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인터넷 서당13 (이름)

浩 根 書 堂 2014. 12. 26. 04:54

 

    姓銜(성함) - 銜字(함자) -尊啣(존함) -蒡啣(방함) 명함은 제2의얼굴.成事在天 謨事在天 職銜(직함) 벼슬의 이름 名銜(명함) ①성명(姓名), 주소(住所), 직업(職業), 신분(身分), ②남의 성명(姓名)을 부를 때 쓰는 공댓말(姓銜) 官銜(관함) 성 밑에 붙여 부르는 벼슬 이름 尊銜(존함) 상대편(相對便)을 높여서 그의 이름을 이르는 말 ★호 號 와 자 字 1.관명[이름] ❉사람이 태어나면 부모[조상]가 이름을 지어준다. 그이름을 그대로 호적에 올리면 바로 관명이된다. 어떤 사람은 이름이 두 개가 있는 수 도있다. 예컨데 호적에 오르지 않은 다른 이름은 아명이라한다. 모르는사람은 그것을 호라고하지만 그건 틀리는 말이다. 이름이란 살아있으면 함(銜)자라고하고 죽으면 휘(諱)자라고한다. [예시 : 1] 상대방의 어른의 이름을 물을 때. ☞<생존시> 자네 어른 함자가 무었이냐 ? ☞<사망시> 자네 어른 휘자가 무었이냐 ?: 2] 아버지의 이름 호칭은 원어 그대로 부르지 못한다. <생존시>우리아버지의 함자는 0 자 0 자 입니다. <사망시>우리 아버지의 휘자는 0 자 0 자입니다. 2.자 字 ❉이름 대신에 불리워지는 호칭어를 바로 자 라고한다. 자는 부모나 집안 어른이 지어주는데 자가있으면 곧 어른이 되었다는 증표이다. 자는 성인[16세이상]이되어 관례를 치르면 자를 부여한다. 자를 부여하면 어른으로써 사회활동을 할수있다는 뜻이다. 자는 이름대신에 부르도록한 명사이다. 사람을 부르느데 있어서는 그 이름을 불러야 마땅하지만 때로는 어색 하거나 결례가 되는 수가 있다. 그래서 관명 대신에 자를 불러주는 것이다. 호에는 존칭이 붙지만 자에는 존칭은 쓰지 않는다. 자를 서로 호칭하는 사이는 동료지간이나 아랫사람에게만 쓰인다. ※[예시] 퇴계는 권질의 사위다. 결혼전 그의 장인 권질이 한말은 다음과같다. <경호 이사람 !. 자네가 내딸을 맡아 주어야겠네....> [전처를 상처하고 솔권을 못하고 있을 때 재취를 권하면서] 3.호 號 ❉이름과 자이외의 호칭. 호는 아무나 있는게 아니다. 덕망이 특출하거나 학문 또는 예술이 뛰어나 지방이나 전국적으로 이름이 난 사람이래야만 호가있다. 호는 남이 지어 주는 수도 있지만 대개 자기가 직접 짓는다. 남이 지어주는 송찬(頌讚)은 그사람의 인품이나 자질에서 호를 가질만한 사항을 들어 찬문과 함께 호를 만들어 준다. 대체적으로 호는 자기가 짓는 것이 더 많다. 퇴계도 자호하여. 퇴계. 도옹. 도수. 퇴도.등 여러 가지로 썻다. 그런데 요즈음은 왼만한 사람이면 모두 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흔한 서예학원에 들어가기만 하면 호를 만드는데 이들이 호를 못 가지란 법은 없다. 다만 책을 펴낸 문인이나 서예학원에서 글씨 쓰거나 문인화를 치거나 관계없이 국전에 입선되어 전국이 알수 있다면 호를 쓰는것도 무방하다. 호에는 시호(諡號)가 있는데 시호란 국가에서 네리는 호를 말한다. 여기에도 송찬 글을 붙혀서 그사람이 국가에 기여한 공적을 감안하여 문순. 문충. 문경.충무등의 이름으로 죽은 뒤에 네린다. 학봉의 시호는 문충공(文忠公)이다. 道德博聞曰 文. 危身奉上曰 忠 이란 글에서 그 끝자를 들어 <文忠>문충 이라 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성씨는 총 274 종류입니다.

