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절
1. 남자의 큰절 · 계수배(稽首拜)
① 공수하고 대상을 향해 선다.(그림 1 )
②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손을 벌리지 않는다 ) (그림 2 ) )
|
|
③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그림 3 )
④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과 기지런히 꿇는다. (그림 4 )
|
|
⑤ 왼발등이 바닥 아래 오른발등이 왼발바닥위에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그림 5 )
⑥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댄다.(그림 6 )
(차양이 있는 갓이나 모자를 썼을 때는 차양이 손등에 닿게 한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된다. 두 팔꿈치를 날개같이 벌리지 않고 몸에 붙인다.)
|
|
⑦ 잠시 (마음속으로 하나, 둘, 셋을 셀시간)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그림6~ 7 )
⑧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운다.(그림8~9 )
|
|
⑨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세운 오른쪽 무릎 위에 얹는다. (그림8 ~ 9 )
⑩ 오른쪽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서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그림 9~10)
|
|
2. 남자의 평절 · 돈수배(頓首拜)
큰절과 같은 동작으로 한다.
다만 큰절의 ① 번 동작 이마가 손등에 닿으면 머물러 있지 말고 즉시
②-1~3 번까지 동작으로 일어나는 것이 다르다. ( 그림① ②-1~3까지 )
<그림 ①> 남자, 평절의 모습 |
<그림 ②-1> 남자, 평절의 모습 |
<그림 ②-2 > 남자, 평절의 모습 |
<그림 ②-3> 남자, 평절의 모습 |
3. 남자의 반절 · 공수배(拱手拜)
큰절과 같은 동작으로 한다. 다만 큰절의 ⑤번 동작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 것과 ⑥번 동작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손등에 대는 것과 ⑦번 동작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떼는 부분은 생략한다.
공수한 손을 바닥에 대고 무릎 꿇은 자세에서 엉덩이에서 머리까지 수평이 되게 엎드렸다가 일어나는절이다. (그림 1 )
<그림 1 > 남자,공수배의 모습
또한 반절은 평절을 약식으로 하는 절이라 이해하면 된다. (그림 2. 그림 3.)
|
|
4. 남자가 임금에게 하는 고두배(叩頭拜)
공수한 손을 풀어서 두 손을 벌려 바닥을 짚으며 하는 절을 고두배라 한다.
고두배는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절이며, 한 번 절할 때 세 번을 이마로 바닥을 두드리는 것이다.
현대는 임금이 없으니까 고두배를 해서는 안 된다.(그림 23-9)
여자의 절
1. 여자의 큰절· 숙배(肅拜)
|
|
|
③ 고개를 숙여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붙인다. (그림23-102)
(엄지 안쪽으로 바닥을 볼 수 있게 한다.)
③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그림23-103)
|
|
⑤ 오른쪽 무릎을 왼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그림 5 )
⑥ 오른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그림 6 )
|
|
⑦ 윗몸을 반(45도) 쭘 앞으로 굽힌다. (이때 손등이 이마에서 떨어지면 안된다. 여자가 머리를 깊이 숙이지 못하는 것은 머리에 얹은 장식이 쏟아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된다.)(그림7)
⑧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그림8 )
|
|
⑨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그림 9)
⑩일어나면서 왼쪽 발을 오른발과 기지런히 모은다.(그림10)
|
|
⑪수평으로 올렸던 공수한 손을 원위치로 내리며 고개를 반듯하게 세운다. (그림23-10)
2. 여자의 평절 · 평배(平拜)
여자의 평절은 원래 중국여자의 큰절이었는데,
우리나라의 큰절보다 수월하므로 평절로 쓰인다.
① 공수(拱手)오른손이 왼손위를 덮은자세로 두발을 모우고 선다(그림1)
② 공수한 손을 풀어 양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린다. (그림2)
|
|
③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그림 3 )
④ 오른쪽 무릎을 왼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그림 4 )
|
|
⑤ 오른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그림 5 )
⑥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모아서
손끝이 무릎밖(양옆)을 향하게 가지런히 바닥에 댄다. (그림 6 )
|
|
⑦ 윗몸을 반(45도)쯤 앞으로 굽히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 댄다.(그림 7 )
(이때 엉덩이가 들리지 않아야하며,
어깨가 치솟아 목이 묻히지 않도록 팔굽을 약간 굽혀도 괜찮다.)
⑧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서 뗀다. (그림 8 )
|
|
⑨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며 손끝을 바닥에서 뗀다. (그림 9 )
⑩ 일어나면서 왼쪽 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그림 10 )
|
|
⑪ 공수하고 원자세를 취한다.(그림23-110)
3. 여자의 반절 · 반배(半拜)
여자의 반절은 평절을 약식으로 하면 된다.(그림 1 )
답배해야 할 대상이 낮은 사람이면 남여 모두 앉은 채로
두 손으로 바닥을 짚는 것으로 답배하기도 한다.(그림2. 그림3)
|
|
|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염화미소 [拈花微笑] (0) | 2010.01.01 |
---|---|
[스크랩] Re:孟母三遷(맹모삼천) (0) | 2010.01.01 |
[스크랩] 庚寅年 "새해에는 福 많이 만들고" “ 福을 많이 만듭시다.” (0) | 2010.01.01 |
[스크랩] 醉一日則遲一日。醉一月則遲一月 (0) | 2009.12.31 |
[스크랩] 擧 案 齊 眉 거안제미 (0) | 200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