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는 우리 민족의 문자생활과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우리 선인들은 漢字ㆍ漢文을 생활화하여 우리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言語ㆍ文字遊戱를 즐겨왔다. 오늘날에도 우리의 언어문자 생활에 있어 漢字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기초적이고 일상적인 말들은 순수한 우리말로 되어 있으나, 이성적이나 사고를 요하는 말들은 대부분의 말들은 漢字語로 이루어져 있어 相互補完的인 언어체계를 이루고 있다. 言語ㆍ文字生活에 漢字語가 70% 이상을 차지하는 우리의 언어현실에서, 漢字學習이야말로 모든 학습의 基礎學習이 되고 있기에 그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나아가 국제화시대에 日本語나 中國語 학습에 있어 漢字의 학습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漢字를 이해하고 외우는 데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기에, 대다수의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漢字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漢字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무조건적인 암기학습이 아닌, 字源, 部首, 六書法, 故事成語 등을 활용한 효율적인 漢字學習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 필자는 漢字學習을 재미있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도록, 破字의 원리를 활용한 ‘漢字수수께끼’式의 학습방법을 주장하고 있다. 破字란 漢字를 깨뜨리고 합쳐서 살펴보는 文字遊戱의 성격을 띤 것으로, 오랜 기간 동안 구비전승 되어오면서 수수께끼 형식 외에 기발하고도 해학적인 다양한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어, 효율적인 漢字學習은 물론 지적인 희열감을 맛보게 해주고 있다. 漢字라면 딱딱하고 골치 아프다고 지레 외면하는 오늘날의 청소년들에게 破字의 원리를 활용한 漢字수수께끼 학습이나 흥미 있는 破字풀이를 통하여, 자신도 모르게 漢字에 친숙해지고 興味와 好奇心을 자아내게 되는 효율적인 학습 방안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漢字수수께끼를 중심으로 言語 文字遊戱의 하나인 破字에 관하여, 單一破字(漢字수수께끼)ㆍ多字破字ㆍ破字占ㆍ破字解夢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속담, 수수께끼는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破字는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 破字의 글자 그대로의 뜻은 ‘깨뜨릴 破’, ‘쪼갤(짜갤) 破’이므로 漢字를 쪼개거나 깨뜨린 字이다. 먼저 국어사전에 나와있는 破字의 개념을 살펴보자.
破字 1) 명사. 漢字의 字劃을 分合하여 맞추는 수수께끼. 즉 「朝」를 분해하여 ‘十月十日’이라고 하고 姜은 八王女라고 하는 따위. 破瓜의 「瓜」字를 두개의 八로 보아 十六歲라고 하고, 黃絹幼婦의 黃絹은 色絲로 絶자로, 幼婦는 少女로 곧 絶妙라 함과 같다. 2) 민속. 占치는 法의 한가지. 漢字를 풀거나 모아서 좋고 언짢음을 나타냄. 坼字(탁자), 解字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사전적 개념을 보면 破字란 수수께끼의 일종으로서 漢文글자의 字劃의 分合에만 한정시키는 협의의 정의를 내리고 있으며, 주로 單一破字(한 字로써 이루어진 破字)에 한정된 설명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破字는 수수께끼와의 관계에 있어서 다음의 세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수수께끼 속에 破字의 獨立性을 잃고 소속되는 경우로, 수수께끼를 대상별로 분류시에, 수수께끼 속에 文字나 文章으로 포함된다. 둘째는, 수수께끼 속에 독립성을 가지고 ‘漢字수수께끼’로 되는 경우로 표현방식면으로 볼 때 漢字를 사용한 수수께끼라는 특이성을 인정하고 따로 독립된 ‘漢字수수께끼’를 설정하는 것이다. 셋째는, 필자가 시도한 것으로 수수께끼와는 별도로 破字를 독립시켜 볼 경우이다. 현재까지는 破字를 수수께끼의 일종으로, 漢字ㆍ漢文 수수께끼로 다루어왔다. 이러한 견해에서 벗어나서 수수께끼 속의 破字가 아니라, 破字의 여러 기능 중에 수수께끼가 되기 위해 破字化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本考에서는 단순한 흥미를 위한 지적테스트로서의 수수께끼로서의 破字가 아닌, 漢字를 깨뜨리거나 결합시켜 破字표현으로 이루어진 모든 漢字ㆍ漢文을 破字로 규정하고 살펴보았다. 자신의 思想과 感情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못할 경우에, 漢字의 자획을 分合하거나 덧붙이고, 음의 유사성을 이용하거나 故事를 이용하거나 등의 방법을 써서 이루어진 漢字ㆍ漢文을 破字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破字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漢字수수께끼로서의 單一破字의 특성도 쉽게 이해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하게 보이고 있는 多字破字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破字 표현은 의외로 다양하게 쓰여지고 있다. 상대방에 대한 지적능력의 테스트 성격을 띠고 있는 漢字수수께끼로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밖에도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의 卑語, 辱說, 戀情표시, 讒言ㆍ讒訴의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밖에 점치는 수단으로서의 破字占, 꿈을 해몽하는 데 있어서도 ‘破字解夢’이라 하여 적용되고 있다.