    가(賈) 간(簡) 갈(葛) 감(甘) 강(姜) 강(康) 강(强) 강(剛) 강(疆) 개(介) 견(堅)

    견(甄) 경(景) 경(慶) 계(桂) 고(高) 곡(曲) 공(孔) 공(公) 곽(郭) 교(橋) 구(丘)

    구(具) 구(邱) 국(國) 국(菊) 국(鞠) 군(君) 궁(弓) 궉( ) 권(權) 근(斤) 금(琴) 기(奇) 기(箕) 길(吉) 김(金)

    나(羅) 난(欒) 남(南) 낭(浪) 내(乃) 내(奈) 노(盧) 노(魯) 노(路) 뇌(雷) 뇌(賴) 누(樓)


    단(段) 단(單) 단(端) 담(譚) 당(唐) 대(大) 도(道) 도(都) 도(陶) 돈(敦) 돈(頓) 동(董) 두(杜) 두(頭)
    마(馬) 마(麻) 만(萬) 매(梅) 맹(孟) 모(牟) 모(毛) 목(睦) 묘(苗) 묵(墨) 문(文) 미(米) 민(閔)

    박(朴) 반(潘) 반(班) 방(房) 방(方) 방(邦) 방(龐) 배(裵) 백(白) 범(范) 범(凡) 변(卞)
    변(邊) 복(卜) 봉(奉) 봉(鳳) 부(夫) 비(丕) 빙(氷)

    사(史) 사(謝) 사(舍) 삼(森) 상(尙) 서(徐) 서(西) 석(昔) 석(石) 선(宣) 설(卨) 설(薛)

    섭(葉) 성(成) 성(星) 소(蘇) 소(邵) 손(孫) 송(宋) 송(松) 수(水) 수(洙) 순(淳) 순(荀)

    순(舜) 순(順)승(承) 승(昇) 시(施) 시(柴) 신(愼) 신(申) 신(辛) 심(沈)

    아(阿) 안(安) 애(艾) 야(夜) 양(梁) 양(楊) 양(樑) 양(襄) 어(魚) 엄(嚴) 여(呂)

    여(余) 여(汝) 연(延) 연(燕) 연(連) 염(廉) 영(影) 영(榮) 영(永) 예(芮) 오(吳)

    옥(玉) 온(溫) 옹(邕) 옹(雍) 왕(王) 요(姚) 용(龍) 우(禹) 우(于) 운(雲) 운(芸)

    원(元) 원(袁) 위(韋) 위(魏) 유(柳) 유(兪)유(劉) 유(庾) 육(陸) 윤(尹) 은(殷)

    음(陰) 이(李) 이(異) 이(伊) 인(印) 임(林) 임(任)

    자(慈) 장(張) 장(章) 장(莊) 장(蔣) 저(邸) 전(全) 전(田) 전(錢) 전(傳) 점(占)

    정(丁) 정(程)정(鄭) 제(諸) 제(齊) 조(趙) 조(曺) 종(宗) 종(鍾) 좌(左) 주(周)

    주(朱) 준(俊) 지(智) 지(池)진(晋) 진(眞) 진(秦) 진(陳)

    차(車) 창(昌) 창(倉) 채(蔡) 채(菜) 채(采) 천(千) 천(天) 초(楚) 초(肖) 초(初)

    최(崔) 추(秋)추(鄒) 춘(椿)

    탁(卓) 탄(彈) 태(太)

    판(判) 팽(彭) 편(扁) 편(片) 평(平) 포(包) 표(表) 풍(馮) 피(皮) 필(弼)

    하(河) 하(夏) 학( ) 한(漢) 한(韓) 함(咸) 해(海) 허(許) 현(玄) 형(邢) 호(扈) 호(胡) 호(鎬) 홍(洪) 화(化) 환(桓) 황(黃) 후(侯) 후(後) 흥(興)

    강전(岡田) 남궁(南宮) 독고(獨孤) 동방(東方) 망절(網切) 사공(司空) 서문(西門)

    선우(鮮于)소봉(小峰)  장곡(長谷) 제갈(諸葛) 황보(皇甫)

