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근 서당.

[스크랩] 고구려 바퀴는 아직도 굴러가고 있었다. / 박제가(朴齊家, 1750 ~1805)

浩 根 書 堂 2019. 2. 5. 07:40

 

 

'오회분' 5호묘 고분벽화에 그려진 바퀴를 굴리는 남자 모사도(왼쪽), 유리 비각 속 '광개토대왕비'.

벽화 속에서,

바퀴를 굴리는 남자가 현실과 초현실, 그 양쪽의 시간을 건너가고 있었다.

그 바퀴는 소달구지나 마차 바퀴처럼 투박한 바퀴가 아니라...

내 자전거 바퀴처럼 날렵하고 경쾌한 바퀴였다.

바퀴살은 가늘고 선명했다.

단단한 강철이 아니면 그처럼 가는 살로 하중을 받아낼 수 없을 것이었다.

그 바퀴는 수레에 연결되지 않은 바퀴였고,

아직 현실에 적용되지 않은 바퀴의 순수한 원형이었다.

고구려의 바퀴는 세속적 번영의 절정을 이루는 위세품이며 실용품이었던 모양이다.

무덤 속의 수많은 그림 중에서 그 바퀴는 가장 사실적이며 첨단적인 신문물이었다.

그 고구려의 바퀴가 이 세상에서 저세상으로 흘러가고 있었는데, 바퀴를 쥔 사람의 동작은 경쾌했다. 도교적 초월의 열락 속에서도 고구려 사람들은 세속적 욕망의 건강함을 단념하지 않았다.

오회분 5호묘뿐 아니라...

다른 고구려 무덤 속에서도 세속의 생활은 건강하고 활기찬데, 바퀴는 그 첨단을 이룬다.

베이징과 선양을 다녀온 박제가(朴齊家, 1750~1805)는 바퀴에 열광했다.

그의 저서 『북학의』는 첫 페이지부터 바퀴 예찬으로 시작한다.

그는 바퀴의 문화적·경제적 사명의 발견자였다.

그는 바퀴의 이용이 단절된 조선의 현실을 개탄했고,

연결된 도로를 바퀴로 소통함으로써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진언은 배척되었다.

박제가의 시대에까지 고구려의 바퀴는 버려져 있었다.

바퀴는 원이다.

이것에 동력을 연결시켜서 도로 위에서 굴리면 인간은 한없이 앞으로 나갈 수 있다.

인간의 갈 길은 멀고 멀다.

그림 속의 고구려 바퀴는 아직도 굴러가고 있었다.

 

님은 가고 없어도

잘도 피었네

정영자 Sop.

 

 


출처 : 어둠 속에 갇힌 불꽃
글쓴이 : 간담상조(부천삼성화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