1. 單一破字(漢字수수께끼)
(가) 한자 수수께끼 보통사람들은 漢字를 이용해 깨뜨리거나 합쳐서 새로운 뜻으로 나아가는 한자를 이용한 문자유희의 성격을 띠고 있는 單一破字(漢字수수께끼)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 요즈음에는 漢字를 배움의 대상으로 여기는 정도이지만, 옛날에는 漢字는 學習의 대상이라기보다 생활 그 자체였으며, 오랜 세월동안 漢字文化圈 내에서 한글보다도 漢字를 더 가깝게 사용해왔던 우리의 문자현실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漢字를 이용한 수수께끼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口碑傳承되어 온 것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單一破字란 破字 表現이 하나의 漢字로 이루어진 경우로, 흔히 말하는 漢字수수께끼이다. 주로 문자유희로서의 구비전승되어 왔으며, 漢字를 이용한 諧謔과 단순한 지적테스트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오락성이 짙은 문답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漢字수수께끼는 단순한 수수께끼가 아닌 漢字를 이용한 수수께끼라는 점에서 보통의 수수께끼와는 다소 다른 특성을 띠고 있다. 漢字를 깨뜨리거나 합쳐서 새로운 뜻을 이루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속에 담긴 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치 수수께끼를 풀어낼 때처럼 다양한 思考를 요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漢字수수께끼’는 단순한 오락적 흥미로서가 아닌 漢字學習에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키고, 다양한 표현 속에 담겨 있는 先人들의 예지를 통해 창의적인 지력계발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漢字수수께끼를 활용해, 字源ㆍ六書法ㆍ部首理解와 더불어 漢字學習을 해 나갈 경우에 한층 흥미롭게 해 나갈 수 있겠다.
(나) 漢字수수께끼가 얼마 안 전하는 이유 이렇게 漢字수수께끼에 대한 연구가 부진한 이유로는 자료부족의 어려움에다, 어찌 보면 破字에 관한 연구 자체가 진정한 학문이 아닌 雜學(잡학)으로 여겨져 온데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또한 전해지고 있는 자료가 얼마 되지 않는 것은 破字가 口碑傳承되어 오는 과정에서 淫談悖說的인 내용 등 실려지지 못한 것이 상당수이며, 일반의 민간 전승 수수께끼와는 달리 漢學을 하던 식자층에서 學問이라기 보다는 심심풀이 성격을 띠고 있었던 점에서, 중시하지 않음으로 인해 문자로 정착되지 못했음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漢字수수께끼는 우리가 알고 있는 보통의 수수께끼에 비해서 얼마 안 된다. 하지만 오늘날 전해온 이러한 漢字수수께끼에 대한 정리와 연구를 통해 漢字學習에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하고 나아가 선인들의 예지와 해학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다) 漢字수수께끼의 특징 漢字수수께끼는 보통의 수수께끼에 비해서 수수께끼의 특성에 있어 별 차이점은 없지만 고의적인 誤導性(오도성)을 적게 띠고 있다. 원래 수수께끼라는 것이 문제 자체에 해답자의 오류를 범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수수께끼 물음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깊숙이 思考하는 垂直的 사고방식이 아닌, 다양하고 폭넓은 사고인 水平的 사고 방식으로 나아가야 한다. 하지만 漢字수수께끼의 경우에는 이러한 고의적 誤導性은 일반의 수수께끼에 비해 떨어지고 있다. 이는 보통의 수수께끼와는 달리 漢字의 음과 뜻을 모르면, 전혀 알 수 없는 지적유희의 漢字수수께끼의 특성상 굳이 誤導性을 띠지 않더라도 충분한 유희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漢字 자체의 형상, 분합, 음의 상사, 의미, 대유법적으로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 등등의 자체가 훌륭한 수수께끼로서의 지적테스트로서의 기능이 담겨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漢字수수께끼에 대하여 우리 모두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으며, 특히 학교의 수업시간에 각 漢字에 대한 수수께끼를 소개 지도하고 활용해 나간다면, 수업에 대한 흥미와 함께 지적 계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漢文 수업이나 국어시간에 俗談ㆍ故事成語 등과 더불어 漢字수수께끼를 지도함으로써 학습의 흥미 및 학생들의 지력 계발 및 다양한 사고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지도해나가야 할 것이다.
(라) 漢字수수께끼의 유형 본 글에서는 설문 유형의 표현방식에 따라 (1)形象 (2)字劃의 分合 (3)音의 相似 (4)意味面 (5)代喩法으로 象徵的으로 나타낸 것 (6)기타 破字化 표현으로 살펴보았다. 표현방식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고, 여러 요소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상당수 있으나 주요한 것들을 위주로 살펴본다.