    등이 있으며

    성시 본관은 본관수 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찾으실때 일일이 찾으면 힘드니 

    Ctrl + F 를 눌러서 자신의 성씨를 입력하시면 쉽게 찾을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성씨(본관별) 일람표

    김(金) 

    본관수(本貫數): 114개
           
    강릉江陵 강화江華 개성開城 경산慶山 고령高寧
           고산高山 고성固城 공주公州 광산光山 광주廣州    
           교하交河 금령錦山 김제金提 김해金海 금화金化
           라주羅州 락안樂安 남양南陽 람포藍浦 릉주陵州  
           당악棠岳 대구大邱 덕수德水 도강道康 동래東來
           등주登州 무장茂長 문화文化 밀양密陽 백천白川
           보령保寧 부안扶安 삼척三陟 상산商山 서흥瑞興
           선산善山 설성雪城 축안逐安 수원水原 순천順天
           신천信川 안동安東 안노安老 안산安山 안성安城
           안악安岳 야성野城 양근楊根 량산梁山 양주楊州
           언양彦陽 연안延安 연주燕州 령광靈光 영산永山
           영장靈藏 영양英陽 령성寧城 영천永川 령해寧海
           례안禮安 오천烏川 룡궁龍宮 룡택龍澤 우봉牛峰  
           울산蔚山 웅천熊川 원주原州 월성月城 은률殷栗
           은진恩津 의성義城 이천伊川 의주義州 장연長淵
           적성積城 전주全州 정주貞州 진도珍島 진위振威
           진령鎭岺 진주晉州 진천鎭川 창원昌原 창평昌平
           청도淸道 청주淸州 청풍淸風 춘양春陽 충주忠州
           칠원漆原 태원太原 통천通川 파평坡平 평양平壤
           평해平海 풍기豊基 풍덕풍德 풍산풍山 하음河陰
           함창咸昌 해주海州 해평海平 해풍海風 홍천洪川
           화순和順 희천熙川 안동구신 安東舊新 명천皿川


    이(李)  

    본관수(本貫數):99개
           가평加平 강양江陽 강진康津 강화江華 개성開城
           결성結城 경산京山 경주慶州 고령高靈 고부古阜  
           고성固城 공주公州 광산光山 광주廣州 광평廣平
           성주星州 성산星山 교하交河 김해金海 기장機張    
           김포金浦 나주羅州 남평南平 단성丹城 단양丹陽
           담양潭陽 대흥大興 덕산德山 덕수德水 덕은德恩
           벽진碧珍 봉산鳳山 부안扶安 부여扶餘 부평富平
           상산商山 서림西林 서천舒川 서주西州 성산星山
           성주星州 축안逐安 수원水原 순천順天 신평新平
           아산牙山 안산安山 안성安城 안악安岳 양산梁山
           양성陽城 양주楊州 여주驪州 여흥驪興 연안延安
           령천寧川 영천永川 령해寧海 례안禮安 온양溫陽
           룡궁龍宮 룡인龍仁 우계羽溪 우봉牛峰 원주原州
           음죽陰竹 익산益山 평산平山 평창平昌 하빈河濱  
           하음河陰 학성鶴城 울주蔚州 한산韓山 함안咸安
           함평咸平 섬천陝川 해남海南 해주海州 홍주洪州
           화산花山 회덕懷德 흥양興陽 인천仁川 장수長水
           장흥長興 재령載寧 전의全義 전주全州 정선旌善
           정주貞州 풍덕 德  진보眞寶 진성眞城 진안鎭安
           진위振威 진주晉州 창령昌寧 청송靑松 청안淸安
           청주淸州 청해靑海 충주忠州 태안泰安 태원太原
           통진通津 인제麟蹄



    박(朴) 
    본관수(本貫數):44개
           강릉江陵 고령高靈 고성固城 광주廣州 군위軍威
           구산龜山 나주羅州 로성魯城 오천汚川 무안務安
           문의文義 문주文州 밀양密陽 번남番南 비안比安
           삼척三陟 상산商山 상주尙州 선산善山 순창淳昌
           순천順天 려주驪州 령암靈巖 령해寧海 운봉雲峰
           울산蔚山 월성月城 은풍殷風 음성陰城 의흥義興
           전주全州 죽산竹山 진원珍原 창원昌原 춘천春川
           충주忠州 태안泰安 평산平山 평주平州 평택平澤
           함양咸陽 인제麟蹄 


