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母三遷(맹모삼천)
맏맹, 어머니모, 석삼, 옮길천
出典:후한서(後漢書)
文意: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을 이사를 함.
解義:맹자(孟子)는 어렸을 때부터 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그의 어머니는 자식의 교육을 위해서는 어떤 희생을 겪고라도 훌륭한 인간으로 키우고자 노력하였다. 그러한 집념이 일환이 아들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하게 된 것이다.
맹자는 증자(曾子)의 문인(文人)에게서 사숙했다. 기초는 스승에게서 배웠으나 그의 독특한 성선설(性善說), 사단설(四端說)은 모두 독학에서 얻은 독창적인 것이다.
맹자는 독학자였기에 환경이 중요했다. 이 환경 조성을 위해 그의 어머니는 세 번씩이나 이사를 했다. 처음에는 공동묘지 근처에서 살았다. 어린 맹자는 상여놀이, 봉분 만드는 놀이를 했다.
'여기는 자식을 기를 만한 곳이 못되는구나.'
그래서 교육상 좋지 않다고 생각한 맹자의 어머니는 시장 근처로 이사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물건을 팔고 사는 장사꾼 흉내만 내는 것이었다. 이곳 역시 안 되겠다고 생각한 맹자의 어머니는 서당 근처로 이사했다. 맹자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과 제삿상을 차리는 법, 예의를 갖춰 인사하고 행동하는 광경들을 흉내내며 놀았다. 이를 본 어머니는,
'이곳이 참으로 자식을 기를 만한 곳이다.'
하고는 그곳에 자리를 잡았다. 이리하여 孟母三遷(맹모삼천) 라는 말이 유래했다.
[원말]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동의어] 삼천지교(三遷之敎).
[유사어] 현모지교(賢母之敎).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람을 보는 방법 (0) | 2010.01.02 |
---|---|
[스크랩] 염화미소 [拈花微笑] (0) | 2010.01.01 |
[스크랩] Re:Re:男子.女子절(拜禮法)하는 方法 (0) | 2010.01.01 |
[스크랩] 庚寅年 "새해에는 福 많이 만들고" “ 福을 많이 만듭시다.” (0) | 2010.01.01 |
[스크랩] 醉一日則遲一日。醉一月則遲一月 (0) | 200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