 그것은 산처럼 높게 쌓여요. 仁者樂山(인자요산)
23. 현명한 사람의 그것은 물처럼 주왁 흘러요. 智者樂水(지자요수)
24. 뿌쥐직 소리도 큰 응가하는데 핸드폰이 울린다, 이를 어째 戰戰兢兢(전전긍긍)
25. 작은 거 보다 큰 게 항상 먼저 나온다. 長幼有序(장유유서)
6.
다시 배우는 한자성어(漢字成語)
개인지도(個人指導) : 개가 사람을 가르친다.
고진감래(苦盡甘來) : 고생을 진탕 하고 나면 감기몸살 온다.
구사일생(九死一生) : 구차하게 사는 한 평생.
군계일학(群鷄一鶴) : 군대에서는 계급이 일단 학력보다 우선이다.
남녀평등(男女平等) : 남자나 여자나 모두 등이 평평하다
남존여비(男尊女卑) : 남자가 존재하는 한 여자는 비참하다.
노발대발(怒發大發) :노무현 대통령 발은 큰 발.
동문서답(東問西答) : 동쪽문을 닫으니까 서쪽문이 답답하다.
동방불패(東方不敗) : 동사무소방위는 불쌍해서 패지도 않는다
박학다식(博學多食) : 박사와 학사는 밥을 많이 먹는다.
백설공주(白雪公主) : 백방으로 설치고 다니는 공포의 주둥아리
부전자전(父傳子傳) : 아버지가 전씨면 아들도 전씨.
사형선고(死刑宣告) : 사정과 형편에 따라 선택하고 고른다.
삼고초려(三顧草廬) : 쓰리고 했을 때는 초단을 조심하라
아편전쟁(阿片戰爭) : 아내와 남편의 부부싸움.
요조숙녀(窈窕淑女) : 요강에 조용히 앉아있는 숙녀
원앙부부(鴛鴦夫婦) : 원한과 앙심이 많은 부부.
유비무환(有備無患) : 비가 오는 날에는 환자가 없다.
임전무퇴(臨戰無退) : 임산부 앞에서는 침을 뱉지 않는다
전라남도(全羅南道) : 홀딱 벗은 남자의 그림.
좌불안석(坐不安席) : 좌우지간에 불고기는 안심을 석쇠에 구워야 제맛.
주차금지(酒茶禁止) : 술과 커피는 안팝니다 를 4자로 줄인 말.
죽마고우(竹馬故友): 죽치고 마주 앉아 고스톱 치는 친구.
천고마비(天高馬肥) : 하늘에 고약한 짓을 하면 온 몸이 마비된다. 천 번
천재지변(天災地變) : 천 번 봐도 재수없고 지금 봐도 변함 없는 사람.
편집위원(編輯委員) : 편식과 집착은 위암의 원인이 된다.
포복절도(抱腹絶倒) : 도둑질을 잘 하려면 포복을 잘 해야 한다.
현모양처(賢母良妻) : 현저하게 히프 모양이 양쪽으로 처진 아가씨.
홍길동전(洪吉童傳) : 붉은 길에 떨어져 있는 동전.
황당무계(荒唐無稽) : 노란 당근이 무게가 더 나간다.
희노애락(喜怒哀樂) : 희희낙락 노닐다가 애 떨어질까 무섭다.
7.
남자의 고사성어
1. 소문과 똑같이 그것이 큰 남자 : 명실상부(名實相符)
3. 그것도 크고 얼굴도 잘생긴 남자 : 금상첨화(錦上添花)
4. 그것도 작고 얼굴도 못생긴 남자 : 설상가상(雪上加霜)
5. 그것도 얼굴도 아닌 남자 : 무용지물(無用之物)
8.
캔디/砂糖(사탕)
외로워도 슬퍼도 나는 안울어
獨守空房 悲哀感 吾等 不痛哭
독수공방 비애감 오등 불통곡
참고 참고 또 참지 울긴 왜울어
忍耐 忍耐 又忍耐 絶對 不痛哭
인내 인내 우 인내 절대 불통곡
웃으면서 달려보자 푸른들을
拍掌大笑 三十六計 廣闊大地
박장대소 삼십육계 광활대지
노래하며 뛰어보자 애들처럼
歌舞行爲 三十六計 恰似童子
가무행위 삼십육계 흡사동자
내이름은 내이름은 내이름은 캔디
吾等姓名 吾等姓名 吾等姓名 砂糖
오등성명 오등성명 오등성명 사탕
나혼자 있으면 어쩐지 쓸쓸해 지지만
瞥眼間 獨也靑靑 感情疾走 悲哀極致
별안간 독야청청 감정질주 비애극치
그럴땐 얘기를 나누자 거울속의 나하고
孤獨卽時 雜談要望 化粧鏡中 與吾等
고독즉시 잡담요망 화장경중 여오등
웃어라 캔디야 들장미 소녀야.
願爆笑 砂糖女 野薔薇 少女
원폭소 사탕녀 야장미 소녀.
울면 바보다 캔디캔디야
一旦痛哭 爲白痴 砂糖砂糖女
일단통곡 위백치 사탕사탕녀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미국에 만불동 계곡 (0) | 2014.02.18 |
---|---|
[스크랩] [오늘의 운세] 2014年 02月 18日 火曜日 띠별운세 (0) | 2014.02.18 |
[스크랩] 신묘한 민간요법 모음 (0) | 2014.02.18 |
[스크랩] Re:건강 千壽의 秘訣 (0) | 2014.02.18 |
[스크랩] 1949년,서울風景 (0) | 201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