                           
    최(崔) 
    본관수(本貫數)42개 
           간성杆城 강릉江陵 강화江華 개성開城 경주慶州
           계림鷄林 고부古阜 곡강曲江 광주廣州 랑주朗州
           동주東州 부안扶安 삭령朔寧 수성隋城 수원水原
           아산牙山 양주楊州 태인泰仁 통천通川 해주海州
           한남漢南 화순和順 황주黃州 흥해興海 양천陽川
           연풍延豊 영천永川 영흥永興 완산完山 용강龍崗
           용궁龍宮 용주龍州 우봉牛峰 원주原州 전주全州
           직산稷山 진산珍山 청송靑松 청주淸州 초계草溪  
           충주忠州 탐진耽津



    정(鄭) 
    본관수(本貫數)28개
           경주慶州 고성固城 곤양昆陽 광주光州 금성錦城
           김포金浦 나주羅州 동래東莢 봉화奉化 서산瑞山
           야성野城 연일延日 영일迎日 영덕盈德 예천醴泉
           온양溫陽 전주全州 정산定山 정주貞州 진주晉州
           청산靑山 청주淸州 초계草溪 하동河東 함평咸平
           해주海州 랑랑瑯琅




    장(張)
    본관수(本貫數)23개

           결성結城 구례求禮 나주羅州 단양丹陽 덕수德水
           목천木川 부안扶安 순천順天 안동安東 영동永同
           예산禮山 옥구沃溝 울진蔚珍 인동仁同 전주全州
           절강浙江 지례知禮 진안鎭安 진주晉州 진천鎭川
           창령昌寧 청송靑松 흥성興城 흥덕興德

    전(全)
    본관수(本貫數)20개
           감천甘泉 경주慶州 계림鷄林 기장機張 나주羅州
           성산星山 성주星州 옥산玉山 옥천沃川 완산完山
           용궁龍宮 용성龍城 정선旌善 죽산竹山 천안天安
           평강平康 팔관八菅 태곡泰谷 함창咸昌 황간黃澗  

     임(林)
    본관수(本貫數)18개 
           나주羅州 평택平澤 조양兆陽 선산善山 은진恩津  
           회성檜城 장흥長興 진천鎭川 옥구沃溝 익산益山
           울진蔚珍 예천醴泉 부안扶安 순창淳昌 경주慶州
           양양襄陽 밀양密陽 안의安義



    조(趙)
    본관수(本貫數)17개
         
     김제金堤 밀양密陽 백천白川 양주楊州 옥천玉川
           순창淳昌 임천林川 직산稷山 가림嘉林 진보眞寶
           태원太原 평산平山 평양平壤 풍양豊壤 한양漢陽
           함안咸安 횡성橫城




    오(吳) 
    본관수(本貫數)16개
           고창高敞 나주羅州 군위軍威 낙안樂安 동복同福
           보성寶城연일延日 울산蔚山 장흥長興 전주全州
           평해平海 함양咸陽 해주海州 화순和順 흥양興陽
           함평咸平




    송(宋)
    본관수(本貫數)16개
         
     김해金海 남양南陽 덕산德山 문경聞慶 신평新平
           야로冶爐 양주楊州 현주見州 여산礪山 연안延安
           용성龍城 은진恩津 진천鎭川 철원鐵原 청주淸州
           홍주洪州



    황(黃)
    본관수(本貫數)11개
           덕산德山 상주尙州 성주星州 우주紆州 두주杜州
           장수長水 제안齊安 창원昌原 평해平海 황주黃州
           회덕懷德