(1) 形象으로 나타난 것 漢字를 全部 혹은 一部를 形象化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 유형은 형상이 主가 되는 것으로 광의의 分合과 의미의 요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육서법 중에서 상형과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單一破字의 破字化 表現 중에서 비교적 가장 단순한 표현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다. 예를 살펴보기로 하자.
◆ 自(스스로 자) : 주먹 같은 字(字形이 외로 쥔 주먹 비슷함) ◆ 太(클 태) : 가. 남자가 사지를 벌리고 선 字는?(大는 사람이 四肢를 벌린 형상을, * 은 음부를 형상화) 나. 목을 맨 사람에게 불알 달린 字(一을 목을 맨 띠로 형상화) ◆ 十(열 십) :밭의 뚝이 무너진 字는?(田의 口를 뚝으로 형상화) ◆ 王(임금 왕) : 가. 羊이 뿔 빠지고 꽁지 빠진 字는?( * 을 뿔, * 을 꼬리로 형상화) 나. 서까래 세 개를 등에 진 字는?(?을 등으로, 三을 서까래 세 개로 형상화) ◆ 乃(이에 내) : 늙은이가 지팡이를 짚은 字는?( * 는 허리굽은 늙은이, * 는 지팡이를 형상화) ◆ 失(잃을 실) : 가. 살촉이 뾰족한 字는?(矢 '화살 시'에서 失 윗부분에 올라옴을 날카로운 살촉으로 형상화) 나. 한 소에 꼬리가 둘 달린 자는?(失의 아래부분을 꼬리로 형상화, 先(먼저 선)자도 답이 될 수 있다.) ◆ 朱(붉을 주) : 한 소에 꼬리 셋 달린 자는?(朱의 *를 꼬리로 형상화) ◆ 午(간지 오) : 소「牛」의 머리가 나가지 않은 字는?( *를 머리로 형상화) ◆ 生(날 생) : 소가 외나무다리에 선 字는? 외나무다리에 소 몰고 가는 字는?(一을 외나무다리로 형상화) ◆ 井(우물 정) : 한 입은 實하고 여덟 입은 虛한 字는? (글자의 모양을 보면 됨)의미의 요소 가미됨. ◆ 松(소나무 송) : 老翁이 바지를 벗고 나무 옆에 선 字(‘翁:늙은이 옹’의 羽를 바지로 형상화함) ◆ 尹(다스릴 윤) : 앉으면 소되는 성씨의 字(尹의 *를 다리로 형상화) [丑 소 축] ◆ 實(열매 실): 어머니가 갓을 쓰고 조개를 줍는 字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형상화에 의한 破字化의 표현방식은 漢字의 전부나 일부를 형상화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써, 의미나 分合的인 요소와 관련을 맺고 있으며 비교적 차원이 낮은 단순한 방식이다.
(2) 分合(분합)으로 나타낸 것 漢字의 字劃을 分合한 것으로 破字의 사전적 개념을 보면 이 類型만을 가지고 언급하고 있다. 그만큼 廣義로 볼 때는 모든 破字化하는데 있어서 分合이 基本을 이루고 있으며, 形象, 意味, 象徵, 音의 相似 등 제 요소는 分合된 위에 결합되어 破字의 묘미를 더해주고 있다. 본 글에서는 나누고 합쳐지는 좁은 의미의 分合에 중점을 두었다. 간략한 예를 살펴본다.
◆ 昔(옛 석) : 스무 하룻날이라는 字는?(분해하면 [卄+ 一 +日]로 되어) ◆ 朝(아침 조) : 十月 十日인 字는?(分解하면 十月十日이 됨) ◆ 墻(담장 장) : 土人口 土人口로 된 字는?(牆 자의 俗字임) ◆ 龍(용 룡) : 立月卜己三(입월복기삼)인 字는? ◆ 德(덕 덕) : 兩人十四一心인 字는? ◆ 姜(성씨 강) : 八王女인 字는?(姜을 分解하면 八王女) ◆ 女(계집 녀) : 左七右七인 字(分解하면 왼 쪽의 七 과 오른쪽의 七) ◆ 戀(그리워할 련) : 左絲 右絲 中言 下心한 字는? ◆ 問(물을 문) : 左君, 右君인 字는? (君 字 둘이 左右로 등을 맞대고 합친 것 비슷함) ◆ 辨(가릴 변) : 10분의 6에 10분의 6을 곱한 字는?(辛 자를 十, 一, 六으로 분합하여 각기 10, 분, 6, 칼도 방을 곱하기로)
(現) 春川機械工業高等學校 敎師. (現) 한라대학교 常用漢字 外來講師. 檀國大學校 漢文學科 博士課程 修了. 『破字이야기』, 『꿈해몽백과』를 비롯하여 8권의 저서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