苛斂 가렴 ☜ 가검(X) |
▶ 苛(가) 가혹하다 ▶ 斂(렴) 거두다 |
恪別 각별 ☜ 격별(X) |
▶ 恪(각) 삼가다 ▶ 別(별) 유별나다, 이별 |
[의미] 혹독하게 세금을 징수함. 예) 가렴주구(苛斂誅求) / ◈ 劍(검) 칼 |
[의미] 유다름. 특별함. / ◈ 格(격) 격식 |
看做 간주 ☜ 간고(X) |
▶ 看(간) 보다 ▶ 做(주) 짓다 |
姦慝 간특 ☜ 간약(X) |
▶ 姦(간) 간사하다 ▶ 慝(특) 사특하다 |
[의미] 그러한 듯이 보아 둠. 그렇다고 침. / ◈ 故(고) 예 |
[의미] 간사하고 마음 속이 악함. 奸慝. / ◈ 若(약) 만약 |
間歇 간헐 ☜ 간갈(X) |
▶ 間(간) 사이 ▶ 歇(헐) 쉬다 |
減殺 감쇄 ☜ 감살(X) |
▶ 減(감) 줄이다 ▶ 殺(쇄) 감하다, 빠르다 |
[의미] 일정한 시간을 두고 쉬었다가 일어났다 함. 예) 간헐온천(溫泉) / ◈ 渴(갈) 목마르다 |
[의미] 덜어서 없앰. / ◈ 殺는 (살: 죽이다) (쇄) 발음 |
勘案 감안 ☜ 심안(X) |
▶ 勘(감) 조사하다 ▶ 案(안) 책상, 안건 |
甘蔗 감자 ☜ 감서(X) |
▶ 甘(감) 달다 ▶ 蔗(자) 사탕수수 |
[의미] 생각함. / ◈ 甚(심) 심하다 |
[의미] 사탕수수 / ◈ 庶(서) 무리 / ▣ 甘藷(감저)의 '감자'는 별도. |
降雨 강우 ☜ 항우(X) |
▶ 降(강) 내리다/(항)항복 ▶ 雨(우) 비 |
槪括 개괄 ☜ 개활(X) |
▶ 槪(개) 대개 ▶ 括(괄) 묶다 |
[의미] 비가 내림. 또는 내린 비. / ◈ 降은 (강) (항) 발음 예) 降伏(항복) |
[의미] 대당 추려 한데 뭉뚱그림. 같은 부류의 사물을 골라서 한데 뭉침. / ◈ 活(활) 살다 |
改悛 개전 ☜ 개준(X) |
▶ 改(개) 고치다 ▶ 悛(전) 고치다 |
改竄 개찬 ☜ 개서(X) |
▶ 改(개) 고치다 ▶ 竄(찬) 숨다 |
[의미] 전의 잘못을 뉘우쳐 마음을 바르게 고침. / ◈ 俊(준) 준걸 |
[의미] 고쳐 만듦. 글이나 글자를 고쳐 씀. / ◈ 鼠(서) 쥐 |
坑道 갱도 ☜ 항도(X) |
▶ 坑(갱) 구덩이 ▶ 道(도) 길 |
醵出 갹출(또는 거출) |
▶ 醵(갹)(거) 추렴하다 ▶ 出(출) 내다 |
[의미] 땅 속으로 판 길. / ◈ 抗(항) 막다 |
[의미] 돈이나 물건을 한데 서로 냄. |
車馬 거마 ☜ 차마(X) |
▶ 車(거) 수레 ▶ 馬(마) 말 |
更迭 경질 ☜ 갱질(X) |
▶ 更(경) 고치다 ▶ 迭(질) 갈마들다 |
[의미] 수레와 말. 교통 수단. <거마비(車馬費)> / ◈ 車는 (거) (차) 발음. |
[의미] 어떤 직위에 있는 사람을 갈아내고 딴 사람으로 대신함. / ◈ 更은 (갱: 다시)(경) 발음. |
驚蟄 경칩 ☜ 경첩(X) |
▶ 驚(경) 놀라다 ▶ 蟄(칩) 숨다. 겨울잠벌레 |
滑稽 골계 ☜ 활계(X) |
▶ 滑(골) 어지럽다 ▶ 稽(계) 머무르다 |
[의미] 24절기 중 하나[양력 3월5일경] 땅 속의 동물들이 동면에서 깨어나 꿈틀대는 시기. |
[의미] 재치가 있어 말이 유창함이나, 남을 웃기려고 일부러 우숩게 하는 말이나 짓. 익살. / ◈ 滑은 (골) (활: 미끄럽다) 발음. |
汨沒 골몰 ☜ 일몰(X) |
▶ 汨(골) 빠지다, 잠기다 ▶ 沒(몰) 가라앉다 |