    노(盧)
    본관수(本貫數)11개
         
     곡산谷山 광산光山 교하交河 황만黃萬 신창新昌
           안강安康 연일延日 장연長淵 풍천豊川 안동安東
           해주海州


    본관수(本貫數)10개

    윤(尹)
           남원南原 무송茂松 양주楊州 영천永川 예천醴泉
           칠원漆原 파평坡平 함안咸安 해남海南 해평海平


    서(徐)
           남양南陽 남평南平 달성達城 대구大丘 부여扶餘
           연산連山 이천利川 장성長城 절강浙江 평부平富


    본관수(本貫數)8개

    류(柳)
           고흥高興 문화文化 진주晉州 전주全州 선산善山
           풍산豊山 영광靈光 서산瑞山


    본관수(本貫數)8개

    유(兪)
           강진康津 고령高靈 금산金山 사계祀溪 무안務安
           인동仁同 창원昌原 천령川寧


    본관수(本貫數)7개

    손(孫)
           경주慶州 밀양密陽  비안比安 월성月城 청주淸州
           안동安東 일직一直  평해平海


    국(國)
           담양潭陽 풍천豊川  전주全州 현풍玄風 영양英陽
           금성金城 대명大明
     

    엽(葉)
           공촌公村(수원水原) 증미憎尾인의仁義 해평海平
           니파泥波 평해平海  처인處仁


    본관수(本貫數)6개

    양(楊)
           청주淸州 중화中和 남원南原 밀양密陽 안악安岳
           통주通州


    홍(洪)
           남양南陽 당홍唐洪 상홍上洪 악계岳溪 풍산豊山
           홍주洪州


    본관수(本貫數)5개

    안(安)
           광주廣州 순흥順興 죽산竹山 탐진耽津 태원太原


    전(田)
           남양南陽 담양潭陽 연안延安 영광靈光 하음河陰


    허(許)
           김해金海 양천陽川 공암孔巖 태인泰仁 하양河陽


    본관수(本貫數)4개

    노(魯)  강화江華 광주廣州 밀양密陽 함평咸平

    주(周) 상주尙州 초계草溪 철원鐵原 안의安義

    정(丁) 나주羅州 압해押海 영광靈光 창원昌原

    현(玄) 연주延州 성주星州 순천順天 창원昌原  

    호(扈) 나주羅州 보안保安 백천白川 전주全州

    비(丕) 휘주徽州 수원水原 충주忠州 서원西原


    본관수(本貫數)3개

    신(申) 고령高靈 아주鵝州 평산平山 고(高) 제주濟州 장흥長興 청주淸州

    문(文) 감천甘泉 남평南平 정선旌善 남(南) 고성固城 영양英陽 의령宜寧

    심(沈) 삼척三陟 청송靑松 풍산豊山 유(劉) 거창居昌 강릉江陵 백천白川

    석(石) 충주忠州 홍주洪州 해주海州 임(任) 장흥長興 안정安定 풍천豊川

    변(邊) 원주原州 장연長淵 황주黃州 도(都) 서제西齊 성주星州 전주全州

    태(太) 남원南原영순永順 섬계陝溪 창(昌) 공주公州 아산牙山 여산礪山

    순(筍) 임천林川 창원昌原 연곡連谷 랑(浪) 양주楊州 혹운或云 진주晉州

