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자리 보는법 |
/gt32-1.JPG)
|
/gt32-2.JPG)
|
/gt32-3.JPG)
|
/gt32-4.JPG)
|
/gt32-5.JPG)
|
산세 명당자리 보는법[山勢]로 보는 명당[明堂]
아득한 태초에 우리가 사는 세상은 혼돈하고 기운이 엉클어져 있다가 맑은 기운은 하늘이 되고 탁한 기운이 떨어져서 땅이 되었으니 즉 이것이 음[陰]과 양[陽]이니 산은 위로 솟고 물은 아래로 흐르는 것이다. 이 어떻한 학설이라도 음 양을 떠난 학설이 있을 수 없다. 우리 인간에게 백해구공[百骸九空]이 있다지만 땅에도 만수천산[萬水千山]이 있으니 어떤 것은 나타나고 또 어떤 것은 얽혀져 있다. 우리에 몸에 뼈와 마디가 있으며 보이는 구멍이 있는가 하면 육안으로 찾아볼 수 없는 구멍이 있다. 우리 인간은 천지 음양 산수속의 자연에서 낫 천년만년 자자손손이 살다가 또다시 자연으로 돌아가기에 우리는 산과 물을 그리워하고 좋아하는지 모른다.옛 속담에 인걸은 지령이란 말이 있듯이 잘난 사람이 있으면 못난 사람이 있고 키큰 사람이 있으면 키 작은 사람이 있듯이 모두가 산천의 수려한 기상과 산천의 툰탁한 기상에 의해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산이 높고 물이깊고 들이 넓으면 인심이 너그러우며 도량이 넓고 큰 사람이 나오고 산과 물이 좁아 협착하면 소견이 좁고 산이 험하면 표독한 자가 나오며 산이 높고 물이 맑으면 그 동네가 윤택하여 부자가 많고 산천이 맑고 수려하면 태어난 사람 얼굴까지 아름다운 것이다. 천을 태을[天乙 太乙]에 속한 산이 구름밖에 솟구쳐 있으면 벼슬이 법관에 오르고 흘러가는 물구멍을 짐승과 새 모습한 형국에 산과 바위가 감아주면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나올 것이요 산 형국의 왼편이 깃발이 나르는 듯 하고 오른편에 북이울리는 듯 솟아 있으면 대장과 장수가 나올자리요 산 형세의 뒤가 평풍을 친 듯하고 강이 앞을 막아주면 재상과 문신이 나올땅 이다. 작은 산이 위로 뾰죽하고 그스름한 산 형을 은병[銀甁]이라고 하는데 석중이 같은 부자가 생겨나고 산이 구부러저서 높고 낮음이 없이 껴안은 것을 옥막형[玉幕形]이라고 하여 배도[裵度]같이 귀하게 되는 명재상이 나올 땅이다. 산 형국[形局]이 초생달처럼 가느달 게 미인의 눈섭인 듯한 모양은 아미산 이라고 부르며 산 형세가 이쯤되면 딸이 귀하게 되어 왕후가 아니면 귀비가 나올 땅이요 천마의 형국[形局]이 남방에 위치하고 머리가 번쩍 들리고 몸체가 약간 낮아서 평평이 나아가다가 꼬리가 되어 뚝 떨어지면 반듯이 왕후가 나올 자리다. 또 앞 뒤 좌우로 기운차게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아름다운 봉우리가 천봉우리 만봉우리로 호위한 것은 삼천 궁녀의 기상이고 앞 뒤로 벌어진 낮은 산봉우리가 팔백형화[八百炯火]가 떠오르는 듯한 자리는 모두 극귀 극존한 제왕이 나올 자리다. 여러 산이 그치는 곳에 진혈이 있고 여러 산이 모이는 곳에 명당이 있는 것이다. 산세가 모두 등을 져서 달아나면 집안이 파산될 것이며 한 물이 기울어져 흘려 빠지면 관에서 물러서며 실직하게 되며 산형상이 어지러운 치마자락 같으면 여자가 음란을 하고 물이 당국안으로 꿰뚫고 나가면 자손이 절손된다.
