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 전해 오는 이야기입니다.
파흠은 누구보다도 논밭을 넉넉히 가지고 있었습니다만 더 가지고 싶은 욕심이 많아서 누가 땅이라는 말만 들먹여도 귀를 번쩍번쩍 세우곤 하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습니다. 그는 한 나그네로부터 기가 막힌 정보를 입수하였습니다. 곧, 적은 돈으로도 많은 땅을 살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파흠은 당장 서둘렀습니다.
돈주머니를 허리에 차고 그곳을 향해 길을 떠났지요. 드디어 파흠은 땅을 마음대로 골라서 살 수 있다는 바슈키르에 당도하였습니다.
여기 사람들은 멍청하게도 무한히 넒은 땅의 한 귀퉁이에서 작은 오두막들을 짓고 조용히 살고 있었습니다. 누가 더 차지하기 위해 다투는 일도 없었으며, 그저 서로 마음 놓고 소와 양을 키우면서 농사를 짓고 사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파흠은 촌장을 찾아가 말하였습니다
“그렇습니까? 그럼 사시지요.”
“땅값은 얼마인지요?”
“하루에 천 루블입니다.”
파흠은 침을 꼴깍 삼키면서 물었습니다
“우리는 그런 셈은 잘 모릅니다. 다만 당신이 하루 동안 걸어 다닌 땅은 모두 당신의 것으로 인정한다는 말입니다.”
파흠은 흥이 났습니다. 하루 동안 걸어 다닌 땅을 천 루블로 살 수 있다니, 이 얼마나 큰 횡재인가 말이다.‘
촌장이 한마디 덧붙였습니다 걷기 시작해서 해가 지기 전에 제자리에 돌아와야 합니다.
물론 당신이 걸어간 곳에 표시를 해 두어야 하고요. 만일 당신이 돌아오지 못하면 돈은 우리 차지고 당신에게는 땅이 돌아가지 않습니다.”
파흠은 얼씨구나 하고 천 루블을 지불하였습니다. 그러고는 해가 뜨자마자 부리나케 걸었습니다. 파흠은 시간이 아까워 밥도, 물도 걸으면서 먹었습니다. 물론 쉬지도 않았구요
정오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파흠은 더 좋은 땅이 자꾸만 나타났기 때문에 발길을 돌릴 수가 없었습니다.
어느덧 해가 서쪽으로 제법 기울었습니다. 그제야 파흠은 허겁지겁 삽으로 표시를 한 다음 돌아오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뛰어도, 뛰어도 출발했던 지점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해가 떨어지기 전에 돌아가야 이 땅이 모두 내 차지가 되는데....’
파흠은 간신히 해가 지평선에 넘어갈 무렵에 출발점으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그는 그 자리에 쓰러져서 영영 다시 일어나지를 못했습니다.
바슈키르 사람들은 파흠의 시체를 그곳에 묻어주었습니다. 그가 차지한 땅은 겨우 한 평이 조금 넘을까 말까 했습니다
- 나 내가 잊고 있던 단 한 사람 / 정채봉 선집에서 - |
날마다 좋은날 되소서...
' 호근 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학교 생활지도의 문제점♣ (0) | 2012.03.24 |
---|---|
[스크랩]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0) | 2012.03.23 |
[스크랩] 歲月따라 儀禮따라 쓰게되는 生活用語 (0) | 2012.03.23 |
[스크랩] [2012년 03월 23일 금요일] 恭則不侮하고 寬則得衆하고 信則人任焉… (0) | 2012.03.23 |
[스크랩] 한국속담 1000가지 (0) | 2012.03.22 |