    사(舍) 태안泰安 활천活川 부평富平 창(倉) 아산牙山 여산礪山 장성長城

    애(艾) 한양漢陽 연풍延豊 전주全州 운(雲) 청주淸州 장흥長興 함흥咸興


    본관수(本貫數)2개

    한(韓) 곡산谷山 청주淸州 권(權) 안동安東 예천醴泉

    양(梁) 남원南原 제주濟州 곽(郭) 청주淸州 현풍玄風

    구(具) 능성陵城 창원昌原 나(羅) 금성錦城 나주羅州      

    신(辛) 영산靈山 영월靈越 채(蔡) 인천仁川 평강平康

    변(卞) 초계草溪 밀양密陽 여(呂) 함양咸陽 성주星州

    설(薛) 경주慶州 순창淳昌 봉(奉) 강화江華 하음河陰

    마(馬) 목천木川 장흥長興 왕(王) 개성開城 제주濟州

    방(房) 남양南陽 수원水原 어(魚) 충주忠州 함종咸從

    태(태) 진주晉州 풍기豊基 봉(奉) 강화江華 하음河陰

    사(史) 거창居昌 청주淸州 피(皮) 홍천洪川 괴산槐山

    경(景) 태인泰仁 해주海州 빈(賓) 달성達城 영광靈光

    천(天) 연안延安 우봉牛峰 진(秦) 진주晉州 풍기豊基

    팽(彭) 용강龍崗 절강浙江 승(承) 연일延日 광산光山

    공(公) 김포金浦 문천文川 탁(卓) 광산光山 광주光州

    강(姜) 진주晉州 진양晉陽 만(萬) 강화江華 개성開城

    단(段) 강음江陰 연안延安 은(殷) 강음江陰 연안延安    

    탁(卓) 광산光山 광주光州 차(車) 태인泰仁 김화金化

    승(昇) 창평昌平 남원南原 대(大) 대산大山 밀양密陽

    종(宗) 감진監津 통진通津 영(永) 평해平海 강령康翎      

    방(龐) 개성開城 태원太原 장(莊) 천긍川矜 장연長連

    점(占) 한산韓山 괴산槐山 필(弼) 대흥大興 전주全州

    수(水) 강릉江陵 강남江南 이(伊) 태원太原 은천銀川

    해(海) 김해金海 영해寧海 순(舜) 파주坡州 임천林川

    묵(墨) 광령廣寧 요원遼原 사(謝) 한산韓山 진주晉州

    포(包) 풍덕豊德 순천順川 오(伍) 백천白川 복흥復興

    탄(彈) 해주海州 진주晉州


    본관수(本貫數) 單

    배(裵): 경주慶州  채(采): 여산礪山  백(白): 수원水原
              
    조(曺): 창녕昌寧  하(河): 진주晉州  차(車): 연안延安 
         
    성(成): 창녕昌寧  주(朱): 신안新安  우(禹): 단양丹陽

    민(閔): 여흥驪興  지(池): 충주忠州  진(陳): 여양驪陽

    엄(嚴): 영월寧越  원(元): 원주原州  방(方): 온양溫陽

    공(孔): 곡부曲阜  함(咸): 강릉江陵  강(康): 신천信川

    추(秋): 전주全州  소(蘇): 진주晉州  길(吉): 해평海平

    선(宣): 보성寶城  진(愼): 거창居昌  표(表): 신창新昌

    연(延): 곡산谷山  위(魏): 장흥長興  기(奇): 행주幸州

    반(潘): 거제巨濟  금(琴): 태화泰化  옥(玉): 선령宣寧

    육(陸): 옥천沃川  인(印): 동교桐喬  맹(孟): 신창新昌

    제(諸): 태원泰原  국(鞠): 담양潭陽  예(芮): 악계岳溪

    용(龍): 홍천洪川  부(夫): 제주濟州  경(慶): 청주淸州