|
태극[太極]과 무극[無極]
혼연[渾然]이 원리[元理]가 충막[充漠]하여 상[狀]이 없으나 가히 상[像]이 있으며 수[]가 없으나 가히 나뉘어 있으니 이른 바 이것이 천지[天地]의 시분[始分]이다. 상[狀]이 없은즉 가히 이름이 있을리 없고 수[수]가 없은즉 가히 모든 것을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 우주는 판단하기 이전에 이름이 없고 도수[度수]를 아지 못하나 어느 사이에 알지 못하는 도수원자 [度수原者]를 이미 집사[집使]하여 왔으니 이것을 이른 바 자연 지도[自然之道]라 일컫는다. 무극천지가 개벽하기 전에 혼돈상태 즉 우주상태의 원리가 되는 본체이니 태극[太極]은 천지개판과 더불어 양의[兩儀]를 움직이게 한다. 움직이는 자를 양[陽]이라하고 고요한 자를 음[陰]이라 일컫는다. 무극자는 극이 없는고로 보아도 보이지 않고 태극자는 오직 있으되 크게 있는고로 무물불진[無物不盡]이다. 다시 말해서 천지가 생기기전을 무극이라 하고 무극을 한 기점으로 하여 다음 차례로 논하게되니 무극이 즉 태극이요 태극에서 양의가 생기고 양의[兩儀]가 사상을 생기게 하고 사상[四像]이 팔궤를 생기게 했다. 무극이나 태극에 있어서 기존에 있는 음양도 양이 먼저 생기고 음이 뒤에 생긴 것이 아니요 음이 먼저 생기고 양이 생긴 것도 아니다. 또한 음만 독립하여 충막할 때가 있을 수 없으며 또한 독립하여 있을 수 없다. 양은 맑고 음은 탁하고 양은 원[圓]하고 음은 방[方]하다. 청이원자[淸而原者]는 陽中에 양이요 양중에 음자다.탁이방자[濁而方者]는 음중[陰中]에 음자요 음중에 양자이니 이것이 즉 천지[天地]의 상[像]이다.하늘과 땅은 무극으로부터 기원된다. 땅에도 리[理]와 기[氣]가 있고 하늘에도 역시 리와 기가 있는 것이다.이와같이 돌이켜 보건대는 하늘과 땅이 땅중에 하늘이 있고 하늘위에 또 땅이 있으니 시작이 없고 종말이 없다. 먼저가 없고 뒤가 없으며 껍질이 없고 안이 없다.
|
산수지맥[山水之脈]
물이 구비쳐 흐르면 산이 구비치고 물이 수직이면 산이 곧고 물이 급하게 흐르면 산도 급하게 흐르며 물이 일어나면 산도 일어나고 뭉이 끊어지면 산도 끊어지고 물이 고이면 산도 한데 모인다. 물이 동으로 흐르면 산은 서쪽으로 뻗어나며 물이 남쪽으로 세차게 흐르면 산의 북쪽이니 산과물이 교회지처[交會之處]에는 산맥이 이내 그치고 혈이 이내 맺아진다.이와같은 이치로 추리해 보건데 혈처[穴處]의 유무[有無]를 알 수 있게된다.
|
명당[明堂]자리는 과연[果然] 있는 것일까?