誇示 과시 ☜ 오시(X) |
▶ 誇(과) 자랑하다 ▶ 示(시) 보이다 |
[의미] 한 가지 일에 파묻힘. / ◈ 日(일) 해 |
[의미] 뽐내어 보임. 실제보다 크게 나타내 보임. / ◈ 汚(오) 더럽다 |
官衙 관아 ☜ 관오(X) |
▶ 官(관) 관리 ▶ 衙(아) 관청, 마을 |
刮目 괄목 ☜ 활목(X) |
▶ 刮(괄) 비비다, 깍다 ▶ 目(목) 눈 |
[의미] 관원이 사무를 처리하는 곳. 마을 / ◈ 吾(오) 나 |
[의미] 썩 잘된 것을 만나 눈을 비비고 다시 봄. 괄목상대(刮目相對) / ◈ 活(활) 살다 |
乖離 괴리 ☜ 승리(X) |
▶ 乖(괴) 어그러지다 ▶ 離(리) 떨어지다 |
魁首 괴수 ☜ 두수(X) |
▶ 魁(괴) 우두머리, 으뜸 ▶ 首(수) 머리, 우두머리 |
[의미] 벗어나 떨어짐. / ◈ 乘(승) 타다 |
[의미] 악당의 두목. 수괴(首魁)/ ◈ 鬼(귀)귀신 |
攪亂 교란 ☜ 각란(X) |
▶ 攪(교) 어지럽다 ▶ 亂(란) 어지럽다 |
敎唆 교사 ☜ 교준(X) |
▶ 敎(교) 하여금, 가르치다 ▶ 唆(사) 부추기다 |
[의미] 섞어 흔들어 어수선하게 함. / ◈ 覺(각) 깨닫다 |
[의미] 남을 선동하여 못된 일을 하게 함. / ◈ 俊(준) 준걸 / ◈ 悛(전) 고치다 |
句讀 구두 ☜ 구독(X) |
▶ 句(구) 구절 ▶ 讀(두) 구절 (독) 읽다 |
拘碍 구애 ☜ 구득(X) |
▶ 拘(구) 거리끼다, 잡다 ▶ 碍(애) 거리끼다. |
[의미] 글의 단속을 쉽게 하기 위해 점이나 부호로 표하는 것. 구두점 / ◈ 讀은 (독)(두) 발음 |
[의미] 거리낌. / ◈ 得(득) 얻다 |
狗吠 구폐 ☜ 구견(X) |
▶ 狗(구) 개 ▶ 吠(폐) 짖다 |
救恤 구휼 ☜ 구혈(X) |
▶ 救(구) 구제하다 ▶ 恤(휼) 구휼하다 |
[의미] 개가 짖음. 또는 그 소리. 혹 밤에 수상한 사람이 다님. / ◈ 犬(견) 개 |
[의미] 빈민, 이재민 등에게 금품 따위를 주어서 구제함. / ◈ 血(혈) 피 |
詭辯 궤변 ☜ 위변(X) |
▶ 詭(궤) 속이다,기만하다 ▶ 辯(변) 말잘하다 |
龜鑑 귀감 ☜ 구감(X) |
▶ 龜(귀) 본보기, 거북 ▶ 鑑(감) 본보기, 거울 |
[의미] 억지로 꾸며대는 말. 논리학에서 하나의 전제로 그릇된 결론을 끌어내는 논법. / ◈ 危(위) 위엄 |
[의미] 본보기가 될 만함. 또는 그것. |
規矩 규구 ☜ 규거(X) |
▶ 規(규) 원그리는 도구,법 ▶ 矩(구) 곡선그리는 도구 |
龜裂 균열 ☜ 귀열(X) |
▶ 龜(균) 터지다,갈라지다 ▶ 裂(렬) 찢어지다. |
[의미] 규구준승(規矩準繩)의 준말로,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할 법도. / ◈ 距(거) 떨어지다 |
[의미] 갈라져서 터짐. / 龜는 (구)(귀)(균)발음. |
旗幟 기치 ☜ 기직(X) |
▶ 旗(기) 깃발 ▶ 幟(치) 기, 표지 |
喫煙 끽연 ☜ 계연(X) |
▶ 喫(끽) 마시다, 피우다 ▶ 煙(연) 연기 |
[의미] 군중에서 쓰이는 온갖 기. 태도나 행동을 구별하는 표. / ◈ 職(직) 직책 |
[의미] 담배를 피움 / ◈ 契(계) 맺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