    장(蔣): 아산牙山  구(丘): 평해平海  복(卜): 오천汚川

    계(桂): 수안遂安  석(昔): 월성月城  고(賈): 소주蘇州

    유(庾): 무송茂松  정(程): 하남河南  감(甘): 증산憎山

    진(晋): 남원南原  두(杜): 두릉杜陵  형(邢): 진주晉州

    온(溫): 봉성鳳城  음(陰): 죽산竹山  지(智): 봉주鳳州

    좌(左): 제주濟州  은(殷): 행주幸州  편(片): 절강浙江

    여(余): 선령宣寧  염(廉): 파주坡州  은(殷): 행주幸州

    장(章): 거창居昌  한(漢): 충주忠州  동(董): 광주廣州

    갈(葛): 남양南陽  모(毛): 광주廣州  우(于): 목천木川

    진(眞): 서산西山  호(胡): 파릉巴陵  상(尙): 목천木川

    하(夏): 달성達城  도(道): 고성固城  전(錢): 문경聞慶

    설(契): 경주慶州  시(施): 절강浙江  위(韋): 강화江華

    범(范): 금성錦城  간(簡): 가평加平  당(唐): 밀양密陽

    수(洙): 김해金海  소(邵): 평산平山  도(陶): 풍양豊壤

    견(甄): 황간黃澗  종(鐘): 하음河陰  화(化): 나주羅州

    평(平): 충주忠州  궁(弓): 토산兎山  원(遠): 옥비屋比

    강(强): 충주忠州  풍(馮): 림구臨邱  채(菜): 진주晉州

    기(箕): 행주幸州  옹(邕): 순창淳昌  빙(氷): 경주慶州

    빈(彬): 대구大邱  반(班): 개성開城  연(燕): 정주定州

    범(凡): 안주安州  여(汝): 안산安山  봉(鳳): 경주慶州

    미(米): 재령載寧  견(堅): 천령川寧  마(麻): 영평永平

    판(判): 해주海州  야(夜): 원평原平  로(路): 개성開城

    돈(敦): 청주淸州  매(梅): 충주忠州  강(彊): 진주晉州

    이(異): 밀양密陽  방(邦): 광주廣州  곡(曲): 용궁龍宮

    초(楚): 파릉巴陵  소(消): 제주濟州  순(淳): 임천林川

    돈(頓): 목천木川  단(單): 연안延安  구(邱): 은진恩津

    근(斤): 청주淸州  뢰(雷): 교동喬桐  자(慈): 료양遼陽

    삼(森): 삼가三嘉  나(奈): 나주羅州  옹(雍): 파평坡平

    서(瑞): 한산韓山  개(介): 여주驪州  준(俊): 청주淸州

    편(扁): 희천熙川  후(后): 당인唐寅  문(門): 인천仁川

    비(丕): 롱서瀧西  선(先): 진성晉城  운(芸): 전주全州

    황보(皇甫) 영천永川  남궁(南宮) 함열咸悅

    선우(鮮于) 태원太原  사공(司空) 효령孝令

    제갈(諸葛) 남양南陽  서문(西門) 안음安陰

    독고(獨孤) 남원南原  동방(東方) 진주晉州

    목(睦) ? 천(千) ? 명(明) ? 국(菊) ? 양(襄) ? 아(阿) ?
    서(西) ? 설(雪) ? 성(星) ? 량(樑) ? 추(鄒) ? 순(順) ?
    군(君) ? 강(剛) ? 뢰(賴) ? 국(局) ? 송(松) ? 영(影) ?
    방(旁) ? 석(碩) ? 렴(濂) ? 염(閻) ? 은(恩) ? 응(應) ?
    포(鮑) ?