명당 자리가 있을까 없을까 하는 애기는 허항 하고도 막연한 애기 같으면서도 조상을 명당이라는 자리에 매장하고 나면 후련한 심정은 왠일일까? 조상의 묘를 잘 모셔야만 후손들이 부귀와 영화를 잘 누린다는 애기보다 명당자리에 모신다는 것은 효심[孝心]이기도 하고 또한 이왕에 묘를 쓸 바에는 산세의 여러 모양과 전망을 살펴 본 다음 매장 함은 인간의 상애[相愛]요 또한 자식이 부모의 대한 예의인 것이다. 옛부터 자식이 부모를 섬기고 뺨맞는 법이 없다고 했거늘 그 부모 또한 자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곧 부모의 마음이다. 무덤속에 들어가서 자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바다. 자식이 잘 되고 대대 손손 덕망이 높고 학식이 겸비한 후손이 태어남은 곧 명당의 덕이라 하여 누구나 명당을 찾아 헤메는 것이다. 어느 한선비가 벼슬을 내어놓고 하향하여 충남 아산 어느곳에 정착 어느날 이웃동네를 다녀오다가 길거리에 왠 거지가 쓸어져 있는 것을 발견 하고 그거지를 없고 집으로 돌아와 밥을 먹이고 옷을입혀 근 한달동안이나 치료를 한 탓으로 무사히 병은 완쾌 됬다. 거지는 선비께 은혜를 어떻게 갚을길이 없습니다. 그러하오니 제가 평소 풍수를 조금 알아둔 것이 있으니 저를 따라 오시면 자리를 하나 잡아드리겠습니다.하고 선비를 데리고 산으로 올랐다. 산을 넘고 또 산을넘어도 끝이 없는지라 죽으면 아무데나 쓸어 묻으면 될걸 무엇 때문에 이렇게 다니느냐 했더니 묘는 아무데나 쓰는 것이 아닙니다.따라만 오십시오 하며 또 산 하나를 넘더니 무릅을 탁치면서 여기가 명당이요 착하시고 어지신 선비님이 돌아가시면 이곳에 묻어 달라 하십시오 [큰 인물이 나올 겁니다]하고 거지는 홀연히 사라진 것이다.그이후 윤씨의 가문은 윤치영 .윤치호.윤일선 윤보선 씨등 수 많은 학자가 쏟아져 나왔으니 당대의 유명인을 찾아볼 수 있는 전설아닌 비화가 후세에 전해지고 있다. 그쁜 아니라 조상의 묘를 잘 못써서 벼슬길서 귀양길로 바뀐 선비도 있었고 지금도 시골에는 산꼭대기에 묘를 써서 비가 오지 않는다는 이야기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아무리 과학의 문명이 발달하고 달나라 여행을 하더라도 명당 자리는 부정도 긍정도 할 수 없는 일이라 하겠다.
|
풍수학설의 유래
풍수학설이 언제부터 전해 내려왔는가는 아직도 아는 사람은 없다. 다만 문헌에 따를면 고대 중국에서 발생하지 않았나 생각된다.진나라 시대 때에 주선도[朱仙桃]라는 역리학자가 내놓았다는 수산기[水山記]는명당자리 보는법으로 당시에는 아무도 이를 믿으려 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구동성으로 미친 사람이라고 놀렸다고한다. 그러나 수산기가 신통하게 맞아 들어가자 진시황제는 수산기를 보고 일반인가운데 왕이 나오면 어떻게 되느냐고 염려하여 황실에서만 비치하여 명당을 쓰도록 령을 내렸다.그리고는 진시황제는 왕의 계승을 염려하여 주선도를 엉뚱한 죄를 씌워 죽였던 것이다. 이 소문이 전하여져서 한나라 에서도 장자방이 청오경 [靑烏經]과 청낭정경[靑囊正經]을 저술했는데 역시 억울한 죄를 뒤집어 쓰고 세상을 떠났고 당나라에 와서도 최성왕이 금남경[錦囊經]을 저술하여 이를 황실에서는 비단주머니에 넣어 대대로 응용하였다. 그후 역리 학자들이 많이 쏟아져 나왔으므로 당나라 황제는 만약 민간중에서 왕이 태어난다면 9족을 멸망하리라는 명령이 내려진 만큼 그 오묘한 이치는 동양 철학[東洋哲學]에 기이한 것이며 어디까지나 형이상학적 논리로 인정을 받았던 것이다.
|
명당자리는 어떻한 것일까?