    이름에 쓰면 안좋은 한자
    성명학상 불용문자
    다음은 통계학상으로 보아 작명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성 말고 이름만..
    경(庚)
    인덕이 없고 불구,폐질의 흉암시
    구(九)
    수의 종말을 의미하므로 大材無用之格
    극(極)
    부모덕이 없고 가난
    금(錦)
    고생과 고독을 암시
    대(大)
    동생이 쓰면 형을 극함
    돌(乭)
    천한 느낌을 주며 단명의 암시가 있음
    료(了)
    (未)자와 같이 사물의 종말을 뜻하는 글자
    만(滿)
    선부후빈격
    매(梅)
    과부또는 화류계 여성이 되기 쉬움
    명(明)
    머리는 명석하나 파란 곡절이 많음
    민(敏)
    성질이 날카로워 불화를 초래
    복(福)
    타고난 운명에 복이 있을 때는 무방하나 그렇지 않을 때는 오희려 복을 해친다.
    사(四)
    단명, 조난의 암시
    상(上)
    진실한 성격이나 윗사람을 극함
    설(雪)
    속성, 속패의 암시
    소(笑)
    불의의 재난을 뜻함
    수(壽)
    의미하는 반대로 단명할 암시가 있음
    승(勝)
    조그마한 어려움에도 좌절을 잘 한다
    실(實)
    극부의 암시가 있음
    애(愛)
    비애에 빠지는 신세가 되기 쉽고, 남편과 사랑도 지속되기 어렵다
    영(榮)
    매사가 여의치 않음
    완(完)
    맏이가 쓰는 것은 무방하나 차자가 쓰면 형을 극한다
    운(雲)
    형제간의 우애가 없고 재물이 흩어진다고 함
    원(元)
    맏이가 쓰면 무방하나 차자가 쓰면 불길
    은(銀)
    마음은 착하나 인덕이 없고 굴곡, 기복이 많다
    인(寅)
    타고난 운명에 寅이 필요한 경우는 무방하나 그렇지 않으면 불손하다. 특히 申, 酉年生은 피해야 함
    장(長)
    동생이 쓰면 형이 망하고 자신도 좋지 않음
    진(眞)
    모든 일이 허로 돌아가는 암시
    죽(竹)
    천품이 견강하여 의지는 불굴하나 가정에 수심이 있고 자연에 박덕하다
    천(千)
    육친덕이 없다
    철(鐵)
    고독하고 가난하며 남의 업신여김을 받는 흉암시
    초(初)
    불행을 자초
    풍(風)
    재산을 날려버리는 흉암시가 있음
    하(夏)
    파란이 많아 노력에 비해 이루어지는 것이 적음
    해(海)
    인생항로에 파란 곡절이 많다
    호(好)
    속성속패 불길함이 많고 일관되지 않음
    화(花)
    화류계 여자이름으로 좋으나 일반적으로 부부운이 좋지 않음
    희(喜)
    비애, 고독, 파재의 흉암시
    휘(輝)
    성품이 강하여 모든 일에 실수가 많음
    희(姬)
    남자의 뒷바라지 하느라 고생만 하고 손해를 많이 본다
    구(龜)
    대체로 단명할 암시가 있음
    길(吉)
    천한 인품으로 유도
    광(光)
    건강을 잃기쉬우며 재운에 성패가많으나 두뇌는 현철함
    남(南)
    여자는 과부
    도(挑)
    인내력이 부족하고 질병의 흉암시가 있음
    동(童)
    도모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음
    마(馬)
    짐승처럼 비천함
    명(命)
    재액이 따르며 고독
    미(美)
    성품은 좋으나 허영심이 강하고 고독
    말(末)
    신고, 고독, 무덕을 초래하기 쉽고 부부운이 박약
    분(分,粉)
    과부가 될 흉암시가 있다
    산(山)
    성격이 고지식하며 슬픔이 끊일 사이가 없다
    석(石)
    천격으로 중도좌절의 암시가 있음
    성(星)
    수명을 다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음
    송(松)
    고독
    순(順)
    눈물 속에서 사는 인생이 될 가능성이 많으며 부부운도 좋지 않다
    신(新)
    매사 시작은 있어도 끝이 없다
    여(女)
    하천하고 고독의 암시가 있다
    옥(玉)
    총명하고 인품이 수려한 사람도 많으며 크게 성공하는 좋은 암시도 있으나 수명이 짧음
    용(龍)
    타고난 운명상 용(辰)이 필요한 경우는 사용해도 무방하나 그렇지 않을 때는 불길하다. 특히 술년과 해년생 사람은 충과 원진이 되므로 피해야 함
    월(月)
    고독
    이(伊)
    고독하고 천함
    인(仁)
    고질을 지닐 암시가 있고 평생 불행이 끊일 사이가 없다
    자(子)
    운명에 子가 필요한 경우는 무방하나 午, 未年生은 흉
    지(地)
    기초가 약하여 매사에 재액이 따름
    진(珍)
    貴자와 같으며 중도좌절의 흉암시가 있고 여자는 과부수가 있다
    추(秋)
    단명 불운 고독을 초래한다
    천(川)
    모든일이 분산 실패하는 암시가 있다
    춘(春)
    갑자기 크게 성공할수 있으나 봄바람처럼 허영심이 많음
    태(泰)
    장자는 무방하나 동생이 쓰면 형에게 좋지않음
    학(鶴)
    성품이 고결하고 존경받으나 재물을 모으기 어려움
    호(虎)
    성격이 과격하여 재난을 불러 들이며 자손과 인연이 박함
    홍(紅)
    단명을암시
    효(孝)
    조실부모하기 쉬음
     

      大法院指定 常用漢字 中高生 學生用 常用 漢字 1800字에서 이름에 使用 頻度(빈도)가 많은 1164字를 拔取하여 1차-2차로 合2964字이며 同字속에 略字 61字까지 하면 總合計3025字로 되어 있다. 1차-2차 發表까지 2964字 俗字 - 略字 61字 포함= 3025字로 이번 4차로 8차까지 103字 追加 總 5151字 選定發表 했다. 이름은 5178자 안에서 지어야 한다 戶籍法施行規則 第37條 (호적법 시행)

      
        ♬ ♬evergreen tree

    출처 : 청풍댄스크럽
    글쓴이 : 청풍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