명당자리에는 내명당과 외명당으로 대별할 수 있지만 그 어느 모두가 산세가 한데모인 것을 명당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하면 산이 평풍처럼 빙 둘러서 바람을 막아주고 앞에는 물을 만나 자연 멈추어져 있는 것 같아야 하며 꼭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정도의면적에 불쑥 봉분이 있어야 하고 그 흙 또한 색깔이 좋아야 한다. 바위 덩어리 위에도 사람이 누울 수 있을만큼 흙으로 되어 있어 그 흙만 긁어내면 바로 널이 들어갈 만큼 되어 있는 것이 명당 자리인것이다. 지금은 무어라고 할 수 있는 단계는 못되지만 고 이승만 박사 의 묘소나 [][][]가 잠든 동작동 국군 묘지는 마치 공작이 도사리고 앉아있는 형상에 공작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오 거기서 명수대 앞 한강을 굽어보면 마치 우리나라 지도의 형상이오 흐르는 한강수는 들어오는 물은 보여도 나가는 물은 보이질 않으니 이 또한 명당의 자리가 아닌가 생각된다.
|
나쁜 자리는 어떤 것일까?
풍수설에 따르면 흙이라고는 별로 없고 암석으로 된 곳에 묘를 쓰면 집안이 망한다고 한다. 그래서 옛부터 인간은 죽으면 흙으로 돌아가지 돌밑으로 돌아간다는 말은 없다.뼈와 흙이 융합되어 야지 뼈와 돌이 융합되면 가운은 쇄하고 재물은 모이질 않는다. 그리고 산맥이 이어져야지 독산[獨山]이면 자손이 끊어져 대를 잊지 못한다.지기는 후강전응[後岡前應]하고 중산환합[衆山環合]하는 곳으로 여러개의 산이 겹쳐져 있지 않고 홀로 서있는 산에는 묘를 쓰지 말아야 한다. 또한 아무리 명당자리라 하더라도 산맥이 끊어진곳에 묘지를 쓰면 패가망신 되며 초목[草木]이 자라지 않는 항폐한곳에 묘지를 쓰면 집안이 빈곤하고 생계가 대대로 이어지기 어렵다.이 세상 모두가 음양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산이 있는 곳에 물이 있어야 하고 흙이 있는 곳에 풀이 있기 마련인데 산 기운인 지기[地氣]가 없으면 나쁜 묘[墓] 자리라 하겠다. 그러므로 전자[前字]에 말한 것이 있어산맥에는 꼭 발원지가 있다. 태[胎].정[定].순[順].강[强].포[包].장[藏]등 여섯가지의 체가 순서되로 있어 야 한다.그리고 수구는 들어오는 것은 보여도 출구는 보이지 말아야 한다. 산세가 평풍을 두른 것같이 조용해야 함을 밝혀둔다.
|
명당에 혈을 찾아라
지기[地氣]에 대한 이야기는 많다.그주에도 한나라 시대에 궁중 대궐에 용마루 끝에 구리종이 매달려 있었는데 이구리종은 궁주에서 상당히멀리 떨어져 있는 산에서 캐 내었다. 그런데 어느날 구리종이 아무도 때리지 않는데도 저절로 울려 모든 사람들은 불길한 흉조라고 두려워 했다. 이에 황제는 동방삭이를 불러 아무도 종을 치지 않았는데도 저절로 울리는 연유를 물은즉 동산[銅山]이 무너진 탓이라고 대답했다. 황제는 너무 어이 없는 일이라 급히 사람을 불러 보내어 확인한 결과 동방삭이 말이 사실이다. 황제는 그 원인을 물었을 때 지기[地氣]는 사람으로 말하면 모자의 인연과 같은 것이므로 구리종은 어머니 격인 산이 무너지니까 그 기운을 받아서 자연 소리를 내어 우는 것이라 대답했다. 사람은 조상으로부터 피와 살을 받아 태어날 때 유전을 받게 되듯이 지기[地氣]도 그 유전을 받고있다. 지기의 지상도[地相圖]를 살펴보면
[1]은 현무[玄武]라 하여 산의 정상을 말하고 그 방향은 북방이며 [2]백호[白虎]이고 그 방향은 오른 편이다. [3]청룡[靑龍]으로 왼편이며 좌청룡 우 백호라는 지형의 한 형태이고 [4]재난 혈이라 하여 산기운이 뭉쳐있는 지점이며 [5]주작이라 하여 산이 평풍처럼 빙 둘러처져 바람을 막아주고 [6]산기운이 뭉쳐서 멎을 수 있게 물이있어 물이 흐르거나 고여 있는 것을 말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